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학교 응급처치 교육, 실습 확대로 교육 실효성 높여야

- 심폐소생술(CPR)·자동심장충격기(AED) 실습 확대, 교재 지원 필요-

심정지 사고의 골든타임은 약 4~6분에 불과해 환자의 생명을 살리기 위해서는 발견 즉시 심폐소생술(CPR)을 실시하는 등 신속한 응급처치가 매우 중요하다. 이에 최근 자동심장충격기(AED) 설치가 확대되고 학교보건법을 통해 심폐생술 응급처치 교육이 의무화되었다.

그러나 한국소비자원(원장 장덕진)이 고교 재학 중 응급처치 교육을 받은 대학생 163명을 면접 조사한 결과, 상당수가 응급처치 방법을 정확하게 알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응급처치 교육의 실효성을 높이는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

조사대상의 11.7%만이 응급처치 절차와 방법을 정확히 알고 있어

고교 재학 중 응급처치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대학생(163)에게 심정지 환자에 대한 응급처치 요령을 알고 있는지 확인한 결과, 심폐소생 방법(가슴압박 및 인공호흡 등)을 숙지하고 있는 응답자는 73.6%(120)였다.

그러나 응급처치 순서(환자상태 확인심폐소생술자동심장충격기 사용)를 정확하게 알고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56.4%(92)였으며, 패드부착 위치 등 자동심장충격기 사용방법을 알고 있는 응답자는 24.5%(40)로 나타났다.

특히 응급처치 순서와 심폐소생 방법 등 전체 응급처치 요령을 정확히 알고 있는 비율은 11.7%(19)에 불과했다.

[ 고등학교 응급처치 교육경험자의 응급처치 요령 숙지 결과 ]

구분

응급처치 순서1)

CPR 방법2)

AED 사용방법3)

개별 항목 응답자(비율)

92(56.4%)

120(73.6%)

40(24.5%)

전체 항목 응답자(비율)

19(11.7%)

1) 현장안전 확인 반응 확인 119 신고 맥박 및 호흡 확인 심폐소생술 자동심장충격기 사용

2) 가슴압박(100~120/)과 인공호흡 비율 30 : 2

3) 패드부착 위치

교육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주기적인 교육과 실습 확대가 필요

한국소비자원이 15개 시도 교육청*의 자료 협조를 받아 분석한 결과, 2017부터 2019년까지 99% 이상의 고등학교에서 응급처치 교육을 시행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서울, 부산, 대구, 광주, 대전, 울산,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15)

그러나 이번 조사 결과, 응급처치 교육을 받았음에도 처치 방법을 정확히 알고 있는 경우가 많지 않았다. 응급처치 교육을 위급상황에서 실제 적용할 수 있으려면 체계적이고 반복적인 교육과 더불어 심폐소생술(CPR)자동심장충격기(AED) 등의 실습 교육, 수업 매뉴얼영상자료와 같은 교재 지원, 강사의 전문성 등이 중요하다.

또한, 학교 응급처치 교육에서 보완할 점(복수응답)에 대한 답변으로 실습(자동심장충격기 93.8%, 심폐소생술 실습 90.1%)과 교육 횟수 확대(52.1%)를 많이 선택한 것으로 조사되어, 이에 대한 방안 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고등학교 응급처치 교육 보완점(복수응답) ]

구분

AED 실습 확대

CPR 실습 확대

교육 횟수 확대

강사의 전문성

교재 확대

기타

응답자(비율)

153(93.8%)

147(90.1%)

85(52.1%)

30(18.4%)

16(9.8%)

2(1.2%)

 

한국소비자원은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부에 학생의 응급상황 대응능력 향상을 위한 체계적인 교육 및 실습 확대, 응급처치 교육 효과의 증진을 위한 교재(수업 매뉴얼, 영상자료) 제작배포를 요청할 예정이다.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 참조 바랍니다.


[한국소비자원 2022-05-3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4313 콘도회원권 판매 상술 갈수록 지능화되고 있어 주의 요망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493 2015.06.11
4312 석면 함유된 CARACO 규조토 발매트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86 2021.02.26
4311 2014년 12월 소비자 위해정보 동향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470 2015.02.26
4310 2015년 2차, 3차 안전성조사 부적합제품 현황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469 2015.04.30
4309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5.3.20.∼2015.3.26.)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449 2015.03.30
4308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5.2.27.∼2015.3.5.)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444 2015.03.09
4307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421 2015.01.05
4306 [공지]가전제품 판매사이트 다와가전 주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415 2015.04.30
4305 유아․어린이 안전 위해제품 28개 리콜명령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385 2015.05.11
4304 [공지]가전제품 판매사이트 히든가전, 히든스토어 주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374 2015.06.12
4303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5.1.23.∼2015.1.29.)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359 2015.02.02
4302 작은 부품 탈락하는 Hape 자석 장난감 판매 중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313 2015.05.12
4301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5.1.1.∼2015.1.8.)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313 2015.01.13
4300 [보도]SNS 이용, 블랙프라이데이 해외직구 사기피해 주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301 2015.12.29
4299 현대자동차(주)·기아자동차(주) 세타Ⅱ 엔진 보증기간 연장 실시 안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299 2016.10.13
4298 식약처, 미세먼지 대비 보건용 마스크 구입 및 사용 정보 제공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294 2015.12.24
4297 레녹스 내열냄비 탈착형 손잡이 무상 제공 안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286 2016.10.28
4296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5.1.16.∼2015.1.22.)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286 2015.01.26
4295 톳환·다시마환 제품, 비소 및 카드뮴 다량 함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85 2017.09.05
4294 해외구매 소비자피해 주의보 발령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284 2015.11.17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