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항공기 결항시 ‘선결항편 승객의 우선탑승’ 원칙으로 혼란 최소화
◈ 수송계획 등에 대한 충분한 안내로 예측가능성을 높이고 불안감 해소
◈ 항공사 - 공항공사간 양해각서 체결 등 유관기관간 협조 강화


항공기 결항시 항공사에서 결항편 순서에 상관없이 공항에서 선착순으로 대기표를 발부하는 모습은 사라질 전망이다. 항공기 지연·결항에 따른 승객 불편·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저비용항공사의 승객관리 매뉴얼·안내시스템 개선방안 등이 마련됐다.

국토교통부(장관 강호인)는 지난 1월말, 32년만의 대설·강풍 등 기상악화로 제주공항 활주로가 운영중단(1.23일 17:50~1.25일 12:00, 45시간)되어 대규모 체류여객이 발생하였고, 저비용항공사의 운항재개 과정에서 승객들이 공항에서 장기간 대기하는 불편·피해가 발생하였던 것과 관련하여 저비용항공사 승객관리를 개선하기로 합의하였다고 밝혔다.

이번 개선방안은 국토교통부에서 2월에 저비용항공사의 지연·결항 매뉴얼, 승객안내 시스템 등을 종합적으로 점검한 이후 항공사·한국소비자원·제주도청 등 관계기관 의견수렴을 거쳐, 3.16(수) 국토교통부 항공정책관 주재 간담회 및 관계기관 양해각서(MOU) 체결을 계기로 발표되었다.

[1] 지연·결항 매뉴얼 개선 및 훈련

항공기 지연·결항에 대한 항공사의 승객지원 매뉴얼이 구체적이지 않고, 직원의 숙련도가 낮아 대규모 지연·결항과 같은 긴급상황 발생시 즉각적인 대응이 미흡했던 부분을 개선하기 위하여

우선, 항공기 결항시 먼저 결항된 항공편의 승객이 가용좌석(보항편, 정기편 잔여석 등)에 우선 탑승한다는 원칙이 마련되고 구체화된 업무처리 체크리스트 작성 및 명확한 업무 담당자 지정을 통해 비상상황 발생 시 차분하고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개선된다.
 

【 업무처리 점검표(예시) 】

(지연·결항 예상시) 지연·결항 예상편 예약현황 및 당일·익일 가용좌석 파악, 연결승객 파악, 체객 수송계획 수립, 안내문 및 문자 문구 사전 준비, 인근 숙소 현황 파악, 필요시 대책회의 소집 등

(지연·결항 발생시) 필요시 대책회의 소집, 체객규모에 따른 보항편 투입 여부 결정, 체객 안내·수송 등


본사/지점간 유기적 업무협조 및 빠른 의사결정을 위한 보고체계, 대책회의 소집 등도 세부적으로 규정하게 된다.

특히, 대규모 지연·결항에 대비하여 훈련을 통해 대응능력을 강화하도록 하였다.

[2] 승객안내시스템 개선

지연·결항 발생시 승객수송계획 등에 대한 안내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혼란을 가중시켰던 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승객에게 지연·결항 원인, 승객수송계획, 재안내 시점 등을 세부적으로 안내하도록 항공사 승객안내시스템도 보완될 계획이다.

30분 이상의 지연, 결항이 확정되면 항공사는 지체없이 지연·결항 원인 및 소요시간을 포함한 1차 문자를 발송하고, 이후 승객수송계획, 진행상황, 재안내 시점(필요시) 등을 포함한 상세 문자를 발송하는 등 충분한 안내를 통해 예측가능성을 높이고 불안감을 해소할 예정이다.

[3] 유관기관간 협조 강화

대규모 지연·결항 발생시 체류여객의 불편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7개 국적항공사 - 한국공항공사간 실시간 정보공유 및 유기적 협조체계도 구축된다.

국적항공사와 한국공항공사는 「항공교통분야 업무협력에 관한 양해각서」를 체결하여 대규모 지연·결항시 긴급 대책회의 소집, 운항계획·승객안내·잔여좌석 유무 등에 대한 정보 공유, 체객 수송 및 지원 등 체객 해소를 위한 협력을 강화하기로 하였다.

승객이 불가피하게 공항에서 체류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불편을 최소화하고 승객안전을 확보하기 위하여 구호품 및 연계교통 지원 등 구체적 행동요령이 포함된 각 공항별 ‘현장 조치 행동매뉴얼’도 개선된다.
 

【현장조치 행동매뉴얼 주요내용】

(지원물품) 각 공항별 모포·매트, 식료품 등 물품 준비 및 배포기준 마련

모포·매트는 제주 1,000명(3일분), 김포·김해 100명(1일분), 기타공항 50명(1일분) 상시 확보(공급선 확보를 통해 필요시 즉시 추가 공급)

생수 등 식료품은 폭설·태풍 등 예상시 즉시 확보(공급선 확보, 지자체 협약 등)

(연계교통) 지자체에 대중교통 연장 및 택시 부재 해제 요청, 전세버스 투입 등 구체화 (대책본부) 여객지원반, 대외협력반, 질서유지반 등 대책본부를 구성하고 반별 구체적 임무 부여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대규모 항공기 지연·결항 발생 시 국민 불편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항공사, 공항공사 등 관계기관과 긴밀히 협조할 계획이며, 결항시 선 결항편 승객이 우선탑승한다는 원칙이 지켜질 수 있도록 항공사는 물론 승객들도 적극적으로 협조해 주기를 당부하였다.

아울러, 앞으로도 소통과 협업을 통해 잘못된 서비스 관행은 정상화하여 항공서비스에 대한 국민신뢰를 높여가겠다고 밝혔다.

 

[국토교통부 2016-03-16]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213 위택스로 법인지방소득세를 편리하게 신고납부하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3.22 260
2212 부동산 전자계약만 해도, 0.2% 대출금리 깍아준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3.22 126
2211 도시가스 요금 이제 신용카드로 납부하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3.22 371
2210 2015년 생활필수품 가격조사 및 원가동향분석 결과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3.22 109
2209 음원사이트 소비자만족도, 음원이용 편리성 높고 가격은 낮아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3.22 370
2208 개인정보 보안․관리에 각별히 주의하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3.22 119
2207 권익위, 공익신고자 보호법 시행 이후 환경 분야 공익신고 1,839건 처리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3.22 111
2206 홈네트워크 기기 교체시 소비자 선택의 폭 넓어진다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3.21 176
2205 전기용품, 생활용품에 대한 안전관리가 일원화된다.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3.21 135
2204 소비자분쟁조정위원회, 백내장 치료 목적의 다초점렌즈 삽입에 대해 공제금 지급 결정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3.21 175
2203 유통기한 변조 수입‘모짜렐라 슬라이스 치즈’제품 회수조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3.21 301
2202 일회용 종이컵.나무젓가락.물수건 등 관리 사각지대 해소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3.21 162
2201 한국지엠 리콜 실시 예정 및 볼보 리콜 실시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3.21 150
2200 과수묘목 유통 성수기, 불법․불량 묘목 집중 단속 실시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3.21 160
2199 아파트 옵션 계약 해지 쉬워진다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3.21 130
Board Pagination Prev 1 ... 773 774 775 776 777 778 779 780 781 782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