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22 5월 이후 전면등교 시작과 함께 봄가을철 유행하는 수두유행성이하선염 등

    학교 감시 대상 감염병의 발생 증가 예상

 세계보건기구(WHO)유니세프(UNICEF)에서 전 세계 홍역 환자 전년 대비 79% 급증

    유행 발생 위험이 증가함에 따라 홍역 대유행 가능성 경고

 예방접종개인위생 및 유증상자 진료 등 감염 예방 및 확산 방지 수칙 당부

   - 시기연령대별 권장 예방접종과 개인위생(손씻기기침예절 등철저

   - 감염 의심 증상(발열발진호흡기증상 등있다면 등원등교 자제 및 신속한 진단 및 

    치료 


□ 질병관리청(청장 정은경)은 5월 학교 전면등교 이후 야외활동과 방과 후 활동 등 밀집‧밀접하는 단체 생활이 활발해 짐에 따라 관련 감염병 발생에 대한 관심과 주의를 당부하였다.


 ○ 개학 시기인 봄‧가을철에 유행을 보였던 유행성이하선염, 수두는 주로 바이러스에 감염된 환자의 침방울(비말), 콧물 등 호흡기 분비물을 통해 단체 생활 중에 감염되기 쉬워 주의가 필요하다. 


□ 지난 5년간 수두와 유행성이하선염은 개학 시기가 시작되면 환자 발생이 증가하였다가 방학 기간에는 줄어드는 증감을 반복하는 양상을 보였는데, ’20년 이후 현재까지 낮은 발생 수준을 보이고 있다(붙임 1). 


 ○ 수두는 학기 중(3∼6월, 10∼12월)에 환자 발생이 증가하고 집단발생 시* 학교와 학원‧모임 등을 통해 전파되어 유행 기간이 장기화되고 규모가 커지는 양상을 보여 왔다.


   * ’18∼’20년 기준, 집단사례당 평균사례수는 13.8명(초등학교 16.6건, 유치원 12.6건, 어린이집 9건), 40명을 초과하는 집단사례의 90%(40/44건)는 초등학교에서 발생


 ○ 유행성이하선염은 봄철(3∼6월)에 환자 발생이 증가하고 연중 꾸준히 발생하고 있다. 


   ※ ’21년 가을학기(39주 이후)에 일시적 환자 급증하였다가 감소하였음 


 ○ 이에 질병관리청은 코로나19 유행 기간 감소하였던 수두, 유행성이하선염이 전면등교 이후 ’18-’19년 수준으로 유행할 가능성이 있어 손씻기 등 개인위생을 포함하여 ‘3대 예방수칙’ 실천을 권고하였다.


〈 수두·유행성이하선염 3대 예방수칙 〉

◇ 첫째예방접종은 감염 예방에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수두 및 MMR

     (홍역유행성이하선염풍진접종 미완료자는 예방접종 완료

 둘째, 자주 손씻기, 마스크 착용, 기침 예절 등 개인위생 철저

 셋째, 발열, 발진, 이하선이 부어오르는 등 감염 의심 증상징후가 있다면 진료를 받고 감염력이 소실되는 시기*

    등교등원 재개

 * 수두: 모든 발진 병변의 가피(딱지) 형성(발진 시작 후 최소 5) 이후

 * 유행성이하선염: 증상 발현 5일 이후


□ 또한 코로나19 유행 동안 전 세계적으로 감소하였던 홍역, 인플루엔자 등 호흡기감염병이 해외에서 전년 대비 증가하고 있음이 보고되고 있다. 


 ○ 국내의 경우 홍역은 2020년 3월 이후 환자가 없었으며, 인플루엔자는 ‘22년 18주(4.24.∼4.30.) 인플루엔자 및 호흡기바이러스감염증 병원체감시*(KINRESS)에서 2021-2022절기 처음으로 인플루엔자바이러스를 검출, 해외입국 사례로 확인하였다.


   * 의원급 의료기관(63개소, ’22년)이 감시체계에 참여 중  


 ○ 그리고 지난 4월 27일, 세계보건기구(WHO) 및 유니세프(UNICEF)는 1~2월 홍역 환자 발생이 전년 동 기간 대비 79% 급증*했으며 유행 발생 위험**도 증가하여,


   * 전 세계 홍역 환자수(WHO): ’21년(1∼2월) 9,665명 → ’22년(1∼2월) 17,338명(+79%)

   * 발생률 기준, 소말리아, 예맨, 아프가니스탄, 나이지리아, 에티오피아에서 최다 발생

  ** 코로나19 대유행 및 분쟁지역(우크라이나, 에티오피아, 소말리아, 아프가니스탄) 감염병 감시체계 붕괴, 기초 예방접종 중단, 의료역량 초과, 과밀화 등 영향


   - 소아 정기예방접종을 받지 못하고 있는 곳에서 코로나19 관련 일상 활동으로 복귀 시 홍역과 같은 감염병 확산 위기(일명, ‘Perfect storm’ 상황)를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 질병관리청 정은경 청장은 “실내에서는 반드시 마스크를 착용하고 체험학습 및 야외활동 후에 올바른 손씻기를 생활화하여 주실 것과 증상 발생 시 등교‧등원 하지 않고 즉시 의료기관에 내원하여 적절한 치료를 받을 것”을 당부하였다. 


 ○ 또한 “▼각 가정에서는 MMR(홍역‧유행성이하선염‧풍진) 미접종 소아에 대해 예방접종을 완료하여 주실 것”과, 


   - “▼교육기관·시설(학교·유치원·어린이집 등) 관계자는 발열, 발진 등 감염병 의심 증상을 보이는 경우 등교‧등원 전에 적절한 진료와 검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도하여 줄 것”을 요청하였다.



[ 질병관리청 2022-05-11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1517 줄지 않는 부채, 노후준비, 돈관리가 고민이세요? 금감원에서 무료 금융자문서비스 받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7.27 42
11516 준공 임박 신축아파트 ‘하자’ 특별점검 나선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5.21 1
11515 죽음의 공포, 공황장애 겪는 노인 70대 이상 3.4배 증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20 69
11514 주택청약종합저축 이자율 0.3%p 인하 시행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12 102
11513 주택청약저축 보유 혜택 대폭 강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8.17 15
11512 주택청약저축 금리, 11월 인상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11.10 11
11511 주택임차인 보호와 납세자 부담완화를 위해 지방세법 시행령 개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4.21 20
11510 주택임대소득자는 소득세 신고와 사업자등록을 하여야 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0.29 25
11509 주택임대관리회사 174개, 관리호수 14,034호로 성장세 지속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1.14 96
11508 주택연금가입자, 재산세 감면 손쉬워진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7.06 123
11507 주택수리 및 인테리어, 서비스 시장 중 소비자 평가 가장 낮아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4.13 85
11506 주택도시보증공사 전세보증금반환보증 제도 개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8.27 13
11505 주택도시기금법 시행령 개정안 입법예고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8.21 71
11504 주택도시기금법 시행령 · 시행규칙 제정안 입법예고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16 104
11503 주택도시기금 운용계획 변경으로 주거지원이 확대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8.03 65
Board Pagination Prev 1 ...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 920 Next
/ 9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