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주요 내용 -


□ 올해 온열질환자 56명 신고, 이른 더위로 전년 동기간 대비 2.8배 증가


□ 폭염 시 낮 시간대 공사장‧논밭 등 실외 작업 자제, 기저질환자는 특히 주의


□ 폭염 지속 시에는 외출을 자제하고, 3대 수칙(물‧그늘‧휴식) 준수




□ 질병관리청(청장 백경란)은 올해 「온열질환 응급실감시체계(’22.5.20.~6.6.)」 운영 결과, 발생한 온열질환자는 56명으로 전년 동기간 대비 2.8배(36명) 증가했다고 밝히고, 이른 더위로 인한 건강관리에 각별한 주의를 당부하였다.


   * 온열질환은 열로 인해 발생하는 급성질환으로, 뜨거운 환경에 장시간 노출 시 두통, 어지러움, 근육경련, 피로감, 의식저하 등의 증상을 보이고, 방치 시에는 생명이 위태로울 수 있는 질병으로 열사병과 열탈진이 대표적임.


 ○  「온열질환 응급실감시체계」로 신고(’22.5.20.~6.6.)된 온열질환자는 주로 65세 이상이 32.1%로 많았고, 남자가 78.6%로 많이 발생하였다. 


   - 온열질환 발생은 주로 실외 발생(89.3%)이 많았고, 특히 실외 작업(23.2%)과 농작업(19.6%) 중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온열질환 발생시간은 주로 낮시간대인 12~17시에 53.6%가 발생하였다. 



□ 온열질환자가 발생하면 즉시 환자를 시원한 장소로 옮기고, 물수건‧물‧얼음 등으로 몸을 닦고, 부채나 선풍기 등으로 체온을 내리며, 증상이 호전되지 않으면 의료기관을 방문해야 한다.


 ○ 특히 의식이 없는 경우에는 신속히 119에 신고하여 병원으로 이송해야 하며, 질식 위험이 있으므로 음료수를 억지로 먹이지 않도록 한다.



□ 어린이나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는 자동차나 집에 혼자 남겨두지 않도록 하며, 부득이 외출할 때에는 이웃이나 친인척에게 보호를 부탁해야 한다. 


 ○ 만성질환(심‧뇌혈관질환, 고혈압‧저혈압, 당뇨병, 신장질환 등)이 있는 경우, 더위로 인해 증상이 악화될 수 있으므로, 더위에 오래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고, 기존 치료를 잘 유지하면서 무더위에는 활동 강도를 평소의 3분의 2 수준으로 낮추는 것이 좋다. 


 ○ 음주는 체온을 상승시키며, 다량의 카페인이 함유된 커피나 탄산음료는 이뇨작용으로 탈수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과음(과용)을 피한다. 



□ 질병관리청 백경란 청장은 “무더위 속에서 실외에서 일하시는 분, 어르신, 만성질환자는 온열질환에 취약하므로 예방을 위해 폭염 시 낮 시간대 작업과 외출을 최대한 자제하고, 물‧그늘‧휴식 3대 수칙을 준수하여 주실 것”을 거듭 강조하였다.


( 폭염대비 건강수칙 3가지 )


① 물 자주 마시기

 - 갈증을 느끼지 않아도 규칙적으로 자주 물이온음료 마시기

  * 신장질환자는 의사와 상담 후 섭취


② 시원하게 지내기

 - 시원한 물로 목욕 또는 샤워하기

 - 헐렁하고 밝은 색깔의 가벼운 옷 입기

 - 외출 시 햇볕 차단하기(양산모자)


③ 더운 시간대에는 휴식하기

 - 가장 더운 시간대(낮 12시 ~ 17)에는 휴식 취하기

  * 갑자기 날씨가 더워질 경우 자신의 건강상태를 살피며 활동 강도 조절하기



[ 질병관리청 2022-06-08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605 온열질환자 전년대비 61% 폭증, 1주일새 556명 발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7.23 23
» 온열질환자 전년 대비 증가세, 건강수칙 준수 당부 (6.8.)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6.08 183
9603 온라인플랫폼 공정화법 제정안 입법예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9.28 14
9602 온라인플랫폼 검색광고 관련 소비자 인식설문조사 결과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1.21 18
9601 온라인을 통해 금융상품 해지를 보다 쉽게 할 수 있도록 개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6.20 52
9600 온라인을 통한 "국민 삶의 질" 측정지표에 대한 국민의견 수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0.19 31
9599 온라인으로 의약품 중고거래 안돼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8.02 11
9598 온라인으로 의약품 구매? 안 돼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5.18 36
9597 온라인으로 아세트아미노펜 해열제 구매? 안 돼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6.11 22
9596 온라인으로 법률상담 신청하면, 변호사에게 대면으로 상담 받는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6.30 69
9595 온라인으로 더 빠르게 예방접종 예약 신청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5.07 38
9594 온라인으로 구입한 가구 ‘품질’ 관련 불만이 많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2.15 11
9593 온라인에서 판매되는 '점빼는 기계' 무허가로 적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2.20 46
9592 온라인에서 인기 농특산물 싸게 사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5.14 21
9591 온라인에서 의약품 판매.구매 절대 안 돼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12.20 21
Board Pagination Prev 1 ... 281 282 283 284 285 286 287 288 289 290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