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주요 내용 -

□ 최근 영유아에서 「노로바이러스 감염증」 및 「장내 아데노바이러스 감염증」의 발생 증가로, 적극적인 예방수칙 준수 당부

 ○ (평상시) 손씻기, 안전하게 조리된 음식 먹기, 물 끓여 마시기 등 예방수칙 준수

 ○ (발생 시) 환자의 구토물, 접촉환경, 사용한 물건 등 염소 소독(가정용 락스 희석액 등)

  - 「노로바이러스 감염증」의 경우 학교나 보육시설에서 환자 발생 시 증상소실 후 최소 48시간 이상 집단생활 제한 권고


□ 질병관리청(청장 백경란)은 최근 「노로바이러스 감염증」 및 「장내 아데노바이러스 감염증」의 신고 건수가 증가함에 따라, 영유아 보육시설 내 위생관리 및 관련 예방수칙을 지켜주실 것을 당부하였다. 


 ○ 전국 208개 표본감시기관에서의 ’22년 24주(6.5.~6.11.)에 노로바이러스 감염 신고 환자 수는 총 142명, 장내 아데노바이러스 감염 신고 환자 수는 103명으로, 4월 넷째 주(4.17.~4.23.) 이후 지속 증가 추세*에 있다.

    * 주별 신고건수 : 노로바이러스 감염증, 장내 아데노바이러스 감염증


고 주

노로바이러스

감염증()

장내

아데노바이러스

감염증()

신고 주

노로바이러스

감염증()

장내

아데노바이러스

감염증()

17

(4.17.~4.23.)

41

16

21

(5.15.~5.21.)

97

41

18

(4.24.~4.30.)

45

24

22

(5.22.~5.28.)

146

61

19

(5.1.~5.7.)

57

30

23

(5.29.~6.4.)

148

77

20

(5.8.~5.14.)

75

36

24

(6.5.~6.11.)

142

103


○ 특히 24주에 신고된 환자 중 0~6세 비율이 높은 상황*으로, 주로 영유아를 중심으로 발생이 증가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24주차 신고환자 중 0∼6세 비율: 노로바이러스 84.5%, 장내 아데노바이러스 76.7%


 ○ 「노로바이러스 감염증」은 연중 발생하나, 일반적으로 겨울철에서 초봄(11월부터 다음 해 4월)까지 발생이 증가하며,

   - 감염 후 1~2일 안에 구토, 설사 등의  ,   복통, 오한, 발열이 나타나기도 한다.


 ○ 「장내 아데노바이러스 감염증」은 영아와 소아에서의 급성 바이러스성 위장관염의 흔한 원인으로, 연중 발생한다.

   - 주 증상으로 수양성 설사가 8~12일간 지속되며, 미열, 탈수, 호흡기 증상이 동반되기도 한다.



□ 「노로바이러스 감염증」 및 「장내 아데노바이러스 감염증」은 바이러스에 감염된 환자의 분변이나, 구토물에 오염된 손이나 환경에 접촉하거나, 바이러스에 오염된 물 또는 식품을 섭취하여 감염되므로,


 ○ 예방을 위해 손씻기 등 개인위생 수칙을 잘 지켜야 하며, 음식 재료는 흐르는 물에 충분히 씻어 충분히 익히는 등 안전하게 조리된 음식물을 섭취해야 한다. 


 ○ 또한 환자의 구토물에 오염된 물품이나 접촉한 환경 및 화장실 등에 대하여 소독이 권장된다. 


 ○ 노로바이러스 감염증은 감염력이 강해, 환자가 보육시설 및 학교 등에서 발생한 경우 증상 소실 후 48시간 이상 환자의 집단생활을 제한하고, 가정에서도 공간을 구분하여 생활하는 것이 권장된다.



□ 질병관리청 백경란 청장은 “노로바이러스 감염증 및 장내 아데노바이러스 감염증을 예방하기 위해 위생수칙을 준수하여 조리된 안전한 음식을 섭취하며, 올바른 손씻기 등 예방수칙을 잘 지켜주실 것”을 당부하였다.


〈 노로바이러스, 장내 아데노바이러스 감염증 예방수칙 〉

올바른 손씻기(외출 후식사 전배변 후, 30초 이상 올바른 손씻기)

끓인 물 마시기

음식물은 반드시 익혀 먹기

채소·과일은 수돗물에 깨끗이 씻어서 벗겨 먹기

위생적으로 조리하기

-·도마는 소독하여 사용하고조리도구는 구분(채소용고기용생선용)하여 사용하기

노로바이러스 환자의 경우 구토물접촉환경사용한 물건 등에 대한 염소 소독

-가정용 락스 희석액(1,000~5,000ppm)으로 염소 소독



[ 질병관리청 2022-06-20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879 중국 우한시에 여행경보 2단계(여행자제) 발령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2 2020.01.23
2878 생활 속 안전위험요인 신고는 「안전신문고」로 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9 2020.01.30
2877 스키장 어린이 사고! 예방법 꼭 기억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4 2020.01.31
2876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문자 관련 보이스피싱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2 2020.02.03
2875 어르신들, 겨울철 넘어져 다치지 않도록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2 2020.02.04
2874 베이비 모니터 설치 시 주의사항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3 2020.02.04
2873 2월 초 갑작스런 한파 시작, 한랭질환 발생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0 2020.02.05
2872 전기히터 사용 시 주의사항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7 2020.02.05
2871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팩트체크 8가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2 2020.02.05
2870 홈 베이킹 시 주의사항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21 2020.02.05
2869 신용카드를 이용한 지방세 등 대납사기를 조심하세요 - 소비자경보 「주의」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4 2020.02.06
2868 스마트 장난감 구입 및 사용 시 주의사항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2 2020.02.07
2867 곡물 찜질팩 구입 및 사용 시 주의사항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0 2020.02.07
2866 2019년 4/4분기 소비자 위해정보 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89 2020.02.11
2865 일부 어린이 과학교구에서 유해물질 검출돼 주의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5 2020.02.12
2864 어린이 카시트 안전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4 2020.02.13
2863 해충방지 효과 없는 논‧밭두렁 태우지 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96 2020.02.13
2862 Gia Russa 옷 조임끈이 틈에 끼어 목졸림 위험 있어 Nununu 아동용 상의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38 2020.02.14
2861 뚜껑의 잠금장치 하자로 인해 화상 위험 있는 SUPOR 보온병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8 2020.02.17
2860 플라스틱 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Nabisco 과자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88 2020.02.17
Board Pagination Prev 1 ...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