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세계 말라리아의 날(4월 25)을 맞아 말라리아 예방수칙 준수 및 감염주의 당부

- 국내 말라리아 발생 지역(인천경기강원 북부) 거주 및 여행 시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말라리아 예방수칙 준수

말라리아 발생 국가 여행 시 사전에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의사와 상담 후 적절한 예방약 복용

발열오한 등 말라리아 의심 증상 발생 시 즉시 의료기관 방문하여 진료 권고


□ 질병관리청(청장 정은경)은 제15차 ‘세계 말라리아의 날’을 맞아, 국내 말라리아 다발생 지역(휴전선 접경지역) 거주자 및 여행객, 해외 말라리아 발생 국가(아프리카, 동남아시아 등) 방문자를 대상으로 예방수칙 준수와 감염주의를 당부하였다.


   * 세계보건기구(WHO)는 2007년 말라리아의 퇴치를 위한 국제적 협력과 지속적인 관심 촉구를 목적으로 매년 4월 25일을 ‘세계 말라리아의 날’로 지정


 ○ 말라리아는 여전히 전 세계적으로 질병 부담이 매우 큰 감염병 중 하나이다. 2020년 기준, 세계 85개국에서 약 2억 4,100만 명의 신규환자가 발생했으며, 약 62만 7천명이 사망하였다.


◈ 말라리아는 열원충(Plasmodium 속)에 감염된 모기가 사람을 물어 전파되는 대표적인 모기매개 질환으로 열원충 종류에 따라 총 5가지*로 구분


   * 삼일열말라리아, 열대열말라리아, 사일열말라리아, 난형열말라리아, 원숭이열말라리아



< 중국 얼룩날개모기 암컷 성충(좌) 및 유충(우) 그림 붙임 참고>



□ 우리나라는 WHO 말라리아 퇴치 대상 국가(E-2025)에 포함되어 있으며, WHO 말라리아 퇴치인증을 목표로 말라리아 재퇴치 5개년(2019-2023) 실행계획*을 추진 중이다.


 ○ 국내 발생 삼일열말라리아의 경우 다발생 지역을 중심으로 말라리아 퇴치사업 지역(30개 시·군·구)을 선정하고 환자 및 매개모기를 집중 관리하고 있다. 


   * 추진전략 : ➊환자관리 강화, ➋매개모기 감시 및 방제 강화, ➌연구개발 확대, ➍협력 및 소통체계 활성화


 ○ 또한, 해외유입 열대열말라리아 치료를 위해 환자 치료에 필수적이나 아직 국내 도입되지 않는 의약품을 전국 10개 기관*에 비축하고, 의료기관 요청 시 신속히 제공하고 있다.


   * 국립중앙의료원, 부산 중구보건소, 대구 중구보건소, 인천 중구보건소, 광주 동구보건소, 대전 중구보건소, 경기 영통구보건소, 강원 강릉시‧춘천시보건소, 국립제주검역소


□ 우리나라는 말라리아 환자가 2020년 이후 연 300명 내외로 발생하고 있으며, 국내 토착화된 삼일열말라리아 및 해외유입인 열대열말라리아 등으로 구분된다.


 ○ 국내 사례는 휴전선 접경지역(인천, 경기, 강원 북부)을 중심으로 모기가 활발히 활동하는 5~10월에 전체 환자의 약 90%가 발생한다. 


 ○ 또한 해외유입 사례의 경우 대부분 치료 예후가 좋지 않은 열대열말라리아로, 아프리카, 동남아시아 등을 통해 연평균 70건 내외로 발생하다가 2020년 이후 20건 수준으로 감소한 상태이다. 


   * 코로나19로 해외여행이 금지되어 해외유입 사례 급격히 감소(’19년 74건→’21년 21건) 


< 연도별 말라리아 환자 발생 현황, 2012-2021 >

undefined

구분/연도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총계

542

445

638

699

673

515

576

559

385

293

국내

발생

민간인

330

227

402

361

307

280

338

364

272

210

군인

159

158

156

267

295

156

163

121

84

62

소계

489

385

558

628

602

436

501

485

356

272

해외유입

53

60

80

71

71

79

75

74

29

21

* 2021년 통계는 잠정통계임.

** 말라리아 사망자 총 16(2012-2021)


□ 말라리아 예방을 위해서는 모기에 물리지 않는 등 예방수칙 준수가 가장 중요하다. 


 ○ 먼저, 말라리아 다발생 지역에 거주하거나 여행하는 경우 모기가 활발하게 활동하는 시기(5~10월) 야간활동 자제, 긴소매와 긴바지 옷 착용, 야외 취침 시 모기장 사용 등이 중요하다.


 ○ 또한 말라리아 발생 위험국가로 여행하는 경우 사전에 의사와 상담하여 적절한 예방약을 복용해야 한다.


 ○ 마지막으로 국내 및 국외 말라리아 다발 지역 방문 후 말라리아 의심증상(발열, 오한, 두통 등) 발생하면 즉시 가까운 의료기관이나 보건소를 방문하여 진료받아야 한다.


 ○ 국내·외 말라리아 다발생 지역 및 예방수칙 등은 질병관리청 누리집 (http://www.kdca.go.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질병관리청 정은경 청장은 “말라리아 다발생 지역에 거주하거나 해당지역을 방문하는 경우 말라리아 감염 예방수칙을 준수하고, 모기에 물린 후 말라리아 의심증상 발생 시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할 것을 당부”하였다. 


<말라리아 예방수칙>

◈ 국내에서는 모기가 활발하게 활동하는 5월부터 10월까지 야간(밤 10시부터 새벽 4)에는 야외(야외캠핑낚시터 등활동을 가능한 자제

◈ 야간 외출 시에는 긴 소매긴바지를 착용하여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개인 예방법을 철저히 실천

◈ 옥내의 모기 침입 예방을 위해 방충망의 정비 및 모기장 사용을 권고하고실내 살충제를 적절히 사용할 것

◈ 말라리아 다발생 지역 여행 후 발열오한두통 등의 증상이 발생하면 즉시 가까운 의료기관이나 보건소를 방문하여 진료를 받을 것을 권고



[ 질병관리청 2022-04-25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579 국민연금, 기초연금, 장애인연금 인상시기 4월에서 1월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2.23 36
8578 기초연금 올 9월부터 25만 원으로 인상 지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2.23 35
8577 CT 진단용 조영제 사용 시 이상반응 경험 및 가족력 확인해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2.23 56
8576 달걀 껍데기를 보면 달걀 정보를 알 수 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2.23 42
8575 스토킹 범죄에 징역형까지 가능해진다! 여성폭력에 대한 국가의 보호·책임 강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2.23 45
8574 초등 입학기 자녀돌봄 부담 덜어드려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2.26 40
8573 우리 지자체 필수조례 마련됐는지 바로 확인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2.26 41
8572 2018년 1월 소비자상담 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2.26 38
8571 티볼리, 코란도 C 등 쌍용차 7만 4천대 부품 결함시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2.26 45
8570 공인인증서 공공기관 누리집(홈페이지)에서 사라진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2.26 46
8569 3월 법인세 신고, 납세자 중심의 맞춤형 안내 최대한 제공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2.26 42
8568 자동차에 대한 궁금증과 민원, 한 번에 해결…‘자동차365’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2.27 29
8567 성폭력피해상담소 등 종사자 자격기준 강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2.27 51
8566 7월부터 지역가입자 건강보험료 내려간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2.27 35
8565 자일리톨, 글루코사민 등 기능성 원료 16종 재평가 실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2.27 31
Board Pagination Prev 1 ... 349 350 351 352 353 354 355 356 357 358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