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42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주요내용 -


□ 최근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등 동남아시아 중심으로 뎅기열 증가

□ 해외여행 시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예방수칙 준수 당부


□ 질병관리청(청장 백경란)은 국제선 항공 정상화로 해외여행 활성화에 따라 동남아 지역 등 해외여행을 준비하는 국민들에게 뎅기열*에 감염되지 않도록 각별한 예방주의를 당부하였다.


   * 뎅기열 : 뎅기 바이러스에 감염된 숲모기에 물려 감염되며, 3~14일 잠복기 후 발열, 두통, 오한, 근육통 등 증상이 나타남. 현재 예방백신 및 치료제는 없음(<붙임1> 참고)


 ○ 뎅기열은 국제교류 활성화 및 기후변화에 따른 모기서식지 확대로 전 세계 약 100여 개 국가에서 매년 1억 명 이상 감염 중이며, 최근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등 동남아시아를 중심으로 뎅기열 환자가 증가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붙임2> 참고)


 ○ 뎅기열 매개모기 중 흰줄숲모기는 국내 전 지역에서 서식하고 있으며, 모기가 뎅기열 환자를 흡혈하면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다른 모기나 사람에게 전파할 수 있으므로 전파 차단 및 국내 토착화 방지를 위한 감시 및 대응이 중요하다.


<그림> <이집트숲모기> 열대‧아열대 지역 도시에서 주로 서식 <흰줄숲모기> 북미, 유럽, 아시아 산림지역에서 주로 서식


□ 우리나라에서 뎅기열은 2000년 법정감염병으로 지정된 이후 국내 자체 발생은 없으나, 매년 해외 유입으로 지속 발생 중에 있다. 


 ○ 코로나19로 해외 출·입국이 어려워진 이후 국내 뎅기열 환자 발생수는 급격히 감소했으나, 올해 해외여행 재개로 환자가 증가할 것이 예상된다. 


연도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6*

환자수()

252

165

255

313

171

159

273

43

3

4


 * ’22년도 발생(6.10. 기준) : 해외유입 4명(인도네시아 2명, 태국 2명)


 ○ 최근 5년간(’17~‘21년) 신고된 뎅기열 환자는 필리핀을 방문한 후 감염된 사례가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베트남, 태국, 인도네시아 순이었다.


<그림> 뎅기열 추정감염국가(‘17-’21년, 2인 이상 발생국가)


추정감염대륙

추정감염 국가

동남아시아

대만, 라오스, 말레이시아, 미얀마, 베트남,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캄보디아, 태국, 필리핀

남아시아

네팔, 동티모르, 몰디브, 방글라데시, 스리랑카, 인도, 파키스탄

남아메리카

브라질, 트리니다드 토바고, 파라과이

오세아니아

바누아투, 북마리아나제도, 파푸아뉴기니, 팔라우, 피지, 마셜제도

아프리카

가나, 말라위, 탄자니아

중앙아메리카

과테말라, 멕시코


□ 이에 따라, 질병관리청은 해외여행을 계획하고 있는 여행객들에게 예방수칙을 숙지하여 뎅기열에 감염되지 않도록 각별히 주의할 것을 당부하였다.


( 해외여행 시 예방수칙 )


 여행 전

- 여행지역별 주의해야 할 감염병 정보 확인하기

*질병관리청 누리집(kdca.go.kr)감염병해외감염정보국가별감염병예방정보

모기 예방법을 숙지하고 모기기피 용품* 및 상비약 준비하기

*모기 기피제,모기장,모기향,밝은색 긴팔 상의 및 긴 바지 등


 여행 중

- 모기가 많이 있는 ‘풀 숲’  ‘산 속’ 등은 가급적 피하기

외출 시 긴 팔 상의와 긴 바지를 착용하고모기 기피제 사용하기

모기는 어두운 색에 유인되므로활동 시 밝은 색 옷 착용하기

방충망 또는 모기장이 있고 냉방이 잘 되는 숙소에서 생활하기


 여행 후

- 귀국 후 2주 이내 의심증상(발열두통근육통관절통발진 등) 발생하면
가까운 의료기관 방문하기

의료기관 방문 시 의료진에게 최근 해외 여행력을 알려주기

헌혈 보류기간(4) 동안 헌혈을 금지하기



[ 질병관리청 2022-06-14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991 라벨 미표기된(헤이즐넛) 성분 함유되어 알레르기 위험 있는 MAISON COLIBRI 마들렌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8 2022.08.24
2990 부품 탈락으로 삼킬 경우 질식 위험 있는 Monpoke 딸랑이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9 2022.08.24
2989 어린이보호포장 미비하여 중독 위험 있는 Rae 식품보조제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5 2022.08.24
2988 카드뮴 과다 함유해 건강 위험 있는 Tacobear 장신구 세트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0 2022.08.24
2987 추석절, 예초기 사고와 벌쏘임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6 2022.08.24
2986 기관사칭형 전화금융사기 다시 증가, 주의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3 2022.08.24
2985 가연성 기준에 미흡해 쉽게 불 붙을 수 있는Amascan 장난감 가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4 2022.08.23
2984 주행 중 떨어져나와 부상 위험있는 시마노 자전거 변속기 판매차단 조치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0 2022.08.23
2983 전기 감전 위험 있는 Lucide 테이블 조명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9 2022.08.23
2982 라벨 표기 미성분 함유한 Rocky Mountain Soap Company 손소독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4 2022.08.23
2981 원료 함량이 승인 배합량과 다른 마쓰다 입욕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8 2022.08.23
2980 배터리 불량으로 화재 발생시킨 로봇 잔디깎이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4 2022.08.23
2979 부정물질 검출된 식이보충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7 2022.08.23
2978 미생물 검출된 완하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3 2022.08.23
2977 납 기준 초과 검출 우려가 있는 냉동 블루베리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5 2022.08.23
2976 곰팡이 필 우려가 있는 빵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3 2022.08.23
2975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 있는 반려견 간식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4 2022.08.23
2974 플라스틱 이물질 혼입된 과자(4)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0 2022.08.23
2973 플라스틱 이물질 혼입된 과자(3)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7 2022.08.23
2972 플라스틱 이물질 혼입된 과자(2)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1 2022.08.23
Board Pagination Prev 1 ...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