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국토교통부(장관노형욱)는 ‘22년 1분기 자동차 누적등록 대수는 25,070천대로 전 분기 대비 0.6%(159천대) 증가하였으며, 인구 2.06명당 1대의 자동차를 보유하였다고 밝혔다.

* 자동차 1대당 인구수 : 서울 2.99, 부산 2.27, 인천 1.75, 제주 1.01(명)


원산지별로 국산차의 누적점유율은 88.0%(22,069천대)이며, 수입차의 누적점유율*은 12.0%(3,001천대)로 수입차 대수가 증가 추세를 나타내고 있다.

* 수입차 점유율 : (‘18) 9.4% → (‘19) 10.2% → (‘20) 11.0% → (‘21) 11.8% → (‘22.1Q) 12.0%


사용 연료별로는 친환경차*(전기·수소·하이브리드차)가 전분기말 대비 7.7%(89천대) 증가하여 누적등록 대수는 5.0%(1,248천대) 기록하였다.

* 친환경차 지역별 등록대수 비중 : 제주 8.4%, 세종 7.1%, 인천 6.6%, 서울 6.1% 순


① 전기차는 전년동기(148천대) 대비 74.9%(110천대) 증가, 전 분기 대비 11.6%(26,810대)증가하여 258,253대 누적 등록되었다.

② 수소차는 누적 등록대수 20,683대로 전분기 대비 6.6%(1,279대) 증가, 전년 동기(12,439대) 대비 66.3%(8,244대) 증가되었으며,

③ 하이브리드차는 전 분기 대비 6.7%(+61천대) 증가하여 총 969천대 등록(누적)되었다.

* 하이브리드차 : (‘17) 314천대, (‘18) 405천대, (‘19) 506천대, (‘20) 674천대, (‘21) 908천대, (‘22.3) 969천대


④ 휘발유차는 전분기 대비 0.7%(81천대) 증가하였으며, 경유*·LPG차는 △0.1%(12천대) 감소하였다.

* 전 분기 대비 승용 △0.1%, 승합 △1.1% 감소, 화물 0.3%, 특수 2.1% 증가


1분기 자동차 신규등록 대수는 반도체 수급부족으로 신규등록은 393천대로 전분기(407천대) 대비 △3.3%(14천대) 감소, 전년 동기대비 △12.6%(450천대) 감소되었다.

지역별로는 울산(△22.4%), 경남(△19.2%), 서울(△18.3%) 순으로 신규등록 감소폭이 컸다.

차종별*로는 승용 △5.8%, 승합 △28.3%, 특수 △9.8% 전분기 대비 각각 감소하였으나, 화물차는 14.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전 분기 대비 차종별 신규등록대수(대) : 승용 349,164 → 328,873, 승합 5,513 → 3,953, 화물 49,286 → 56,593, 특수 3,579 → 3,230
* 수입차 점유율 : (‘18) 9.4% → (‘19) 10.2% → (‘20) 11.0% → (‘21) 11.8% → (‘22.1Q) 12.0%


전기차의 신규등록 대수는 28천대로 전 분기(31천대) 대비 △11.2%(3천대) 감소하였다.

최근 1년간 월별 신규등록 대수를 보면 전기차 구매보조금 지원시기에 따라 작년 6월과 올 3월 많은 등록을 나타냈다.

전기차의 원산지별, 지역별, 차종별, 제작자별 등록현황을 살펴보면 ① 원산지별 ‘21년 신규등록 국산차 점유율*은 74.1%(74천대)였으며, 올 1분기 국산차 점유율은 79.0%(22천대)로 나타내었다.

* ‘21.1Q 국산(66.3%), 2Q 국산(59.0%), 3Q 국산(78.8%), 4Q 국산(85.6%)


② 지역별로는 경기·서울·제주도에 전기차(115,799대)가 다수 등록(44.8%)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산이 가장 높은 23.9% 증가, 울산(19.7%), 충북(18.2%) 순으로 증가율을 나타내었다.

* 누적등록: 전분기 대비 부산 15,330대(2,955대↑), 울산 3,789대(623대↑), 충북 9,683대(1,489대↑)


③ 전기차 차종별로는 승용 78.7%(203,311대), 화물 19.8%(51,153대), 승합 1.4%(3,651대), 특수 0.1%(138대) 등록되어 있으며, 전기 화물차는 구매보조금과 한시적인 영업용번호판 발급총량 예외 정책* 등에 따라 ’19년말 1.1천대에서 ‘22년 3월말 51천대로 대폭 증가하였다.

* 1.5톤 미만 전기트럭에 영업용 번호판 발급을 ‘22.4.13.까지 총량예외(화물자동차운수사업법)


④ 제작사별로는 현대(44.2%), 기아(24.3%), 테슬라(13.8%) 순으로 누적등록 점유율을 보이며, 현대자동차의 등록 비중이 높다.

또한 ‘22년 3월 기준 누적등록 상위 전기차 모델을 살펴보면 코나 일렉트릭(12.6%, 32,548대), 아이오닉5(11.3%, 29,292대), 포터Ⅱ(11.0%, 28,503대), 테슬라 모델3 (9.3%, 24,143대), 니로EV(7.7%, 19,783대) 순으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 박지홍 자동차정책관은 “올해 1분기에 자동차 등록대수가 2천 5백만대를 돌파하였으며 전기차, 수소차 등 친환경차량 보급은 지속적으로 높은 증가세를 기록하고 있다”면서, “시장의 흐름과 시대변화에 맞는 자동차 정책의 수립·시행이 가능하도록 자동차 등록현황을 세분화하여 국민이 원하는 맞춤형 통계를 지속적으로 제공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 국토교통부 2022-04-13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572 2015년도 3/4분기 다단계 판매업자 휴·폐업 등 주요정보 사항 공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28 88
2571 2015년 9월 소비자상담 동향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28 88
2570 농식품 공공데이터 이렇게 활용 할 수 있어요!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09 88
2569 디지털 증거물 위·변조 원천 봉쇄한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13 88
2568 수입과자 영양성분 표시 관리 강화 필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2.09 88
2567 국립공원 시설사용료 미환불금 찾아 가세요!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2.10 88
2566 택시 승차거부, 연말 심야시간대 가장 많아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2.21 88
2565 어린이집 CCTV 설치율 99.9%, 아동학대 사전예방 기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2.23 88
2564 건설현장 안전관리 ‘대응형⇒예방형’ 으로 전환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1.05 88
2563 카드뮴 기준초과 검출된 수입 '활꼬막(새꼬막)’ 회수조치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1.08 88
2562 자동차 등록대수, 2천1백만 대 육박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1.18 88
2561 그들은 도움의 신호를 보냈지만 우리는 알지 못했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1.27 88
2560 설 명절엔 "안전한 먹거리 OK! 부적절한 선물수수 NO!"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1.29 88
2559 축산물 허위표시.과대광고 행위 단속 사전예고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2.22 88
2558 아동학대 신고 전년동기 대비 46% 증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5.20 88
Board Pagination Prev 1 ... 749 750 751 752 753 754 755 756 757 758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