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2021년 어린이(1~18)의 식품첨가물 섭취 수준을 평가한 결과, 위해도가 ADI 대비 1.4% 이하로 안전한 수준

- 섭취군만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2.6% 이하, 고섭취군(95백분위수)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도 11.3% 이하로 안전한 

 수준

어린이가 선호하는 식품유형*에서 발색제인 아질산염(36.5%), 감미료인 수크랄로스(14.1%), 보존료인 소브산(7.5%) 

  순으로 식품첨가물 검출률이 높았음

* 어린이가 선호하는 식품유형 361,219

2022년에는 노인, 2023년에는 1인 가구가 선호하는 가공식품에 사용된 식품첨가물까지 대상을 확대해 섭취 수준과 

  안전성을 조사할 계획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식품의약품안전처 2022-05-12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245 학교주변 판매식품‘안심점검 서비스’실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0.19 60
9244 연금저축 월평균 수령액 28만원, 최소 노후생활비의 28% 수준에 불과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0.18 60
9243 전기자전거, 1회 충전 후 주행거리는 제품 간 최대 약 1.9배 차이나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4.24 60
9242 성인 4명 중 1명, 평생 1번 이상 정신질환 겪어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4.13 60
9241 다가구 임대주택 등록 쉬워져, 임차인 주거안정 강화 된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4.12 60
9240 청호이지캐쉬 ATM 악성코드 감염에 따른 대응 조치 및 금융소비자 유의사항 안내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21 60
9239 P&G 기저귀에서 다이옥신, 살충제 성분 미검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16 60
9238 식약처, ‘2017년 청소년 약 바르게 알기 지원 사업’ 실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16 60
9237 국가신분증 표준 만들어 국민 불편 해소하고 행정효율 높인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6.07 59
9236 거리두기 해제 후, 보행자 교통안전에 적신호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5.13 59
» 어린이, 식품첨가물 섭취 수준 안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5.12 59
9234 전동킥보드 공유서비스, 이용자 안전관리 및 서비스 운영 미흡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9.28 59
9233 국민권익위, 지난 1년 6개월간 코로나19 관련 민원 분석 결과 발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7.20 59
9232 어르신 신체기능과 생활방식 고려하여‘주택수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7.19 59
9231 전 국가·지역 해외여행에 대한 특별여행주의보 연장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7.15 59
Board Pagination Prev 1 ... 300 301 302 303 304 305 306 307 308 309 ... 921 Next
/ 921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