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2021년 한약소비 실태조사 결과 발표

- 한약 이용 치료 질환은 근골격 계통 비중이 가장 높아 -
- 한방분야 우선 개선사항은 보험급여적용 확대, 정확한 정보 제공 및 홍보 등 -

□ 보건복지부는 한방 진료 및 처방, 한약 조제(판매), 탕전 이용 및 한약재 구입현황 등 한약 소비의 전반적인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하였다.

 ○ 동 조사는 2008년 이후 3년 주기로 실시되었으나, 빠르게 변화하는 정책 여건에 대응하고자 조사주기를 2년으로 단축하여 2021년 제6차 한약소비실태조사를 진행하게 되었다.

 ○ 이번 실태조사는 국민들에게 공신력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 한의약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 통계자료를 생산하고자 통계청의 승인을 받아 작년 10월부터 올해 2월까지 실시하였으며

   - 한방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한방의료기관과 약국·한약방 등 한약 조제·판매 기관 3,000여 개소를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 실태조사 개요 >

구분
한약소비 실태조사
조사기간/수행
◾ 2021년 10월 ~ 2022년 2월 / 한국한의약진흥원 및 한국갤럽조사연구소
조사방법
◾ 조사원 방문면접, 유치조사(설문지 전달 후 회수), 팩스/이메일 등
조사대상

◾ 한방의료서비스 부문: 2,309개소

 · 한방병원(155개소), 한의원(1,850개소), 한의사 근무 요양병원·(종합)병원(304개소)

◾ 조제·판매 부문: 986개소

 · 약국*(606개소), 한약방(380개소)
   * 한약국, 한약사 또는 한약조제약사가 근무하는 약국
조사내용
◾ 기관 현황, 진료·처방, 탕전 이용 현황 등
조사기준시점
◾ 2020년 1월∼2020년 12월


□ 2021년 한약소비 실태조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① 한방의료서비스 일반사항

 ○ (진료과목) 한방병원은 한방내과(95.9%)가 가장 많고, 한방재활의학과(89.6%), 한방부인과(89.1%), 침구과(88.9%) 등 순이며,

   - 한의원 대표자 중 전문의 자격을 가진 비율도 한방내과(77.1%)가 가장 많고, 한방부인과(32.9%), 침구과(30.6%), 한방소아과(18.9%) 등 순으로 나타났다.

 ○ (인력 현황) 한방병원의 평균 한의사 수는 4.3명, 의사 1.0명, 약사 0.2명, 한약사 1.0명 등이며, 한의원의 평균 한의사 수는 1.1명으로 나타났다.

   - 한의사 근무 요양병원·(종합)병원의 평균 한의사 수는 1.5명, 의사는 4.2명이다.

② 한약(첩약, 한약제제(보험, 비보험)) 및 기관 종류별 다빈도 처방(조제)·조제(판매) 질환과 처방명

 ○ (첩약) 한방병원의 다빈도 처방(조제) 질환은 근골격계통이 74.5%로 가장 많았고, 근골격계통에 대한 첩약 처방명은 오적산이 49.5%로 가장 많았다.
   - 한의원, 요양·(종합)병원, 약국‧한약방의 첩약 다빈도 처방(조제) 질환과 그에 대한 처방명도 각각 근골격계통과 오적산이 가장 많았다.

 ○ (비보험 한약제제) 한방병원의 다빈도 처방(조제) 질환은 근골격계통이 44.9%로 가장 많았고, 근골격계통에 대한 비보험 한약제제 처방명은 당귀수산이 43.4%로 가장 많았다.

   - (한의원) 비보험 한약제제 다빈도 처방(조제) 질환은 소화계통이 46.3%로 가장 많았고, 소화계통 질환 비보험 한약제제 처방명으로 평위산이 24.6%로 가장 많았다.

   - (요양·(종합)병원) 비보험 한약제제 다빈도 처방(조제) 질환은 근골격계통이 53.5%로 가장 많았고, 근골격계통 질환 비보험 한약제제 처방명으로 오적산이 52.0%로 가장 많았다.

   - (약국·한약방) 비보험 한약제제 다빈도 조제(판매) 질환은 호흡계통이 67.3%로 가장 많았고, 호흡계통 질환에 대한 비보험 한약제제 처방으로 갈근탕이 39.3%로 가장 많았다.

○ (보험 한약제제) 한방병원의 다빈도 처방(조제) 질환은 호흡계통이 45.4%로 가장 많았고, 호흡계통 질환에 대한 보험 한약제제 처방명으로는 소청룡탕이 41.0%로 가장 많았다.

