•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경찰청(청장 김창룡)고속도로 사망사고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화물차 사망자 감소를 위해 71일부터 한 달 동안 화물차 법규위반 집중단속에 나선다.”라고 밝혔다.

 

2022년 상반기 화물차 사망사고 비율은 64.8%로 다른 차종 사망사고의 2배 이상을 차지하며, 전년 같은 기간 화물차 사망사고와 비교해도 11% 증가하는 등 고속도로 교통안전을 위협하고 있어 사고원인 분석을 통한 안전대책을 마련하였다.

* (화물차 사망자 비중) 202153.8%(49 / 91) 202264.8%(46 / 71)

 

화물차 교통사고의 주요 원인은 지정차로 위반과 안전띠 미착용 등 기본안전수칙 미준수와 장시간 운전으로 인한 집중력 저하로 생기는 안전운행 불이행(졸음운전 등)91.3%를 차지한다.

 

또한, 무리한 적재와 과속을 위한 차량 불법개조, 차량 노후화 등 고장으로 인한 2차 사고, 제동 불량에 따른 정체구간 후미추돌사고 등이 주된 사고유형으로 분석되었다.


<최근 화물차 사고 사례>

 

’22. 6. 20.() 15:18 천안논산선(논산 방향) 공사구간 서행하던 화물차를 화물차가 후미추돌(사망1)

’22. 6. 21.() 15:12 중앙선(부산 방향) 고장으로 정차한 화물차를 화물차가 후미추돌(사망2)

’22. 6. 22.() 00:05 경부선(부산 방향) 앞서가던 화물차를 불상의 이유로 화물차가 후미추돌(사망1)


이 같은 대형화물차의 고위험·고비난 원인행위를 제거하기 위해 경찰청에서는 7월 한 달간 암행순찰차, 무인기, 캠코더 등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여 지정차로위반, 안전띠 미착용, 적재 불량 등 위반행위에 대해 적극적인 단속을 시행한다.

 

특히 한국도로공사, 교통안전공단 등 관계기관과 함께월요 집중단속의 날운영, 주요 요금소나들목휴게소 등에서 화물차 정비 불량 및 불법개조도 합동으로 단속해 나갈 방침이다.

 

또한, 사망사고 잦은 시간대(06~10/ 18~22)를 중심으로 순찰차 경광등과 스피커를 활용한 졸음운전 알람순찰을 반복 시행하고, 고속도로 가변형 전광판을 활용한 비대면 홍보도 병행함으로써 운전자 경각심 높이기 위해 최선을 다할 계획이다.

 

경찰청은 대형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화물차의 지정차로위반과 같은 법규위반 행위에 대해 앞으로도 엄정히 대응해 나갈 예정이며, 이와 함께 고속도로를 이용하는 운전자 모두가 자신을 스스로 지키는 안전 운전·양보 운전을 생활화해 달라.”라고 당부했다.



[ 경찰청 2022-06-27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929 “산 정상에서 무단취사를 하고 있어 위험해 보여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4.05 12
6928 행정심판 ‘국선대리인제’로 사회적 약자 권익구제 사각지대 없앤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4.05 11
6927 4차 산업혁명 시대, 직업 선택 어떻게 할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4.05 19
6926 차량용 공기청정기 관련 비교정보 생산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4.05 28
6925 올해 7월부터 병원과 한방병원 2,3인실에도 건강보험이 적용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4.05 20
6924 봄나들이 철 다중이용시설 일제 점검 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4.05 13
6923 문신용 염료, 2020년부터 식약처에서 관리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4.05 6
6922 국민이 생각하는 층간소음 해법은 뭘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4.08 7
6921 “영농에 필요한 정보, 이젠 ‘농업ON(온)’ 에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4.08 313
6920 정신건강복지법, 의료법, 보건의료인력지원법, 국민건강보험법 등 보건복지부 소관 21개 법안, 4월 5일 국회 본회의 통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4.08 8
6919 2019년 3월 ‘공기청정기‘, ‘에어컨‘ 소비자불만 증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4.08 12
6918 치유의 공간, 숲에서 아토피 등 환경성 질환을 이겨내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4.08 15
6917 가습기살균제 피해 15명 추가 인정…총 810명 인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4.08 16
6916 평생교육 이용권(바우처), 4월 11일부터 신청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4.09 18
6915 2018년 인터넷상 불법 금융광고 적발현황 및 소비자 유의사항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4.09 13
Board Pagination Prev 1 ... 459 460 461 462 463 464 465 466 467 468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