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보건복지부(장관 권덕철)는 3월 28일(월)부터 비정신과 일차의료기관(의과 의원) 이용 환자 중 우울, 자살위험이 있는 정신건강 위험군을 선별해 치료나 사례관리가 가능한 기관으로 연계하는「동네의원-정신의료기관 치료연계 시범사업」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 코로나 19 장기화로 지난 2년간 국민들의 자살생각률이 40%가량 증가하였고, 5명 중 1명이 우울위험군으로 나타나는 등 전반적 정신건강 지표가 악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자살생각률: (’20.3.) 9.7% → (’21.12.) 13.6% / 우울위험군: (’20.3.) 17.5% → (’21.12.) 18.9%(2021년 코로나19 국민 정신건강 실태조사)


○ 그러나 정신질환에 대한 사회적 편견과 낙인 등으로 우리나라의 ’20년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률*은 7.2%에 불과하여, 외국**의 1/5수준에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 정신장애를 진단받은 사람 중 정신건강 문제로 전문가(의사 등)에게 상담 또는 치료를 받는 비율(2021년 정신건강실태조사)
    ** 캐나다 46.5%(’14년), 미국 43.1%(’15년), 호주 34.9%(’09년)

□ 건강보험 표본 코호트 DB(’07~’15) 분석 결과, 자살이 임박한 사람들은 다양한 신체적·정신적 문제로 비정신과 일차의료기관을 방문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 자살사망자 59.4%는 자살 전 60일 이내 내과 등 동네의원 방문 이력 있음

 ○ 이에 따라, 「동네의원-정신의료기관 치료연계 시범사업」은 비정신과 의원에서 정신건강 위험군을 발굴하여 치료 또는 사례관리를 받을 수 있는 기관*으로 연계하도록 하고 있다.

     * 정신건강의학과, 정신건강복지센터, 자살예방센터 등

□ 이번 시범사업은 올해 3월부터 2년간 부산광역시에서 실시한다.

 ○ 먼저 동네의원에서는 진료 시 우울증, 자살 위험성이 의심되는 환자*를 대상으로 의사 면담 또는 우울증 선별도구(PHQ-9)로 정신건강 서비스 연계대상자를 선별하고,

     * 직·간접적으로 우울감 등을 의료진에게 표현하거나, 의학적 진단으로 설명되지 않는 신체 증상을 호소하는 환자, 내·외과적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비특이적 환자 등

   - 선별된 환자에게 정신의료기관 치료의뢰를 우선 권고하되, 환자가 사례관리를 원하는 경우 지역정신건강복지센터로 연계하고, 연계기관에 방문하도록 적극 독려한다.

□ 이번 시범사업에서는 정신건강 위험군 조기발견을 위한 선별상담료(상담료, 선별도구평가료) 및 발견된 위험군의 적기의뢰를 위한 치료연계관리료를 별도로 산정하도록 하였다.
 
 ○ 특히, 시범사업 기간 동안 본인부담금을 면제함으로써 환자의 비용부담 없이 서비스를 제공해 치료연계를 활성화하고자 하였으며,

 ○ 시범사업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치료연계 된 환자가 실제 정신의료기관이나 정신건강복지센터 등에 방문해 치료 또는 사례관리를 받은 경우 연계 성공 수가를 추가로 지급할 계획이다.

   ※ (’22년 의원급 점수당 단가 기준) 선별상담료(상담료 : 13,180원, 선별도구평가료 : 4,420원), 치료연계관리료(14,950원), 연계성공 보상수가(14,840원)

□ 이번 시범사업은 공모절차(’21.11.23.~12.22.)를 거쳐 정신건강 서비스 인프라, 자살률 등 지역의 정신건강 현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부산광역시가 선정(’22.1.3.)되었으며,

 ○ 부산광역시 관내 일차의료기관 57개소*를 시작으로 하여 참여의료기관을 점차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 내과, 가정의학과, 산부인과, 소아청소년과, 정형외과, 이비인후과 등

□ 보건복지부 정은영 정신건강정책관은 “이번 시범사업은 우울, 자살위험 등 정신 건강상 위기에 놓은 사람들을 적기에 적절한 치료·상담을 받을 수 있는 정신건강 지원체계로 유입하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 아울러 “지역사회 내 숨은 정신건강 위험군을 선제적으로 발굴, 치료·연계하기 위한 일차의료기관의 역할을 강화하고, 정신건강 서비스에 대한 국민 인식개선으로 정신의료기관에 대한 접근성이 향상되기를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 보건복지부 2022-03-27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486 선불식할부거래업자(상조업체) 2017년도 감사보고서 제출·공시 결과 공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31 29
5485 정책모기지 유한책임대출 제도 확대 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31 29
5484 산란계 농가의 계란 검사 결과, 부적합 계란 회수·폐기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23 29
5483 2018년 성희롱 실태조사, 30인 이상 기관으로 확대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09 29
5482 “우리 아이의 특성에 맞는 놀이방법을 배워보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03 29
5481 2017년도 금융민원 및 금융상담 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4.30 29
5480 17년 상담분석 결과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4.27 29
5479 중형 저상버스도입·보행 환경 조성…교통약자 이동권 확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4.19 29
5478 2018년 3월 다소비 가공식품 가격 다소 상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4.16 29
5477 조종사·승무원 꿈꾸는 청소년, ‘항공교실’ 로 오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4.09 29
5476 소비자기본법 시행령 개정안 입법예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3.30 29
5475 가정간편식 제조.판매업체 전국 합동점검 실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3.30 29
5474 금융꿀팁 200선 - 82 개인신용정보 권리보장 제도 활용하기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3.30 29
5473 자전거 음주운전, 단속·처벌대상입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3.28 29
5472 공동육아나눔터, 다양한 돌봄유형을 지원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3.20 29
Board Pagination Prev 1 ... 552 553 554 555 556 557 558 559 560 561 ... 922 Next
/ 922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