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학교 응급처치 교육, 실습 확대로 교육 실효성 높여야

- 심폐소생술(CPR)·자동심장충격기(AED) 실습 확대, 교재 지원 필요-

심정지 사고의 골든타임은 약 4~6분에 불과해 환자의 생명을 살리기 위해서는 발견 즉시 심폐소생술(CPR)을 실시하는 등 신속한 응급처치가 매우 중요하다. 이에 최근 자동심장충격기(AED) 설치가 확대되고 학교보건법을 통해 심폐생술 응급처치 교육이 의무화되었다.

그러나 한국소비자원(원장 장덕진)이 고교 재학 중 응급처치 교육을 받은 대학생 163명을 면접 조사한 결과, 상당수가 응급처치 방법을 정확하게 알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응급처치 교육의 실효성을 높이는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

조사대상의 11.7%만이 응급처치 절차와 방법을 정확히 알고 있어

고교 재학 중 응급처치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대학생(163)에게 심정지 환자에 대한 응급처치 요령을 알고 있는지 확인한 결과, 심폐소생 방법(가슴압박 및 인공호흡 등)을 숙지하고 있는 응답자는 73.6%(120)였다.

그러나 응급처치 순서(환자상태 확인심폐소생술자동심장충격기 사용)를 정확하게 알고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56.4%(92)였으며, 패드부착 위치 등 자동심장충격기 사용방법을 알고 있는 응답자는 24.5%(40)로 나타났다.

특히 응급처치 순서와 심폐소생 방법 등 전체 응급처치 요령을 정확히 알고 있는 비율은 11.7%(19)에 불과했다.

[ 고등학교 응급처치 교육경험자의 응급처치 요령 숙지 결과 ]

구분

응급처치 순서1)

CPR 방법2)

AED 사용방법3)

개별 항목 응답자(비율)

92(56.4%)

120(73.6%)

40(24.5%)

전체 항목 응답자(비율)

19(11.7%)

1) 현장안전 확인 반응 확인 119 신고 맥박 및 호흡 확인 심폐소생술 자동심장충격기 사용

2) 가슴압박(100~120/)과 인공호흡 비율 30 : 2

3) 패드부착 위치

교육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주기적인 교육과 실습 확대가 필요

한국소비자원이 15개 시도 교육청*의 자료 협조를 받아 분석한 결과, 2017부터 2019년까지 99% 이상의 고등학교에서 응급처치 교육을 시행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서울, 부산, 대구, 광주, 대전, 울산,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15)

그러나 이번 조사 결과, 응급처치 교육을 받았음에도 처치 방법을 정확히 알고 있는 경우가 많지 않았다. 응급처치 교육을 위급상황에서 실제 적용할 수 있으려면 체계적이고 반복적인 교육과 더불어 심폐소생술(CPR)자동심장충격기(AED) 등의 실습 교육, 수업 매뉴얼영상자료와 같은 교재 지원, 강사의 전문성 등이 중요하다.

또한, 학교 응급처치 교육에서 보완할 점(복수응답)에 대한 답변으로 실습(자동심장충격기 93.8%, 심폐소생술 실습 90.1%)과 교육 횟수 확대(52.1%)를 많이 선택한 것으로 조사되어, 이에 대한 방안 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고등학교 응급처치 교육 보완점(복수응답) ]

구분

AED 실습 확대

CPR 실습 확대

교육 횟수 확대

강사의 전문성

교재 확대

기타

응답자(비율)

153(93.8%)

147(90.1%)

85(52.1%)

30(18.4%)

16(9.8%)

2(1.2%)

 

한국소비자원은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부에 학생의 응급상황 대응능력 향상을 위한 체계적인 교육 및 실습 확대, 응급처치 교육 효과의 증진을 위한 교재(수업 매뉴얼, 영상자료) 제작배포를 요청할 예정이다.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 참조 바랍니다.


[한국소비자원 2022-05-3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1956 절연장치가 미흡해 감전의 위험 있는 수족관 LED 조명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1 2021.02.08
1955 영유아가 굴러 떨어져 사망사고 위험있는 인클라이너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136 2021.02.08
1954 강력한 자성 있는 부품이 분리될 시 질식 위험 있는 완구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8 2021.02.08
1953 폴대와 톱날이 분리돼 중상해를 일으킬 수 있는 가지치지용 톱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0 2021.02.08
1952 무게가 가해지면 작은 조각으로 깨져 질식 위험 있는 완구 판매차단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4 2021.02.08
1951 소형 부품이 쉽게 분리돼 질식 위험있는 딸랑이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0 2021.02.08
1950 알레르기 성분 미표시된 Marco 견과류 잼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4 2021.02.08
1949 코로나19 재난지원금·대출·주식투자 유도 문자 속지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4 2021.02.08
1948 신분증,카드번호 등 개인(신용)정보를 요구하는 보이스피싱 경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8 2021.02.05
1947 오토바이 브레이크 마찰재에서 석면 등 유해물질 검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9 2021.02.04
1946 유명 아이돌그룹 굿즈 판매 온라인 쇼핑몰 소비자 주의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3 2021.02.04
1945 식품.의약품.의료기기 등 온라인 중고거래 주의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6 2021.02.03
1944 “설 명절 택배, 상품권 소비자 피해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4 2021.02.03
1943 작은 부품 탈락해 삼킴 사고 위험 있는 TY.UK.LTD 봉제인형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3 2021.02.01
1942 에틸렌옥사이드 과다 함유된 Al’Fez 참깨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4 2021.02.01
1941 작은 부품 탈락해 삼킴 사고 위험 있는 MTTXGS 봉제인형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5 2021.02.01
1940 작은 부품 탈락해 삼킴 사고 위험 있는 BabyBus 봉제인형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6 2021.02.01
1939 작은 부품 탈락해 삼킴 사고 위험 있는 Plan toys 완구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2 2021.02.01
1938 작은 부품 탈락해 삼킴 사고 위험 있는 Winsterch 봉제인형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0 2021.02.01
1937 화상 및 감전 위험 있는 CNC 레이져 조각기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2 2021.02.01
Board Pagination Prev 1 ...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