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한국소비자원은 Kinder 초콜릿에서 식중독균인 살모넬라 오염 가능성 있어 독일에서 리콜되고 있다는 정보가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에 접수됨에 따라 국내 유통 여부를 조사했다.
조사 결과, 국내 온라인 쇼핑몰에 동일한 제품이 게시?판매되고 있어 소비자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판매차단 등의 조치를 권고하였으며, 이에 해당 사업자는 제품의 판매를 차단(2022.5.3.기준)하였다.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 있는 Kinder 초콜릿(8) 판매차단 안내>
1. 대상 제품
- 제품 상세 정보
브랜드Kinder
제품명Mix Stiefel
로트번호전체
중량219g
제품 사진
* 이미지 출처 :
BVL
(https://www.bvl.bund.de)
 
< 킨더 초콜릿 관련 정보 >
? 위해 원인 : 킨더 제품의 7%를 매년 생산하는 벨기에 아를롱(Arlon) 공장에서 제조된 제품이 살모넬라균(Sallmonella Typhumurium)에 오염된 것으로 추정(구체적인 경위는 조사 중)
? 위해 현황 : 9개국에서 150건(10세 미만 아동 134명, ’21년 12월 영국에서 시작) 식중독 발생(’22. 4. 8. 기준) 피가 섞인 설사ㆍ발열ㆍ복부 경련 등의 증세를 보이며 대다수 입원
? 조치 현황 : (국외) 벨기에 연방식품안전청(AFSCA)에서 아를롱 공장의 일시 가동 중단 및 폐쇄 명령(’22.4.8.)
유럽 중심으로 소관 부처에서 식중독 경보 공지, 페레로 회사에서 자발적 제품 회수(’22.4.2..)
(국내) 일부 수입 제품 회수 및 해외직구 제품 판매 차단, 향후 국외 제조 킨더 제품 살모넬라 검사 실시 고지(’22.4.11.) 출처 : 유럽질병예방통제센터(ECDC) 자료(‘22.4.12.) 참고
2. 조치 사유
- 해당 제품은 식중독균인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 있어 프랑스에서 리콜됨.
* 살모넬라균에 감염된 사람은 보통 감염 후 12 ~ 36시간 후에 증상이 발현되지만, 잠복 기간은 6 ~ 72시간까지 차이가 있을 수 있음. 살모넬라증의 가장 흔한 증상은 설사이며 다른 증상으로는 열, 두통, 경련성 복통 등이 있을 수 있으며 병은 보통 4 ~ 7일까지 지속됨. 고령자, 영유아, 면역저하자는 더욱 심각한 질병을 겪을 가능성이 높음.
3. 기 조치 사항
- 해당 제품을 취급한 오픈마켓 사이트에 판매차단 조치
4. 소비자 유의사항 및 조치 방법
- 해당 제품을 보유하고 있는 소비자는 즉시 사용을 중지할 것
- 수입·판매사가 확인될 경우에는 연락을 통해 교환, 환급 등의 조치를 받을 것




[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위해정보알림/위해정보  처리속보 2022-06-07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829 무등록 제조 제품을 소분한 곡류가공품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6 2021.06.29
2828 무등록 제조한 기타농산가공품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7 2021.07.29
2827 무선이어폰과 스피커, 화재 위험 있으니 조심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9 2020.04.07
2826 무시동 히터 사용 시 배출가스와 고온 화상에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9 2022.03.25
2825 무신고 수입.제조일자 변조 식품첨가물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1 2021.06.22
2824 무염 표기와 다르게 가염 캐슈넛이 함유된 로손 초벌믹스넛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5 2021.12.27
2823 무인 키즈풀(워터룸) 안전기준 마련해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9 2023.10.24
2822 무좀약 등, 안약으로 오인해 눈에 넣는 사고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1 2018.05.31
2821 무좀약을 눈에? 안약 오인사고 주의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2 2021.11.16
2820 무첨가 표시한 일부 건조 과채류에서 이산화황 검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4 2021.12.21
2819 문자 또는 카카오톡 등 메신저를 통해 가족 또는 친구를 사칭하는 보이스피싱에 유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2 2020.11.04
2818 물기 많은 여름철 감전사고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7 2020.07.02
2817 물기·습기 많은 장마철, 감전사고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4 2022.06.23
2816 물기와 습기 많은 여름 감전사고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8 2018.06.22
2815 물놀이 사고, 생존수영 교육으로 대비하자!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5 2017.07.24
2814 물놀이 사고…음주수영은 50대 이상, 수영미숙은 10대가 가장 많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9 2018.08.08
2813 물놀이 안전수칙 정보무늬(QR코드)로 확인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3 2021.06.16
2812 물놀이, 어린이뿐만 아니라 어르신도 주의해야 !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9 2018.07.19
2811 물티슈 정확히 알아보아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4 2020.04.01
2810 물티슈 판매중단 및 교환 또는 환불 안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507 2016.09.08
Board Pagination Prev 1 ...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 220 Next
/ 2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