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세계 말라리아의 날(4월 25)을 맞아 말라리아 예방수칙 준수 및 감염주의 당부

- 국내 말라리아 발생 지역(인천경기강원 북부) 거주 및 여행 시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말라리아 예방수칙 준수

말라리아 발생 국가 여행 시 사전에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의사와 상담 후 적절한 예방약 복용

발열오한 등 말라리아 의심 증상 발생 시 즉시 의료기관 방문하여 진료 권고


□ 질병관리청(청장 정은경)은 제15차 ‘세계 말라리아의 날’을 맞아, 국내 말라리아 다발생 지역(휴전선 접경지역) 거주자 및 여행객, 해외 말라리아 발생 국가(아프리카, 동남아시아 등) 방문자를 대상으로 예방수칙 준수와 감염주의를 당부하였다.


   * 세계보건기구(WHO)는 2007년 말라리아의 퇴치를 위한 국제적 협력과 지속적인 관심 촉구를 목적으로 매년 4월 25일을 ‘세계 말라리아의 날’로 지정


 ○ 말라리아는 여전히 전 세계적으로 질병 부담이 매우 큰 감염병 중 하나이다. 2020년 기준, 세계 85개국에서 약 2억 4,100만 명의 신규환자가 발생했으며, 약 62만 7천명이 사망하였다.


◈ 말라리아는 열원충(Plasmodium 속)에 감염된 모기가 사람을 물어 전파되는 대표적인 모기매개 질환으로 열원충 종류에 따라 총 5가지*로 구분


   * 삼일열말라리아, 열대열말라리아, 사일열말라리아, 난형열말라리아, 원숭이열말라리아



< 중국 얼룩날개모기 암컷 성충(좌) 및 유충(우) 그림 붙임 참고>



□ 우리나라는 WHO 말라리아 퇴치 대상 국가(E-2025)에 포함되어 있으며, WHO 말라리아 퇴치인증을 목표로 말라리아 재퇴치 5개년(2019-2023) 실행계획*을 추진 중이다.


 ○ 국내 발생 삼일열말라리아의 경우 다발생 지역을 중심으로 말라리아 퇴치사업 지역(30개 시·군·구)을 선정하고 환자 및 매개모기를 집중 관리하고 있다. 


   * 추진전략 : ➊환자관리 강화, ➋매개모기 감시 및 방제 강화, ➌연구개발 확대, ➍협력 및 소통체계 활성화


 ○ 또한, 해외유입 열대열말라리아 치료를 위해 환자 치료에 필수적이나 아직 국내 도입되지 않는 의약품을 전국 10개 기관*에 비축하고, 의료기관 요청 시 신속히 제공하고 있다.


   * 국립중앙의료원, 부산 중구보건소, 대구 중구보건소, 인천 중구보건소, 광주 동구보건소, 대전 중구보건소, 경기 영통구보건소, 강원 강릉시‧춘천시보건소, 국립제주검역소


□ 우리나라는 말라리아 환자가 2020년 이후 연 300명 내외로 발생하고 있으며, 국내 토착화된 삼일열말라리아 및 해외유입인 열대열말라리아 등으로 구분된다.


 ○ 국내 사례는 휴전선 접경지역(인천, 경기, 강원 북부)을 중심으로 모기가 활발히 활동하는 5~10월에 전체 환자의 약 90%가 발생한다. 


 ○ 또한 해외유입 사례의 경우 대부분 치료 예후가 좋지 않은 열대열말라리아로, 아프리카, 동남아시아 등을 통해 연평균 70건 내외로 발생하다가 2020년 이후 20건 수준으로 감소한 상태이다. 


   * 코로나19로 해외여행이 금지되어 해외유입 사례 급격히 감소(’19년 74건→’21년 21건) 


< 연도별 말라리아 환자 발생 현황, 2012-2021 >

undefined

구분/연도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총계

542

445

638

699

673

515

576

559

385

293

국내

발생

민간인

330

227

402

361

307

280

338

364

272

210

군인

159

158

156

267

295

156

163

121

84

62

소계

489

385

558

628

602

436

501

485

356

272

해외유입

53

60

80

71

71

79

75

74

29

21

* 2021년 통계는 잠정통계임.

** 말라리아 사망자 총 16(2012-2021)


□ 말라리아 예방을 위해서는 모기에 물리지 않는 등 예방수칙 준수가 가장 중요하다. 


 ○ 먼저, 말라리아 다발생 지역에 거주하거나 여행하는 경우 모기가 활발하게 활동하는 시기(5~10월) 야간활동 자제, 긴소매와 긴바지 옷 착용, 야외 취침 시 모기장 사용 등이 중요하다.


 ○ 또한 말라리아 발생 위험국가로 여행하는 경우 사전에 의사와 상담하여 적절한 예방약을 복용해야 한다.


 ○ 마지막으로 국내 및 국외 말라리아 다발 지역 방문 후 말라리아 의심증상(발열, 오한, 두통 등) 발생하면 즉시 가까운 의료기관이나 보건소를 방문하여 진료받아야 한다.


 ○ 국내·외 말라리아 다발생 지역 및 예방수칙 등은 질병관리청 누리집 (http://www.kdca.go.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질병관리청 정은경 청장은 “말라리아 다발생 지역에 거주하거나 해당지역을 방문하는 경우 말라리아 감염 예방수칙을 준수하고, 모기에 물린 후 말라리아 의심증상 발생 시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할 것을 당부”하였다. 


<말라리아 예방수칙>

◈ 국내에서는 모기가 활발하게 활동하는 5월부터 10월까지 야간(밤 10시부터 새벽 4)에는 야외(야외캠핑낚시터 등활동을 가능한 자제

◈ 야간 외출 시에는 긴 소매긴바지를 착용하여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개인 예방법을 철저히 실천

◈ 옥내의 모기 침입 예방을 위해 방충망의 정비 및 모기장 사용을 권고하고실내 살충제를 적절히 사용할 것

◈ 말라리아 다발생 지역 여행 후 발열오한두통 등의 증상이 발생하면 즉시 가까운 의료기관이나 보건소를 방문하여 진료를 받을 것을 권고



[ 질병관리청 2022-04-25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384 2020년 표준단독주택 가격 공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1.22 52
5383 조산원에서 출산해도 온라인으로 출생신고 가능해진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3.25 52
5382 지역사회 통합돌봄 정책정보를 한눈에 확인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4.24 52
5381 4월 25일부터 가정용 달걀 선별포장 유통 본격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4.24 52
5380 개인형 이동장치 이제 안전하게 “자전거도로”로 달린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6.08 52
5379 가습기살균제 피해구제를 위한 특별법 하위법령 입법예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7.02 52
5378 방문돌봄종사자 한시지원금 1월 25일부터 온라인 신청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1.25 52
5377 하도급법 일부개정안 국무회의 통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1.26 52
5376 학교 밖 청소년의 대학진학을 지원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4.22 52
5375 무신고 부적합 수입 가공치즈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4.26 52
5374 다이어트 앱, 부당 약관 및 과장 광고로 소비자피해 우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4.28 52
5373 자동차보험 제도개선을 통해 국민의 보험료 부담을 낮추는 한편, 생활속 보장을 강화하여 국민 권익보호도 확대하겠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0.01 52
5372 누리소통망 체험기 이용 부당광고 행위 389건 적발.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0.22 52
5371 화재로 훼손된 기록물, 이렇게 응급조치 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1.09 52
5370 철도예매 앱(코레일톡)으로 버스노선·환승정보까지 한 눈에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2.08 52
Board Pagination Prev 1 ... 562 563 564 565 566 567 568 569 570 571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