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질병관리청전문 학회 및 협회와 함께 최신의 근거와 사회환경 변화를 반영한 아토피

    천식 예방관리수칙 개정

◇ 개정된 아토피천식 예방관리수칙 홍보를 위해아토피·천식 예방관리수칙 개정 선포식

    (4월 8() 14:00, 비대면) 개최


□ 질병관리청(청장 정은경)은 아토피피부염, 천식, 알레르기비염으로부터 국민의 건강을 지키기 위해 ‘아토피‧천식 예방관리수칙’ 개정 사항을 발표한다고 밝혔다.


 ○ 질병관리청(당시 질병관리본부)은 아토피피부염 등 알레르기질환의 올바른 예방관리를 위해 2008년 5개 전문 학회 및 협회*와 공동으로 「아토피·천식 예방관리수칙」을 제정하고,


    * 대한 소아알레르기 호흡기학회, 대한이비인후과학회, 대한천식알레르기학회, 대한피부과학회, 한국천식알레르기협회


   - 연령별 교육‧홍보자료를 개발 및 보급하는 등 아토피피부염, 천식, 알레르기비염에 대해 올바른 정보제공과 국민인식 개선을 목표로 다양한 사업을 추진해 왔다.


 ○ 이번 예방관리수칙 개정은 최신의 근거를 기반으로 변화된 사회환경 등을 반영하여 마련하였으며, 2008년 제정 당시 참여한 학회 및 협회와 공동으로 진행하였다.


   - 질환별 주요한 개정 사항으로는 아토피피부염은 올바른 목욕 방법 및 보습제 사용법과 착용하는 옷 소재에 관한 내용이,


   - 천식과 알레르기비염은 실내외 요인 관리와 간접흡연을 포함한 금연에 관한 내용이 개정되었다.


   - 특히, 3개의 질환이 공통으로 질환 악화요인에 대해 정확한 검사와 진단을 받을 것과 효과와 안전성이 입증된 방법으로 꾸준한 치료가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 앞으로는 개정된 예방관리수칙별로 구체적인 실행지침을 마련하고 다양한 교육과 홍보사업을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


( 2022년 아토피·천식 예방관리 수칙 )


〈 아토피피부염 〉

1. 보습 및 피부 관리를 철저히 해야 합니다.

- 목욕은 매일 미지근한 물에 10분 내외로 합니다.

- 약산성 물비누를 사용하여 매일 목욕하고 때를 밀면 안됩니다.

- 보습제는 하루에 적어도 두 번 이상, 목욕 직후 바릅니다.

- 피부에 자극이 없는 옷을 입어야 합니다.

- 손톱, 발톱을 짧게 깎도록 합니다.

2. 정확히 알레르기로 진단된 식품만을 제한합니다.

3. 스트레스를 잘 관리해야 합니다.

4. 적절한 실내 온도와 습도를 유지해야 합니다.

5. 효과와 안전성이 입증된 방법으로 꾸준히 치료합니다.


〈 천 식 

1. 실내는 청결하게 유지하고대기오염이 심한 날은 외출을 삼가거나 마스크를 착용합니다.

2. 천식의 원인 및 악화요인을 검사로 확인한 후 회피합니다.

3. 금연하고간접흡연도 최대한 피합니다.

4. 감기 예방을 위하여 손을 잘 씻고인플루엔자(독감예방접종을 철저히 합니다.

5. 규칙적인 운동을 하고 정상체중을 유지합니다.

6. 천식 치료는 의사의 지시에 따라 시행하고 악화 시 대처방법을 잘 알고 있어야 합니다.

7. 효과와 안전성이 입증된 방법으로 꾸준히 치료합니다.


〈 알레르기비염 

1. 실내는 청결하게 유지하고대기오염이 심한 날은 외출을 삼가거나 마스크를 착용합니다.

2. 비염의 원인 및 악화요인을 검사로 확인한 후 회피합니다.

3. 금연하고간접흡연도 최대한 피합니다.

4. 감기예방을 위하여 손을 잘 씻습니다.

5. 효과와 안전성이 입증된 방법으로 꾸준히 치료합니다.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질병관리청 2022-04-07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600 희귀.난치질환 치료에 필요한 의료기기, 식약처가 공급해 드립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2.21 87
2599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 감염증 한달 사이 2.2배 증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3.10 87
2598 식약처, 봄철 다소비 농산물 선제적 안전관리 강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3.15 87
2597 2월 국외여행 관련 품목의 소비자상담 증가율 두드러져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3.17 87
2596 산재근로자 전용 직업복귀 통합 플랫폼 개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3.20 87
2595 1,763km 자전거길, 국민이 직접 점검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3.21 87
2594 2022 한국의 사회지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3.23 87
2593 전세피해 방지를 위한 미납국세열람 개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3.29 87
2592 졸음쉼터 내 장애인 전용 화장실, 주차구역 설치 확대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3.30 87
2591 우리동네 동물병원 더 가까워집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4.12 87
2590 ‘마약류 불법 제조·유통·관리’ 청렴포털(clean.go.kr)에 바로 신고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4.19 87
2589 농작물(과수) 재해보험 가입기간 놓치지 마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20 88
2588 1월 대비 낙농·축산가공품, 채소 판매가격 상승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4.08 88
2587 항공법 시행령 · 시행규칙 개정안 입법예고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4.23 88
2586 무단 증축 건축물 26년 지나서 한 행정처분은 잘못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5.21 88
Board Pagination Prev 1 ... 748 749 750 751 752 753 754 755 756 757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