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4 26일 비브리오패혈증 첫 확진환자 발생(60(), 경기도 거주)

 어패류 익혀 먹기바닷물 접촉 주의(피부에 상처가 있는 경우), 어패류 5 이하 저온 보관 및 위생적으로 조리하기 등 비브리오패혈증 예방수칙 준수 당부


질병관리청(청장 정은경)은 비브리오패혈증 올해 첫 확진 환자가 확인됨에 따라 비브리오패혈증 예방을 위해 각별한 주의를 당부하였다.

 

 확진자는 60대 기저질환자로 421일부터 발열(40.2), 오한, 좌측 하지 부종, 발적 등이 나타나 경기도 소재 병원에서 입원 치료 중 426일 비브리오패혈증으로 확진되었다

 

비브리오패혈증은 매년 5~6월경에 발생하기 시작하여, 8~9월에 가장 많이 발생하고, 주로 어패류 섭취 또는 피부에 상처가 있는 경우 바닷물 접촉으로 감염된다

 

 여름철에 해수면 온도가 상승하고 해수와 접촉하는 기회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비브리오패혈증 발생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 2021년 비브리오패혈증 발생현황(잠정): 환자 51, 사망자 22

 

 비브리오패혈증은 만성 간 질환자, 당뇨병, 알코올중독자 등 기저질환이 있는 고위험군에서 주로 발생하며, 치사율이 50% 전후로 매우 높기 때문에 피부에 상처가 있는 사람은 상처에 바닷물이 직접 닿지 않도록 하는 등 비브리오패혈증 예방수칙을 지켜야 한다

 

비브리오패혈증 고위험군 >

간 질환자당뇨병 등 만성질환자알코올중독자부신피질호르몬제나 항암제 복용 중인 자악성종양재생불량성 빈혈백혈병 환자장기이식환자면역결핍 환자

 

질병관리청 정은경 청장은 비브리오패혈증을 예방하기 위해 어패류, , 새우 등 날 것 섭취를 피하고 어패류 조리, 섭취 시 비브리오패혈증 예방수칙을 준수하도록 당부하였다.

 

 특히, 만성 간 질환자, 당뇨병, 알코올중독자 등의 기저질환이 있는 고위험군은 치사율이 높으므로 더욱 주의할 것을 당부하였다.

 

 

<비브리오패혈증 예방수칙>

 

 

 

 어패류는 충분히 익혀 먹는다.

 피부에 상처가 있는 사람은 바닷물에 접촉하지 않는다.

 어패류 관리 및 조리를 할 때 아래와 같은 사항을 준수한다.


 어패류는 5도 이하 저온 보관한다.

 어패류는 85도 이상 가열처리한다.

어패류는 껍질이 열리고 나서 5분동안 더 끓이고증기로 익히는 경우에는 9분이상 더 요리해야 함

 어패류를 조리 시 해수를 사용하지 말고 흐르는 수돗물에 깨끗이 씻어야 한다.

 어패류를 요리한 도마칼 등은 반드시 소독 후 사용한다.

 어패류를 다룰 때 장갑을 착용한다.

 



[ 질병관리청 2022-04-28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811 무더운 날씨에는 이물 혼입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3 2020.07.15
2810 무더운 여름, 물놀이 안전사고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7 2019.07.05
2809 무더운 여름철, 선풍기 안전하게 사용하기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9 2017.06.16
2808 무더위 시작 전, 에어컨 안전점검 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3 2020.04.27
2807 무덥고 습한 여름철, 의료기기 안전하게 사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 2020.06.25
2806 무독성·친환경으로 표시한 일부 그림물감에서 유해물질 검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9 2021.06.01
2805 무등록 제조 제품을 소분한 곡류가공품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4 2021.06.29
2804 무등록 제조한 기타농산가공품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0 2021.07.29
2803 무선이어폰과 스피커, 화재 위험 있으니 조심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7 2020.04.07
2802 무시동 히터 사용 시 배출가스와 고온 화상에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5 2022.03.25
2801 무신고 수입.제조일자 변조 식품첨가물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4 2021.06.22
2800 무염 표기와 다르게 가염 캐슈넛이 함유된 로손 초벌믹스넛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5 2021.12.27
2799 무인 키즈풀(워터룸) 안전기준 마련해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8 2023.10.24
2798 무좀약 등, 안약으로 오인해 눈에 넣는 사고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1 2018.05.31
2797 무좀약을 눈에? 안약 오인사고 주의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3 2021.11.16
2796 무첨가 표시한 일부 건조 과채류에서 이산화황 검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9 2021.12.21
2795 문자 또는 카카오톡 등 메신저를 통해 가족 또는 친구를 사칭하는 보이스피싱에 유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0 2020.11.04
2794 물기 많은 여름철 감전사고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6 2020.07.02
2793 물기·습기 많은 장마철, 감전사고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2 2022.06.23
2792 물기와 습기 많은 여름 감전사고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8 2018.06.22
Board Pagination Prev 1 ...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 218 Next
/ 218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