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메신저피싱 등 주요 사기수법에 대한 대응 강화

- 피해자의 신분증 및 금융거래정보를 탈취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자금을 편취하는 메신저피싱에 대해 언론 등을 통해 집중 홍보하고,

* 수시입출금 계좌 잔액을 직접 이체할 뿐 아니라 저축성 예금, 보험 등을 해지하거나 피해자 명의로 비대면 대출을 받아서 편취하는 경우도 있음

- 메신저피싱 증가 우려가 있거나 신종 수법이 출현할 경우 금감원 소비자경보 발령 등을 통해 피해확산 예방노력 지속

- 최근 메신저피싱은 원격조종앱을 이용하는 사례가 많으므로, 원격조종 프로그램 작동시 금융앱에서 앱 구동을 차단하는 기술을 도입토록 유도

??의심거래탐지시스템(FDS*) 고도화 및 AI 등 첨단기술 활용
* Fraud Detection System

- FDS 고도화 작업에 AI 등 신기술*을 접목하여 신종 사기수법에 대한 금융회사 대응력이 제고되도록 유도

* 머신러닝시스템은 AI기술을 통해 피해계좌 및 사기이용계좌의 행동,거래패턴을 분석하여 의심거래 정황을 포착

- AI 영상 분석 기술을 활용한 이상행동 탐지 ATM 등 첨단기술을 이용한 금융사기 예방에 다른 금융회사도 참여하도록 적극 독려

??비은행 금융회사의 보이스피싱 대응 강화

- 비대면계좌 개설시 본인인증을 강화하는 등 내부통제절차를 강화하도록 유도하고 관련 모범사례를 전파

- 또한, 오픈뱅킹을 통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금융회사가 관련 방책을 수립,시행하도록 자체점검 지도

??취약 연령대별 맞춤형 홍보,교육 실시

- 금융소비자 연령별 특성*에 부합하는 맞춤형(bespoke) 홍보,교육을 SNS,온라인채널 등을 적극 활용하여 실시

* 30,40대는 대출빙자형 피싱, 50,60대는 가족 등을 사칭한 메신저피싱에 취약

- 60대 이상 고령층 대상으로 최근 급증하는 대면편취, 메신저피싱 등 신종 수법 중심으로 실효성 있는 홍보,교육 채널* 발굴

* 노인을 대상으로 한 대한노인회의 연수 프로그램 활용 등


금융소비자 유의사항

□ 개인정보 제공 및 자금 이체 요청은 무조건 거절하세요

- 제도권 금융회사는 전화,문자를 통한 대출 안내, 개인정보 제공, 자금 요구, 뱅킹앱* 설치 등을 절대 요구하지 않음

* 범죄자들은 금융회사를 사칭하면서 가짜 모바일 뱅킹앱 설치를 유도

※ 금융회사가 기존 대출 고객을 대상으로 만기연장 등 대출관련 정보 문자를 발송하는 경우는 있으나, 금융회사 명의의 전화,문자 대출광고는 보이스피싱 사기일 가능성이 높음을 유의

- 대출을 빙자한 개인정보 요구, 기존대출 상환 및 신용등급 상향을 위한 자금이체 또는 현금전달을 요구하는 전화나 문자를 받은 경우

→ 사기범과 통화하거나 답장문자를 보내 상담을 요청하지 말고, 즉시 전화를 끊고 문자를 삭제해야 함

□ 출처가 불분명한 URL주소는 절대 터치하지 마세요

- 사기범이 보낸 출처가 의심스러운 URL주소를 터치할 경우 원격조종 악성앱이 설치되고 개인(신용)정보가 모두 유출되어 피해 발생*

* 수상한 사람이 보낸 URL을 통한 가짜 금융회사 앱 설치 요구에 절대로 응해서는 안됨

□ 피해금을 송금한 경우 즉시 계좌 지급정지를 신청하세요

-사기범이 자금을 인출해가지 못하도록 해당 금융회사 콜센터, 경찰청(☎112) 또는 금감원(☎1332)에 전화하여 신속히 계좌의 지급정지 조치를 하는 것이 피해 예방을 위해 가장 중요

□ 개인정보가 유출된 경우 신속히 다음 조치를 하세요

①개인정보(신분증, 계좌번호 등) 노출사실 등록

②명의도용된 계좌 개설 여부 조회

③명의도용된 휴대전화 개설 여부 조회



[ 금융감독원 2022-04-19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3880 제2기(‘15∼’17년) 전문병원 111개 병원 지정 소비생활센터 2015.01.02 491
13879 모든 여성폭력 피해자 지원센터 명칭을 「해바라기센터」로 통일, 이용자 혼선 없앤다 cunsumer 2015.01.02 541
13878 2015년부터 소비자물가지수를 반영한 본인부담상한액 적용 cunsumer 2015.01.02 578
13877 해양심층수 모든 식품에 사용 가능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02 466
13876 2015년 식·의약품 안전제도 이렇게 달라집니다.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02 467
13875 해외 여행지 안전정보 제공 의무화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05 456
13874 미용실‧숙박업 폐업신고 세무서나 구청 한 곳에서 가능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05 508
13873 폐 망가지는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최근 진료인원 감소 추세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05 457
13872 한약재 GMP 전면의무화로 안전관리 강화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05 483
13871 선불식 할부거래에서의 소비자보호 지침 개정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06 406
13870 보험계약체결 및 보험금 청구시 유의사항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06 438
13869 아동권익 보호를 위한 입양기관 행정처분 기준 강화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06 505
13868 “「한국의 밥心」쌀은 식량이기 이전에 우리의 정체성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06 445
13867 4-메틸이미다졸 기준초과‘카라멜색소’회수조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06 515
13866 범정부 차원의 『복지?보조금 부정 신고센터』출범 확정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06 435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