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도시가스 요금 이제 신용카드로 납부하세요!
- 작년말 기준 140만 가구가 신용카드로 가스요금 납부 -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주형환)가 최근 도시가스 사용자가 가스요금을 신용카드로 납부하고 있는 실태를 점검한 결과, ‘14년 말에는 카드로 요금을 납부하던 가구의 숫자가 약 16만에 불과했으나 ’15년 말에는 약 140만*으로 증가 했다.
* 전체 가정용 도시가스 사용가구(1,650여만 가구)의 약 9%
 

또한 사용이 가능한 신용카드 회사가 늘어났고, 가스요금을 카드로 납부하는 방식도 인터넷 결제, 자동이체 등으로 다양해져 가스 사용자의 요금납부 편리성이 크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 대부분 도시가스사가 모든 카드의 사용을 허용(단, 창구 납부시)
24개 도시가스사가 인터넷 결제 허용(단, 회사별로 2∼10개 카드사로 제한)
32개 도시가스사가 자동이체 허용(단, 회사별로 1∼10개 카드사로 제한)
 

□ 산업통상자원부는 전국 17개 시?도, 33개 도시가스회사 및 도시가스협회와 공동으로 카드납부시 불편한 점을 줄이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왔다.
 

도시가스 요금의 카드납부는 ‘09. 12월부터 허용됐으나 카드 수수료로 인해 가스요금이 인상될 우려가 있어, 가스사용자가 도시가스회사를 직접 방문하는 경우에만 카드납부를 허용하는 등 카드사용을 제한해 왔다.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지난해 7월 10일 도시가스협회와 4개 주요 카드사(BC, 신한, 삼성, 롯데)간 ‘카드수수료 인하 양해각서(MOU)’ 체결(‘15.7월) 등을 통해 카드수수료를 대폭 낮췄다.
 

서울시, 경기도 등 6개 시?도에서도 ‘도시가스 공급규정’을 개정해 인터넷을 통해 카드로 가스요금을 납부할 수 있게 하는 등 카드납부가 확대되는데 이바지했다.
 

□ 산업통상자원부는 도시가스 사용자들이 보다 편리하게 가스요금을 카드로 납부할 수 있게 지속적으로 노력하기로 했다.
 

ㅇ 특히 지금까지는 일반 가정에서만 요금을 카드로 납부할 수 있었으나, 추후 최대사용량 300m3/월(약 21만원) 이하*의 가스를 사용하는 영세 자영업, 소상공인들도 가스요금을 신용카드로 낼 수 있도록 제도개선을 추진하기로 했다.
*전국 298천 가구가 해당, 계량기 기준으로는 G2.5(4등급) 이하
 
[산업통상산업부 2016-03-2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1675 중요한 표시광고사항 고시 및 통합공고 개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6.17 17
11674 중요한 표시광고사항 고시 개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4.01 14
11673 중요한 표시ㆍ광고사항 고시 개정안 행정예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9.16 67
11672 중요한 표시·광고사항 고시 개정안 행정예고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5.31 80
11671 중요한 표시· 광고 사항 고시 개정안 행정예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5.31 44
11670 중요한 표시 광고사항 고시 개정 및 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2.27 6
11669 중앙행심위, 행정심판 ‘재결일로부터 30일까지’ 처분 집행정지 기간 연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2.23 11
11668 중앙행심위, “기한 넘겨 부과된 이행강제금은 무효”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3.23 139
11667 중앙행심위 “시험 칠 땐 휴대전화 전원 끄고 감독관에게 제출해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8.06 9
11666 중앙생활보장위원회, 2022년도 기준 중위소득 5.02% 인상(4인 기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8.02 38
11665 중앙생활보장위, 2018년 기준 중위소득 및 실태조사 의결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8.01 59
11664 중앙사고수습본부, 선별진료소 운영 의료기관 288개소 공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1.29 30
11663 중앙ㆍ지방 모든 입법예고 통합입법예고센터에서 한 번에 조회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0.16 37
11662 중소형 경유차 실도로 질소산화물 배출 허용기준 강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4.15 57
11661 중소형 경유차 매연기준 2배 강화하여 미세먼지 잡는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3.02 58
Board Pagination Prev 1 ...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