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주요 내용 -

□ 최근 영유아에서 「노로바이러스 감염증」 및 「장내 아데노바이러스 감염증」의 발생 증가로, 적극적인 예방수칙 준수 당부

 ○ (평상시) 손씻기, 안전하게 조리된 음식 먹기, 물 끓여 마시기 등 예방수칙 준수

 ○ (발생 시) 환자의 구토물, 접촉환경, 사용한 물건 등 염소 소독(가정용 락스 희석액 등)

  - 「노로바이러스 감염증」의 경우 학교나 보육시설에서 환자 발생 시 증상소실 후 최소 48시간 이상 집단생활 제한 권고


□ 질병관리청(청장 백경란)은 최근 「노로바이러스 감염증」 및 「장내 아데노바이러스 감염증」의 신고 건수가 증가함에 따라, 영유아 보육시설 내 위생관리 및 관련 예방수칙을 지켜주실 것을 당부하였다. 


 ○ 전국 208개 표본감시기관에서의 ’22년 24주(6.5.~6.11.)에 노로바이러스 감염 신고 환자 수는 총 142명, 장내 아데노바이러스 감염 신고 환자 수는 103명으로, 4월 넷째 주(4.17.~4.23.) 이후 지속 증가 추세*에 있다.

    * 주별 신고건수 : 노로바이러스 감염증, 장내 아데노바이러스 감염증


고 주

노로바이러스

감염증()

장내

아데노바이러스

감염증()

신고 주

노로바이러스

감염증()

장내

아데노바이러스

감염증()

17

(4.17.~4.23.)

41

16

21

(5.15.~5.21.)

97

41

18

(4.24.~4.30.)

45

24

22

(5.22.~5.28.)

146

61

19

(5.1.~5.7.)

57

30

23

(5.29.~6.4.)

148

77

20

(5.8.~5.14.)

75

36

24

(6.5.~6.11.)

142

103


○ 특히 24주에 신고된 환자 중 0~6세 비율이 높은 상황*으로, 주로 영유아를 중심으로 발생이 증가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24주차 신고환자 중 0∼6세 비율: 노로바이러스 84.5%, 장내 아데노바이러스 76.7%


 ○ 「노로바이러스 감염증」은 연중 발생하나, 일반적으로 겨울철에서 초봄(11월부터 다음 해 4월)까지 발생이 증가하며,

   - 감염 후 1~2일 안에 구토, 설사 등의  ,   복통, 오한, 발열이 나타나기도 한다.


 ○ 「장내 아데노바이러스 감염증」은 영아와 소아에서의 급성 바이러스성 위장관염의 흔한 원인으로, 연중 발생한다.

   - 주 증상으로 수양성 설사가 8~12일간 지속되며, 미열, 탈수, 호흡기 증상이 동반되기도 한다.



□ 「노로바이러스 감염증」 및 「장내 아데노바이러스 감염증」은 바이러스에 감염된 환자의 분변이나, 구토물에 오염된 손이나 환경에 접촉하거나, 바이러스에 오염된 물 또는 식품을 섭취하여 감염되므로,


 ○ 예방을 위해 손씻기 등 개인위생 수칙을 잘 지켜야 하며, 음식 재료는 흐르는 물에 충분히 씻어 충분히 익히는 등 안전하게 조리된 음식물을 섭취해야 한다. 


 ○ 또한 환자의 구토물에 오염된 물품이나 접촉한 환경 및 화장실 등에 대하여 소독이 권장된다. 


 ○ 노로바이러스 감염증은 감염력이 강해, 환자가 보육시설 및 학교 등에서 발생한 경우 증상 소실 후 48시간 이상 환자의 집단생활을 제한하고, 가정에서도 공간을 구분하여 생활하는 것이 권장된다.



□ 질병관리청 백경란 청장은 “노로바이러스 감염증 및 장내 아데노바이러스 감염증을 예방하기 위해 위생수칙을 준수하여 조리된 안전한 음식을 섭취하며, 올바른 손씻기 등 예방수칙을 잘 지켜주실 것”을 당부하였다.


〈 노로바이러스, 장내 아데노바이러스 감염증 예방수칙 〉

올바른 손씻기(외출 후식사 전배변 후, 30초 이상 올바른 손씻기)

끓인 물 마시기

음식물은 반드시 익혀 먹기

채소·과일은 수돗물에 깨끗이 씻어서 벗겨 먹기

위생적으로 조리하기

-·도마는 소독하여 사용하고조리도구는 구분(채소용고기용생선용)하여 사용하기

노로바이러스 환자의 경우 구토물접촉환경사용한 물건 등에 대한 염소 소독

-가정용 락스 희석액(1,000~5,000ppm)으로 염소 소독



[ 질병관리청 2022-06-20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1531 캠핑장 안전사고의 30.8%가 화상·중독사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0 2020.02.20
1530 코로나19 악용 보이스피싱 전화, 스미싱 문자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3 2020.02.18
1529 아기 침대 매트리스 안전 관련 주의사항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6 2020.02.17
1528 감전 위험 있는 케메이(Kemei) 전기면도기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2 2020.02.17
1527 화재 위험 있는 스타 마스터(Star Master) USB 조명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6 2020.02.17
1526 화재 진압 실패 가능성 있는 WilliamsRDM 렌지후드 소화기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12 2020.02.17
1525 스테로이드 등을 함유하여 부작용 위험 있는 H20 Jours, Neoprosone, Nadinola 피부미백제품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02 2020.02.17
1524 Sacla 소스에 알레르기 성분이 미표시되어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17 2020.02.17
1523 알레르기 성분이 미표시된 Pot Noodle 컵라면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2 2020.02.17
1522 고혈압 처방약 성분 함유되어 부작용 위험 있는 Insane Labz 운동보조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01 2020.02.17
1521 유해물질 함유된 Bloodline 문신잉크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6 2020.02.17
1520 플라스틱 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Nabisco 과자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4 2020.02.17
1519 뚜껑의 잠금장치 하자로 인해 화상 위험 있는 SUPOR 보온병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5 2020.02.17
1518 Gia Russa 옷 조임끈이 틈에 끼어 목졸림 위험 있어 Nununu 아동용 상의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15 2020.02.14
1517 해충방지 효과 없는 논‧밭두렁 태우지 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86 2020.02.13
1516 어린이 카시트 안전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1 2020.02.13
1515 일부 어린이 과학교구에서 유해물질 검출돼 주의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3 2020.02.12
1514 2019년 4/4분기 소비자 위해정보 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2 2020.02.11
1513 곡물 찜질팩 구입 및 사용 시 주의사항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5 2020.02.07
1512 스마트 장난감 구입 및 사용 시 주의사항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1 2020.02.07
Board Pagination Prev 1 ...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 218 Next
/ 218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