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농림축산식품부(이하 농식품부, 장관 이동필)는 국민경제의 활력 제고와 농촌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해 농림식품분야 일자리 창출에 모든 역량을 집중키로 함
이를 위해, 부내에「농림식품 일자리 창출 TF(이하 “일자리TF”)」를 설치하고, 3월 14일 관계기관장들과 함께 현판식*을 개최함
* 참석자 : 농식품부장관, 농촌진흥청장, 산림청장,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장, 농협중앙회 상무, 식품산업협회 전무이사, 한국농촌경제연구원장
이 자리에서, 이동필 농식품부장관은 “2016년은 경제혁신 3개년 계획을 완수하는 해로서, 국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일자리 창출’ 성과를 내는데 농식품부를 포함한 농업관련기관이 앞장서야 한다”고 강조하며,
“상대적으로 취업유발효과가 큰 농식품 분야에서 더욱 많은 일자리를 만들어 경제활력 제고 뿐만 아니라, 농촌지역경제 활성화도 도모하고 농업분야 체질개선의 계기도 마련해야 한다”고 언급
* 취업유발효과 : 全산업평균 12.9명/10억원, 농림어업 37.3, 음식료업 30.8, 음식서비스 30
“일자리 TF”는 농림식품 관련 분야의 창업(創業) 및 취업(就業) 확대를 위한 구체적인 실천방안 수립 및 추진에 집중할 계획
창업(創業)과 관련해서는 농업에 종사할 젊은 인력 유입 확대를 목표로 농고농대생의 창업 준비 지원, 도시 청년의 창농 지원, 귀농 촉진, 6차산업벤처농업 창업 활성화 방안을 마련할 계획
취업(就業)과 관련해서는 농번기 농촌의 일손 부족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도시 유휴인력 활용 방안, 식품외식 등 농림식품 관련 산업의 일자리 확대, 반려동물말산업 등 성장유망산업의 신규 일자리 창출방안 마련에 중점
앞으로, “일자리 TF”의 작업방향은
창업
중학생 자율학기제를 활용해 농림식품 분야 직업탐색 기회를 확대하는 방안을 각 지역 교육청 등과 협력하여 마련
농업 창업을 촉진하기 위해 농고농대 교육과정을 창농 준비를 위한 현장실습 중심으로 개편, 농촌에 기반이 있는 도시 거주 자녀의 농업 승계를 활성화하는 방안 마련, 귀농 희망자를 대상으로 귀농에 필요한 교육자금 등을 원스톱으로 지원하는 체계를 구축하고, 귀농 후 실패를 최소화하여 안정적인 정착을 유도하는 방안 마련
6차산업 창업을 촉진하기 위해 종합가공지원센터, 6차산업 활성화센터, 창조경제혁신센터간 역할분담 및 연계를 강화하는 방안 마련, 농가맛집농촌관광로컬푸드 직매장 등 6차산업 관련 분야 일자리를 확대하기 위해 관련 교육자격증인력중개 지원방안 마련
벤처농업 창업 활성화를 위해 창업 초기단계에 창조경제혁신센터를 활용해 기술자금컨설팅 등을 원스톱으로 지원하는 체계를 구축
취업
농촌분야 일손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단기적으로는 대학생 방학 아르바이트를 활용한 농촌 일손 지원사업을 추진하고, 양돈시설원예 등 숙련 노동자가 필요한 산업에 대해서는 관련 전문교육을 병행 운영하여 장기적인 일자리로 연결
또한, 농촌의 일자리 정보와 숙박교통 등 편의 제공을 확대하여 도시민이 농촌일자리에 대한 접근성을 높여 도시 실업인구를 농촌이 흡수하면서 농번기 농촌의 인력 미스매치 문제를 해소
더불어 농촌 유입인구 증가에 따른 교육의료복지 등 농촌의 사회서비스 수요 증가에 대응, 관련 일자리를 발굴하고, 여성인력 등을 활용하는 방안 마련
인력 수요가 많은 외식산업에 40~50대 조기 퇴직인력의 유입을 촉진하기 위해 유통교육원에 관련 교육과정을 개설하고, 교육 수료생을 대상으로 외식업체 채용상담 후 취업으로 연결하는 방안 마련
농자재·종자·반려동물·말산업 등 성장유망산업에 신규 일자리를 창출하는 방안 마련, 농림식품 관련 직업에 대한 정보 제공을 위해 직업군별 산업전망자격제도취업 요건 등을 종합적으로 담은 농림식품 직업 안내 매뉴얼도 제작할 계획
“일자리 TF”는 과장급 팀장을 포함하여 6명의 직원으로 상설 운영하며, 농진청산림청농어촌공사유통공사농협지자체 등 유관기관에도 전담 인력을 지정하여 협력을 강화할 계획

[농림축산식품부 2016-03-14]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300 보행자가 횡단보도를 건너려고 할 때 운전자는 반드시 일시정지! 「도로교통법」, 7월 12일 시행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6.27 47
2299 7.11일부터 코로나19 생활지원 및 치료비 지원 제도 개편 적용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6.27 41
2298 계약해지 관련 소상공인의 보호망 확충을 위한 표준계약서 개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6.28 35
2297 생활의 편리함을 높이는 이용자 중심 철도서비스 확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6.28 49
2296 이용자만족도 조사 확대로 항공서비스를 개선하겠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6.28 13
2295 9월부터 주택부채 관련 건강보험료 부담이 가벼워집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6.28 49
2294 소규모 식품.축산물 업체 해썹 인증 수수료 30% 감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6.28 48
2293 소비량이 급증하는 즉석조리식품, 단위가격 표시 품목 지정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6.28 42
2292 주민등록증을 스마트폰으로 간편하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6.28 18
2291 국민권익위, 민원 빅데이터 속 국민 불편사항 발굴, 실제 정책으로 연결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6.29 28
2290 국민권익위 경찰옴부즈만, “시각장애 고소인이 점자 수사결과 통지서 요구하면 제공해줘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6.29 36
2289 국민권익위, 불법 의료기기 유통 묵인은 소극행정...관리 강화하도록 개선 권고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6.29 34
2288 국민권익위, 불법주정차 주민신고 1일 3회 제한은‘주민참여형’신고제 도입 취지에 어긋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6.29 42
2287 철도안전관리 수준, 4년 연속 향상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6.29 11
2286 기초연금, 생활안정과 더불어 어르신들 정서 안정에 도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6.29 17
Board Pagination Prev 1 ... 763 764 765 766 767 768 769 770 771 772 ... 921 Next
/ 921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