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4 26일 비브리오패혈증 첫 확진환자 발생(60(), 경기도 거주)

 어패류 익혀 먹기바닷물 접촉 주의(피부에 상처가 있는 경우), 어패류 5 이하 저온 보관 및 위생적으로 조리하기 등 비브리오패혈증 예방수칙 준수 당부


질병관리청(청장 정은경)은 비브리오패혈증 올해 첫 확진 환자가 확인됨에 따라 비브리오패혈증 예방을 위해 각별한 주의를 당부하였다.

 

 확진자는 60대 기저질환자로 421일부터 발열(40.2), 오한, 좌측 하지 부종, 발적 등이 나타나 경기도 소재 병원에서 입원 치료 중 426일 비브리오패혈증으로 확진되었다

 

비브리오패혈증은 매년 5~6월경에 발생하기 시작하여, 8~9월에 가장 많이 발생하고, 주로 어패류 섭취 또는 피부에 상처가 있는 경우 바닷물 접촉으로 감염된다

 

 여름철에 해수면 온도가 상승하고 해수와 접촉하는 기회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비브리오패혈증 발생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 2021년 비브리오패혈증 발생현황(잠정): 환자 51, 사망자 22

 

 비브리오패혈증은 만성 간 질환자, 당뇨병, 알코올중독자 등 기저질환이 있는 고위험군에서 주로 발생하며, 치사율이 50% 전후로 매우 높기 때문에 피부에 상처가 있는 사람은 상처에 바닷물이 직접 닿지 않도록 하는 등 비브리오패혈증 예방수칙을 지켜야 한다

 

비브리오패혈증 고위험군 >

간 질환자당뇨병 등 만성질환자알코올중독자부신피질호르몬제나 항암제 복용 중인 자악성종양재생불량성 빈혈백혈병 환자장기이식환자면역결핍 환자

 

질병관리청 정은경 청장은 비브리오패혈증을 예방하기 위해 어패류, , 새우 등 날 것 섭취를 피하고 어패류 조리, 섭취 시 비브리오패혈증 예방수칙을 준수하도록 당부하였다.

 

 특히, 만성 간 질환자, 당뇨병, 알코올중독자 등의 기저질환이 있는 고위험군은 치사율이 높으므로 더욱 주의할 것을 당부하였다.

 

 

<비브리오패혈증 예방수칙>

 

 

 

 어패류는 충분히 익혀 먹는다.

 피부에 상처가 있는 사람은 바닷물에 접촉하지 않는다.

 어패류 관리 및 조리를 할 때 아래와 같은 사항을 준수한다.


 어패류는 5도 이하 저온 보관한다.

 어패류는 85도 이상 가열처리한다.

어패류는 껍질이 열리고 나서 5분동안 더 끓이고증기로 익히는 경우에는 9분이상 더 요리해야 함

 어패류를 조리 시 해수를 사용하지 말고 흐르는 수돗물에 깨끗이 씻어야 한다.

 어패류를 요리한 도마칼 등은 반드시 소독 후 사용한다.

 어패류를 다룰 때 장갑을 착용한다.

 



[ 질병관리청 2022-04-28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811 카드뮴 과다 함유해 건강 위험있는 Milacolato 발찌 세트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22 2022.06.14
2810 카드뮴 과다 함유해 건강 위험있는 CrystalTears 팔찌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03 2022.06.14
2809 해외여행 시 뎅기열 주의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22 2022.06.14
2808 우센지코리아 / 화청주식회사 주의게시글 타이틀 정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07 2022.06.14
2807 카드뮴 및 납 과다 함유해 건강 위험있는 Creen 팔찌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30 2022.06.13
2806 카드뮴 과다 함유해 건강 위험있는 FOONEE 목걸이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06 2022.06.13
2805 카드뮴 과다 함유해 건강 위험있는 IYOU 허리 체인 장신구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08 2022.06.13
2804 카드뮴 과다 함유해 건강 위험있는 Clearine 장신구 세트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00 2022.06.13
2803 카드뮴 과다 함유해 건강 위험있는 Ushiny 목걸이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78 2022.06.13
2802 카드뮴 과다 함유해 건강 위험있는 Flymind 펜던트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84 2022.06.13
2801 카드뮴 과다 함유해 건강 위험있는 Hicarer 팔찌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72 2022.06.13
2800 카드뮴 과다 함유해 건강 위험있는 XHBTS 장신구 세트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87 2022.06.13
2799 카드뮴 과다 함유해 건강 위험있는 LACKINGONE 목걸이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5 2022.06.13
2798 카드뮴 과다 함유해 건강 위험있는 bifriend, Meirenpeizi - Zhijia Jewelry 목걸이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7 2022.06.13
2797 카드뮴 과다 함유해 건강 위험있는 LACKINGONE 목걸이 세트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4 2022.06.13
2796 카드뮴 과다 함유해 건강 위험있는 TANSHOP 목걸이 세트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6 2022.06.13
2795 카드뮴 과다 함유해 건강 위험있는 Beelittle 코스튬 액세서리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0 2022.06.13
2794 어린이보호포장 미흡한 순간접착제가 포함된 Wondertoys 기차장난감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4 2022.06.13
2793 소형 부품 탈락으로 인한 질식 위험 있는 토토로 봉제인형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2 2022.06.13
2792 포장 비닐 및 소형 부품으로 인한 질식 위험 있는 부활절 달걀 장난감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6 2022.06.13
Board Pagination Prev 1 ...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 218 Next
/ 218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