   - (한의원) 보험 한약제제 다빈도 처방(조제) 질환은 소화계통이 58.0%로 가장 많았고, 소화계통 질환에 대한 보험 한약제제 처방명으로 평위산이 35.7%로 가장 많았다.

   - (요양·(종합)병원) 보험 한약제제 다빈도 처방(조제) 질환은 근골격계통이 45.6%로 가장 많았고, 근골격계통 질환 보험 한약제제 처방명으로 오적산이 48.0%로 가장 많았다.

 ○ (선호 한약 제형) 탕제가 가장 높았으며, 그 이유로는 효과가 빠르다는 점을 들었다. 그 외 복용 및 휴대가 편리하다는 점에서 환제, 산제·과립제 등도 선호하였다.

* 한방병원: 탕제(93.4%), 산제·과립제(61.5%), 환제(39.8%), 고제(25.8%) 등
* 한의원: 탕제(99.2%), 환제(59.7%), 산제·과립제(28.4%), 연조엑스제(25.7%) 등
* 요양·(종합)병원: 탕제(84.6%), 환제(38.0%), 산제·과립제(32.1%), 연조엑스제(28.6%) 등
* 약국·한약방: 탕제(81.4%), 산제·과립제(27.9%), 환제(22.8%), 정제(9.4%) 등


③ 탕전 이용 및 한약재 소비 실태

○ (탕전 이용) 한방병원은 본 의료기관 내 탕전실을 이용하는 비율이 80.5%, 타 의료기관 원외탕전실을 이용하는 비율이 20.6%, 두 가지 방식을 모두 이용하는 병원 비율은 6.2%로 조사되었다.

   - 한의원은 본 의료기관 내 탕전실을 이용하는 비율이 81.1%, 타 의료기관 원외탕전실을 이용하는 비율이 26.4%, 두 가지 방식 모두 이용하는 병원 비율이 10.8%로 나타났다.

○ (한약재 소비) 한방병원, 한의원, 약국·한약방의 경우 가장 많이 소비한 한약재는 당귀, 감초 순으로 나타났으며, 요양·(종합)병원은 당귀, 숙지황 순이었다.

  - 사용한 한약재의 평균 가지 수는 한약방 99.8개, 한의원 93.1개, 한방병원 80.9개, 요양·(종합)병원 80.0개, 약국 70.3개 순으로 나타났다.

④ 한약 이용 확대방안

 ○ (개선사항) 모든 조사대상에서 ‘보험급여 적용 확대’가 가장 높은 응답률을 보였으며, 다음으로 ‘국민에게 한방의료에 대한 정확한 정보 제공 또는 홍보’를 꼽았다.

○ (건강보험 급여 확대) 우선 적용이 필요한 치료법에 대해서는 한방병원과 한의원의 경우 ‘첩약’이라는 응답이 높은 반면, 요양병원·(종합)병원에서는 ‘한약제제’라는 응답이 높았다.


□ 보건복지부 강민규 한의약정책관은 “이번 실태조사를 통해 나타난 한약 소비실태 현황을 적극 활용하여 정책을 개발‧추진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 아울러 “올해에는 국민들의 한의약 이용 현황을 파악할 수 있는 한방의료이용 실태조사를 실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붙임> 한약소비 실태조사 인포그래픽


[보건복지부 2022-05-30]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120 재난취약시설 의무보험 계도기간 연장 운영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2.29 36
5119 국립공원, 해맞이·해넘이 명소 6곳 선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2.29 47
5118 금융꿀팁 200선 - (76) 사모펀드 투자시 유의사항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2.29 37
5117 2017년 12월 및 연간 소비자물가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2.29 34
5116 광역시·강원권 지상파 초고화질 방송(UHD) 개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2.28 39
5115 출근부터 퇴근까지, 산재보험이 지켜드립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2.28 38
5114 새해부터 달라지는 금융제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2.28 29
5113 공정위. 2017년도 하반기 경쟁제한적 규제 개선 방안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2.28 35
5112 2018년 기초연금 선정기준액,’17년 119만원에서 12만원 오른 131만원(단독가구 기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2.28 34
5111 법제처. 2018년 상반기부터 이렇게 바뀝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2.28 35
5110 실업급여제도,1995년 도입이후 22년만에 대폭 개선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2.28 41
5109 장해보험금 지급기준을 전면 정비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2.28 33
5108 국세, 은행 CD/ATM기에서 신용카드로 납부 가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2.28 42
5107 2018년 「오피스텔·상업용 건물 기준시가」정기고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2.28 49
5106 인천공항 수하물처리 빠르고 똑똑해진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2.28 41
Board Pagination Prev 1 ... 580 581 582 583 584 585 586 587 588 589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