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주요 내용 -

□ 위기평가 결과, 원숭이두창에 대한 수준을 고위험집단에 대해서는 ‘중간’, 일반인에 대해서는 ‘낮음’으로 평가

□ 질병관리청「원숭이두창 대책반」구성·운영 등 국내유입 대비
 ○ 2급 및 검역감염병으로 지정하여 해당국가 방문자에 대한 입국자 검역 및 모니터링 강화
 ○ 국내 유입 시 조기 발견을 위해 의료기관에 의심환자 내원 시 주의사항 및 신고 안내
 ○ 원숭이두창 발생지역에서 귀국 후 21일 이내 발진, 발열 등 의심증상 발생 시 의료기관 방문 전 질병관리청 콜센터(☎ 1339) 문의 당부

□ 질병관리청(청장 백경란)은 해외 원숭이두창 환자 발생 증가에 따른 국내 유입 가능성도 점차 증가하는 상황이라고 설명하면서, 

 ○ 지난 30일 위기관리전문위원회 자문 및 금일 오후 2시 원숭이두창 관련 위기평가회의를 거쳐 감염병 위기 경보 수준을 ‘관심’ 단계로 발령한다고 발표하였다.



□ 위기평가회의에서는 해외 입국자가 증가하는 상황에서 동 질환의 국내로의 유입가능성도 따라서 증가할 수 있기 때문에 고위험집단에서의 위험도는 ‘중간’, 일반인에서의 위험도는 ‘낮음’으로 평가되었다.

 ○ 유럽에서 특정 집단 중심의 사례가 보고되었고 향후 추가사례가 지속 발생될 것으로 예상되어 국내 유입 가능성이 있으며,

 ○ 질병자체의 영향력은 낮으나, 고위험집단에서 노출될 위험이 높기에 위험도는 ‘중간’으로 평가되었고, 일반인에서는 발생가능성이 낮으므로 위험도는 ‘낮음’으로 평가되었다. 

 ○ 세계보건기구(WHO)는 5월 29일(현지시간) 원숭이두창에 대한 ‘보통위험 (moderate risk)’ 수준으로 평가하는 결과를 공개한 바 있다.
    *‘비(非) 엔데믹국가 원숭이두창 발생 보고 현황’ 보고서에서 2단계 보통수준으로 평가
   ** 세계보건기구(WHO) 위험평가(5단계): ▲ (0단계) 매우 낮은 위험 ▲ (1단계) 낮은 위험 ▲ (2단계) 보통 위험 ▲ (3단계) 높은 위험 ▲ (4단계) 매우 높은 위험 



□ 원숭이두창은 5월 31일 현재까지 31개국에서 473명의 확진자와 136명의 의심자가 보고되었으며 5월 이후 영국, 스페인, 포르투갈, 독일, 프랑스, 캐나다, 미국 등 풍토병이 아닌 국가에서 이례적으로 발생하는 상황이다.



□ 현재 우리나라의 감염병 위기 경보는 관심→ 주의→ 경계→ 심각 등 4단계로 나누어 적용하고 있으며, 관심은 해외 신종 감염병의 ‘발생과 유행’시, 발령하는 조치이다.
  ※ 해외감염병 위기경보(현재):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심각, ‘20.2.23~), 중동호흡기  증후군(MERS)(관심, ’18.9.22~), 동물인플루엔자인체감염증(AI)(관심, ‘22.5.31~)


□ 이에 따라 방역당국은 오늘부터 대책반을 가동하여 각 나라의 발생 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하면서, 지자체, 의료계, 민간전문가와 협력을 통해 지역사회 환자감시 및 의심사례에 대한 대응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 현재까지 국내에서 확인된 발생 사례는 없으나, 이후 국내에서 원숭이두창 확진자가 확인될 경우 위기 경보 수준을 ‘관심’에서 ‘주의’ 단계로 상향 조정할 수 있다고 발표하였다.

 ○ 원숭이두창을 법정 감염병으로 지정하는 고시개정*을 추진하되, 고시 개정 이전에는 신종감염병증후군으로 선제적으로 관리하여 의심환자 신고, 역학조사, 치료기관 지정, 격리대응 등 감염병 대처에 만전을 기하기로 하였다.
   * 「질병관리청장이 지정하는 감염병의 종류」, 「감염병의 진단기준 고시」, 「질병관리청장이 긴급검역조치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감염병 고시」


□ 방역당국은 원숭이두창 조기발견과 지역사회 확산차단을 위해서는 국민과 의료계의 협조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하며,

 ○ 원숭이두창 발생국가를 방문 또는 여행하는 국민들에게는, 

  - 현지에서 유증상자 및 설치류 등 야생동물과의 접촉을 피하고, 마스크 착용, 손 씻기 등 개인위생수칙과 안전여행수칙의 준수를 당부하였다.

  - 또한, 귀국 후 3주 이내 발열, 오한 그리고 수포성 발진 등 의심증상이 있는 경우 1339로 문의하여 안내받으시기 바라며, 이러한 증상으로 의료기관을 방문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마스크를 착용하고 해외여행력을 의료진에게 알리는 등 감염예방행동수칙을 준수해줄 것을 당부하였다. 

 ○ 의료진에 대해서는 원숭이두창 의심환자를 진료 시 안전한 보호구를 착용하고 질병관리청 콜센터 1339번으로 연락해주실 것을 당부하였다.


[ 질병관리청 2022-05-31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1632 Red Crown 가성소다, 어린이 보호포장 미비하여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5 2020.05.21
1631 IRIS 온풍기, 부품 결함으로 화재 발생 가능성 있어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6 2020.05.21
1630 Fair&White Miss White 바디로션, 유해물질 함유되어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06 2020.05.21
1629 플라스틱 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Branston 피클 판매차단(3)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80 2020.05.21
1628 플라스틱 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Branston 피클 판매차단(2)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03 2020.05.21
1627 플라스틱 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Branston 피클 판매차단(1)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83 2020.05.21
1626 유해물질 함유되어 발암 위험 있는 BECO 수영장갑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1 2020.05.21
1625 승용스포츠 제품으로 인한 어린이 안전사고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8 2020.05.21
1624 피해다발업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02 2020.05.20
1623 더워지는 계절, 비브리오 식중독에 주의 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1 2020.05.20
1622 코로나19 상황을 틈타 급전 필요한 분, 고액 일당 지급 등을 미끼로 한 보험사기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82 2020.05.20
1621 5월은 겨울보다 등산 사고가 많아 조심!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3 2020.05.14
1620 코로나19 예방을 위한 손 위생용품 바로 알기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9 2020.05.14
1619 쉽게 결정하는 백내장 수술, 부작용 발생에 주의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4 2020.05.14
1618 '과산화수소' 직접 먹어서는 절대 안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10 2020.05.14
1617 퍼프린젠스 봄철 식중독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3 2020.05.12
1616 피해다발업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1 2020.05.11
1615 5월에는 야외활동 안전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6 2020.05.07
1614 해외 여행사 ‘Travelgenio, Travel2be’ 소비자피해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83 2020.05.07
1613 피해다발업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9 2020.04.29
Board Pagination Prev 1 ...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