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응급실 방문 온열질환자를 파악하여 질병관리청 누리집에 일일 현황정보 제공

 ’21 응급실 방문 온열질환자는 총 1,376명이었고, 이중 사망은 20

 갑작스러운 더위에 열사병, 열탈진 등 온열질환 주의 필요


□ 질병관리청(청장 백경란)은 여름철 폭염으로 인한 건강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2022년 5월 20일부터 9월 30일까지 「온열질환* 응급실 감시체계」를 운영한다고 밝혔다.

   * 온열질환은 열로 인해 발생하는 급성질환으로 뜨거운 환경에 장시간 노출 시 두통, 어지러움, 근육경련, 피로감, 의식저하 등의 증상을 보이고 방치 시에는 생명이 위태로울 수 있는 질병으로 열사병과 열탈진이 대표적임

 ○ 「온열질환 응급실감시체계」는 전국 500여 개 응급실 운영 의료기관이 관할 보건소 및 시·도, 질병관리청과 협력하여 응급실에 내원한 온열질환자를 파악하고 폭염의 건강영향을 감시한다.

 ○ 수집된 온열질환 발생현황 정보는 질병관리청 누리집*(www.kdca.go.kr)을 통해 매일 제공될 예정이다.
   * 질병관리청 누리집(http://www.kdca.go.kr) → 정책정보 → 기후변화 → 폭염 → 신고현황

□ 지난해(2021년) 「온열질환 응급실감시체계」를 통해 파악된 온열질환자는 총 1,376명으로 이중 사망자는 20명이었다. (붙임1 참조)

 ○ (발생) 남자(75.9%)가 여자(24.1%)보다 많았고, 연령별 인구 10만명당 온열질환자 수는 80세 이상에서(7.6명) 가장 많았다.

   - 시·도별로는 경기(271명), 경남(126명), 경북(124명), 서울(121명), 전남(110명) 순으로 많았고, 발생장소는 실외 작업장이 40.3%(555명)로 가장 많았다.

 ○ (사망) 남자(75%)가 여자(25%)보다 많았고, 주로 실외 논・밭(25%)에서 발생하였다.

   - 추정 사망자는 온열질환 감시체계 운영 시작(’11년) 이후 2번째(‘18년 48명, ’21년 20명)로 많았고, 사인은 모두 열사병으로 추정되었다.

   - 따라서, 폭염에 노출되어 열사병 증상*이 의심되는 경우 즉시 병원으로 이송하여 조치해야 한다.
   * 체온 40℃ 초과, 의식장애·혼수상태, 피부 건조, 오한 등 

□ 질병관리청 백경란 청장은 “올여름은 평년(1991~2021)보다 무더운 날씨를 보일 때가 많을 것이라는 기상청의 기후 전망에 따라 갑작스런운 더위로 인한 온열질환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라고 강조하며,

 ○ “「온열질환 응급실감시체계」 운영을 통해 폭염으로 인한 건강피해를 조기에 인지하여 신속히 대응할 수 있도록 발생현황 정보를 적시에 제공하겠다”라고 밝혔다.


( 폭염대비 건강수칙 3가지 )


① 물 자주 마시기

- 갈증을 느끼지 않아도 규칙적으로 자주 물, 이온음료 마시기

* 신장질환자는 의사와 상담 후 섭취

 

 시원하게 지내기

- 시원한 물로 목욕 또는 샤워하기

- 헐렁하고 밝은 색깔의 가벼운 옷 입기

- 외출 시 햇볕 차단하기(양산, 모자)

 

 더운 시간대에는 휴식하기

- 가장 더운 시간대( 12~5)에는 휴식 취하기

* 갑자기 날씨가 더워질 경우 자신의 건강상태를 살피며 활동 강도 조절하기



[ 질병관리청 2022-05-20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713 패스트푸드 가격 적정성 분석 보도자료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20 67
9712 소비자의 카드대금 납부 마감시간이 연장됩니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17 67
9711 담배 내 캡슐의 가향성분 분석 결과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13 67
9710 비엠더블유 528i 등 14개 차종 리콜 실시(총 2,102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2.30 67
9709 연금저축 해지-연금수령 신청시 제출서류가 줄어듭니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2.23 67
9708 에어로졸 제품 사용 부주의시 화재·폭발 우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2.21 67
9707 2017년 기초연금 및 장애인연금 선정기준 고시 개정안 행정예고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2.20 67
9706 연대보증인/담보제공자에 대한 통지가 강화됩니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2.13 67
9705 2016년 해외 인터넷 직접 구매 제품 검사 결과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1.21 67
9704 시중유통 컬러 콘택트렌즈 일부 제품 기준 부적합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1.18 67
9703 선불카드 사용자의 권익 보호가 한층 강화됩니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1.17 67
9702 유행성 눈병 증가, 예방수칙 준수 철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9.13 67
9701 중금속 기준 초과 검출 수입 ‘당귀’ 회수 조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0.27 67
9700 2016년 3분기 생활필수품 가격조사 결과 보도자료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0.24 67
9699 중국산 냉동다슬기살(자숙) 납 기준초과 검출 회수조치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0.13 67
Board Pagination Prev 1 ... 273 274 275 276 277 278 279 280 281 282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