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42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주요내용 -


□ 최근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등 동남아시아 중심으로 뎅기열 증가

□ 해외여행 시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예방수칙 준수 당부


□ 질병관리청(청장 백경란)은 국제선 항공 정상화로 해외여행 활성화에 따라 동남아 지역 등 해외여행을 준비하는 국민들에게 뎅기열*에 감염되지 않도록 각별한 예방주의를 당부하였다.


   * 뎅기열 : 뎅기 바이러스에 감염된 숲모기에 물려 감염되며, 3~14일 잠복기 후 발열, 두통, 오한, 근육통 등 증상이 나타남. 현재 예방백신 및 치료제는 없음(<붙임1> 참고)


 ○ 뎅기열은 국제교류 활성화 및 기후변화에 따른 모기서식지 확대로 전 세계 약 100여 개 국가에서 매년 1억 명 이상 감염 중이며, 최근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등 동남아시아를 중심으로 뎅기열 환자가 증가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붙임2> 참고)


 ○ 뎅기열 매개모기 중 흰줄숲모기는 국내 전 지역에서 서식하고 있으며, 모기가 뎅기열 환자를 흡혈하면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다른 모기나 사람에게 전파할 수 있으므로 전파 차단 및 국내 토착화 방지를 위한 감시 및 대응이 중요하다.


<그림> <이집트숲모기> 열대‧아열대 지역 도시에서 주로 서식 <흰줄숲모기> 북미, 유럽, 아시아 산림지역에서 주로 서식


□ 우리나라에서 뎅기열은 2000년 법정감염병으로 지정된 이후 국내 자체 발생은 없으나, 매년 해외 유입으로 지속 발생 중에 있다. 


 ○ 코로나19로 해외 출·입국이 어려워진 이후 국내 뎅기열 환자 발생수는 급격히 감소했으나, 올해 해외여행 재개로 환자가 증가할 것이 예상된다. 


연도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6*

환자수()

252

165

255

313

171

159

273

43

3

4


 * ’22년도 발생(6.10. 기준) : 해외유입 4명(인도네시아 2명, 태국 2명)


 ○ 최근 5년간(’17~‘21년) 신고된 뎅기열 환자는 필리핀을 방문한 후 감염된 사례가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베트남, 태국, 인도네시아 순이었다.


<그림> 뎅기열 추정감염국가(‘17-’21년, 2인 이상 발생국가)


추정감염대륙

추정감염 국가

동남아시아

대만, 라오스, 말레이시아, 미얀마, 베트남,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캄보디아, 태국, 필리핀

남아시아

네팔, 동티모르, 몰디브, 방글라데시, 스리랑카, 인도, 파키스탄

남아메리카

브라질, 트리니다드 토바고, 파라과이

오세아니아

바누아투, 북마리아나제도, 파푸아뉴기니, 팔라우, 피지, 마셜제도

아프리카

가나, 말라위, 탄자니아

중앙아메리카

과테말라, 멕시코


□ 이에 따라, 질병관리청은 해외여행을 계획하고 있는 여행객들에게 예방수칙을 숙지하여 뎅기열에 감염되지 않도록 각별히 주의할 것을 당부하였다.


( 해외여행 시 예방수칙 )


 여행 전

- 여행지역별 주의해야 할 감염병 정보 확인하기

*질병관리청 누리집(kdca.go.kr)감염병해외감염정보국가별감염병예방정보

모기 예방법을 숙지하고 모기기피 용품* 및 상비약 준비하기

*모기 기피제,모기장,모기향,밝은색 긴팔 상의 및 긴 바지 등


 여행 중

- 모기가 많이 있는 ‘풀 숲’  ‘산 속’ 등은 가급적 피하기

외출 시 긴 팔 상의와 긴 바지를 착용하고모기 기피제 사용하기

모기는 어두운 색에 유인되므로활동 시 밝은 색 옷 착용하기

방충망 또는 모기장이 있고 냉방이 잘 되는 숙소에서 생활하기


 여행 후

- 귀국 후 2주 이내 의심증상(발열두통근육통관절통발진 등) 발생하면
가까운 의료기관 방문하기

의료기관 방문 시 의료진에게 최근 해외 여행력을 알려주기

헌혈 보류기간(4) 동안 헌혈을 금지하기



[ 질병관리청 2022-06-14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891 현대자동차(주) 투싼(TL) 차량 도어래치 작동불량 관련 무상수리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47 2019.12.27
2890 2020년에는 이런 재난안전사고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1 2019.12.27
2889 해외 여행 전 검역감염병 오염지역 확인 필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3 2019.12.30
2888 화상사고 예방 위해 안전수칙 준수 필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37 2019.12.30
2887 신년 맞이 산행, 안전사고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3 2020.01.03
2886 수입 비비탄총, 발사강도 미흡해 파괴력 증폭 유발할 수 있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96 2020.01.08
2885 공정위 조사공문 사칭한 해킹메일 피해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1 2020.01.08
2884 인플루엔자 유행 지속, 감염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5 2020.01.13
2883 피해다발업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6 2020.01.13
2882 설 명절 전 후 사이버범죄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7 2020.01.14
2881 설 연휴 소비자 피해주의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6 2020.01.14
2880 2019년 중 주요 손해보험사기 피해사례 관련 소비자 유의사항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6 2020.01.14
2879 사기사이트 정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1 2020.01.15
2878 감염병 예방수칙 지켜 건강한 설 명절 보내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 2020.01.16
2877 설명절 교통사고와 주택화재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9 2020.01.16
2876 홍콩 여행경보, 1단계(여행유의)로 하향 조정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19 2020.01.17
2875 검역단계에서 해외유입 신종코로나바이러스 확진환자 확인 감염병 위기경보를 ‘주의’단계로 상향, 대응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7 2020.01.20
2874 잘못된 의약품 정보에 절대 현혹되지 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32 2020.01.21
2873 한랭질환자 지속 발생, 설 연휴 취약계층 주의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04 2020.01.22
2872 설 명절, 감염병 예방수칙은 꼭 지켜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5 2020.01.23
Board Pagination Prev 1 ...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