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앞으로 전자송달을 통한 지방세 고지 사실을 휴대전화 문자로 안내받게 된다. 또 지방세 공시송달 과정에서 개인정보가 그대로 노출되는 사례가 없도록 제도개선이 이뤄진다.

 

국민권익위원회(위원장 전현희, 이하 국민권익위)는 위택스로 지방세 전자송달 시 휴대전화 문자로 안내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고, 지방세 공시송달 관련 정보공개 세부기준을 만들도록 하는 등의 제도개선 방안을 마련해 행정안전부에 권고했다.

 

 정부는 전자정부 실현을 통한 국민의 지방세 납부 편의 제고를 위해 2007년부터 지방세 납부 시스템으로 위택스를 구축해 운영하고 있다.

 

 서울시는 2001년 자체 시스템으로 이택스를 개발했으며, 이후 부산시, 인천시, 대구시도 자체 이택스를 개발하여 운영 중임

 

 2019년 기준 가입자수는 위택스는 약 875만여명, 서울시 이택스는 약 259만여명임

위택스 개발로 국민들의 지방세 납부방법은 다양화됐으나, 국민이 지방세 고지를 알지 못하는 등 일부 불편 사례가 나타나고 있었다.

 

국세 홈택스, 서울시 이택스와 달리 위택스는 지방세 전자송달 시 송달 사실을 휴대전화 문자로 안내하지 않아 국민이 이를 확인하기 어려웠다. 특히 2017 5월까지 제공해오던 문자 안내 서비스를 중단해 일부 국민이 지방세를 체납하는 사례도 발생했다.

 

또한 지방세 고지가 안 되면 해당 지방자치단체는 공보 등을 통해 공시송달을 하고 있는데 이 과정에서 불필요한 개인정보가 노출되기도 했다.

 

 이에 국민권익위는 휴대전화 문자를 통한 전자송달 안내 근거 마련 송달 또는 안내 방식 변경 시 관련 내용 사전 공지 전자송달 참여를 확대하기 위한 위택스 홈페이지 내 전자송달 신청방·혜택 등 상시 노출 공시송달 시 정보공개 세부기준 마련 등의 개선방안을 행정안전부에 권고했다.

 

행정안전부는 국민권익위 권고에 따라 내년 8월까지 지방세기본법 시행령 등 관계법령을 정비하는 제도개선을 추진하기로 했다.

 

 한편 국민권익위는 중앙행정기관,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 등 약 1,500여 개 기관에 부패방지 및 고충처리에 관한 제도의 개선을 권고한다. 2017 5월 이후 국민권익위는 255건의 제도개선을 권고했으며 이에 대한 관계기관 수용률은 98.7%에 이른다.

 

 국민권익위 양종삼 권익개선정책국장은 이번 제도개선으로 지방세 전자송달 관련 국민 불편과 불필요한 개인정보 노출이 사라질 것으로 기대한다.” 면서 앞으로도 국민불편과 불공정·부패행위를 유발하는 제도를 적극적으로 개선해 나갈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 국민권익위원회 2022-03-25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654 전통시장 등 봄철 ‘화재 안전’ 민원주의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2.28 27
2653 전통시장 주변 무료 개방 주차장 어디에서 찾을 수 있나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9.28 12
2652 전통시장에서도 농축산물 할인 혜택을 누리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3.20 36
2651 전통재래시장 ‘주차·도로 이용 불편’ 민원 가장 많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9.10 38
2650 전해수기, 실생활 환경에서 수돗물만으로는 살균효과 미흡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1.13 19
2649 전화 등 통신수단을 이용해 편리하게 보험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보험업법」, 2월 18일 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2.03 45
2648 전화-인터넷-홈쇼핑 등을 통한 금융상품 판매관행 개선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03 70
2647 전화금융사기, 숨어있는 여죄까지 추적한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8.04 100
2646 절세계획 수립,「연말정산 미리보기」접속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1.06 40
2645 절수형 변기, 제품별로 세척성능·절수효과 등에 차이 있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1.25 10
2644 절연재 용융과 합선으로 인한 화재 및 감전 위험 있는 조명기구 판매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3.11 332
2643 절임배추, 위생 및 표시 관리·감독 강화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2.03 51
2642 젊어서 어르신 돌보고 나중에 돌려받는 ´사회공헌활동 기부은행´ 확대 시행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2.18 84
2641 젊어지는 자궁경부암, 선제적 예방이 답!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1.07 88
2640 젊은 군 장병들 위한 맞춤형 휴대전화 요금제 나온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27 18
Board Pagination Prev 1 ... 744 745 746 747 748 749 750 751 752 753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