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국민권익위, “부패・공익신고 보호・보상 일원화로 국제적 수준의 보호보상 체계 확립 추진”

- 지난 5년간 부패·공익신고 대상법률 471개로 1.66배 확대,

부정수급 방지를 위한 공공재정 환수법 재정·시행 등

부패통제 기반 공고히 해

 

 

 

국민권익위원회(위원장 전현희, 이하 국민권익위)는 지난 5년간 공익신고 대상의 대폭 확대, 촘촘한 신고자 보호보상체계 마련, 공공재정 비리 환수의 제도화 등을 통해 구축한 신고·보호·환수기확대 성과를 바탕으로 새 정부 출범 이후에도 실질적인 부패통제를 위한 정책적 수단 강화에 더욱 매진할 계획이다.

 

국민권익위는 지난 5년간 국민편의 중심의 부패·공익 신고체계 구축, 신고 범위 확대, 촘촘한 신고자 보호·보상제도 정비, 공공재정 정청구 환수법 제정 등을 통해 국민과 함께하는 부패통제의 제도적 기반을 조성했다.

 

국민권익위는 국민 누구나 온라인으로 손쉽게 부패공익신고 등을 할 수 있도록 청렴포털_부패공익신고시스템 구축을 구축했다. , 공익신고 대상법률을 284개를 471개로 대폭 확대해 일상생활밀접한 분야도 신고하고 그에 따라 공익신고자로 보호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부패·공익신고자의 적극적 보호를 위해 변호사를 통한 비실명 대리신고제도도 도입했다. 신고자 비밀보장 의무를 위반하거나 불이익 조치를 한 자에 대한 형사처벌 강화*, 피신고자 사실 확인 제도 등도 도입했다.

 

* (비밀보장 의무 위반) 위반시 징계 등 요구,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원 이하의 벌금 / (보호조치 위반) 불이익조치를 한 자, 보호조치결정 미이행자 23년 이하 징역 또는 23천만원 이하 벌금

 

그 결과 지난 5년간 총 58,307*의 신고를 접수해 이중 총 16,147(27.7%)을 수사·조사기관에 이첩·송부하고, 비위면직자** 194명을 적발해 해임 등을 요구해 부패행위에 대한 경각심을 높였으며, 신고자들에게 총 241억여 원의 보상·포상금을 지급했다.

 

* 부패행위 신고 36,622, 공익신고 21,685건 등

** 재직 중 직무 관련 부패행위로, 당연퇴직·파면·해임된 공직자 및 퇴직 후 벌금 300만원 이상의 형의 선고를 받은 자를 퇴직 전 5년간 소속하였던 부서·기관의 업무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영리사기업체, 협회 등에 재취업 제한

 

아울러, 최근 3년간 약 883조 원*에 이르는 공공재정지급금**을 부당하게 청구하면 그 부정이익을 전액 환수하고 최대 5배의 제재부가금을 부과하는 공공재정환수법을 2020년에 제정·시행해 약 1,515억 원***의 부정청구액을 환수하고 약 101억 원의 제재부가금을 부과하여 공공재정 누수방지에 기여 하였다.

 

* (‘19) 229조원 (‘20) 252조원 (‘21) 402조원

** 법령자치법규에 따라 공공재정에서 제공되는 보조금·보상금·출연금이나 그 밖에 상당한 반대급부를 받지 아니하는 금품 등(금전, 채권, 물품 등)

*** (‘20) 457억 원 (‘21) 1,058억 원

 

국민권익위는 이러한 5년간의 성과를 바탕으로 신고자 보호·보상 규정을 단일법으로 통합하는 등 관련 제도를 개편해 신고자에 대한 촘촘한 보호와 실질적 보상을 적극 추진해 나간다.

 

현재 5개 법률*에 산재해 있는 신고자 보호·보상 규정을 단일법으통합해 통일성과 형평성을 확보하고 법 적용 혼란을 방지한다. 또한 신고자가 안심하고 신고할 수 있도록 신속한 신고자 지위 인정 절차도입, 잠정적인 보호조치 제공 등 선제적이고 적극적인 신고자 보호도 추진한다.

 

* 부패방지권익위법, 공익신고자보호법, 공공재정환수법, 부정청탁금지법, 이해충돌방지법(‘22.5.19.시행)

 

보상금 지급체계를 현행 구간제(부패 4%30%, 공익 4%20%)에서 정률제(30%)로 변경하고 보상금 상한금액을 확대하는 등 글로벌 수준에 부합하는 신고자 보상체계를 구축할 예정이다.

 

 

공공재정 부정수급 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현행 공공재정환수법 용대상에서 제외돼 있는 계약관계에서의 허위 부정청구도 법 적에 추가한다. “개별 법령 간에 제재 균형이 맞지 않은 법령의 개정을 추진 공공재정 부정수급 제재의 형평성을 제고하고 관리의 사각지대를 해소해 나갈 방침이다.

 

국민권익위 김기선 심사보호국장은 국민권익위는 지난 5년간 민이 쉽게 신고할 수 있는 신고체계를 마련하고 신고자 보호보상, 공공재정 부정이익 환수 등 부패통제의 제도적 기반을 다져왔다.”라고 말했다.

 

이어 국민권익위는 새 정부 출범 이후에도 부패·공익신고를 더욱 활성화하고 관련 제도를 글로벌 수준으로 향상시켜 국가청렴도(CPI) 세계 20위권의 청렴선진국이 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국민권익위원회 2022-05-09]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440 10개 아파트건설사업자의 아파트분양계약서상 불공정약관조항 시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4.30 22
9439 치매로 인해 장기요양혜택을 원하실 때는, 치매안심센터에서 대신 신청해드립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4.30 22
9438 고속도로 '화물차 안전기준 위반' 도 안전신문고로 신고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4.30 22
9437 노인장기요양급여 대상자, 이웃주민 확인 없이도 장기요양기관 입소 가능해진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5.02 22
9436 소비자분쟁조정위원회,“온라인에서 구입해 선물한 이모티콘, 다운로드 하지 않았다면 구매자가 청약철회 가능”결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5.07 22
9435 개인지방소득세(종합소득세) 납세자 중심 신고서비스 확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5.07 22
9434 침대, 주식·투자자문, 인터넷·모바일정보이용서비스 고령소비자 상담 증가율 높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5.08 22
9433 건축사 자격시험, “내년부터 연 2회”로 확대 시행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5.08 22
9432 공공서비스 혁신 바람, 전국으로 확대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6.05 22
9431 지역 맞춤형 건강정책 수립을 위한 「2019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시작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8.09 22
9430 현대, FMK, 포르쉐, 한불모터스 리콜…10개 차종 38,117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8.19 22
9429 2019년 2학기부터 고등학교 무상교육 시행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8.19 22
9428 올해 상반기 국민 안전의식 조사 결과 공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8.19 22
9427 낚싯배 탑승,‘모바일로 편리하고 안전하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8.28 22
9426 가족상담전화(1644-6621) 24시간 이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9.05 22
Board Pagination Prev 1 ... 292 293 294 295 296 297 298 299 300 301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