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이동필)은 국내 발생한 고병원성 AI로 홍콩측이 ‘14.5월부터 수입 중단한 우리나라산 닭고기·오리고기·계란 등 신선 가금제품의 홍콩 수출이 한홍 검역 당국의 협의를 통해 ‘16.3.11일자로 가능해 졌다고 밝혔다.
○ 이는 지난 ‘16.2.28일 우리나라가 고병원성 AI 청정국 지위를 회복하고 홍콩 측에 수입 재개를 요청(3.3)한지 8일 만에 이룬 성과로, 과거보다 훨씬 짧은 기간 내 성사된 것이다.
* 과거 사례 : (‘09) 청정화 선언 후 11개월 만에 수출 재개, (’11) 43일만에 수출 재개
** 대 홍콩 가금제품 수출 실적(천불, 붙임 참조) : (‘12) 3,454 (‘13) 11,301 (‘14) 373
□ 그간 농식품부는 홍콩 현지에 있는 주홍콩대한민국총영사관(총영사 김광동)과 협력하여 홍콩 측에 국내 AI 예찰 자료 등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한편,
○ 수출 재개에 필요한 모든 검역 절차를 신속하고 명확하게 마무리 짓기 위해 홍콩을 직접 방문하여 홍콩 측과 실무 검역 협의를 갖는 등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 특히, 농식품부 이동필 장관은 우리 측 대표단과 주홍콩 영사(이민근)와 직접 통화를 통해 격려와 조언을 하며 “농식품 수출 확대”를 위한 확고한 의지를 전달했다.
□ 이번 한홍 정부 간 협의 결과에 따라 우리나라 AI 청정국 지위 회복 시점인 ‘16.2.28일 이후 생산(부화)한 닭·오리 등 가금류를 사용하여 만든 닭고기·오리고기·계란 등 신선 가금제품이면 수출이 즉시 가능하다.
* 국제기준(세계동물보건기구, OIE)에 따라 열처리 등 가축 전염병 원인체를 사멸시키는 조건으로 가공된 가열 제품(삼계탕 등)은 국내 고병원성 AI 발생 여부와 관계없이 지속 수출이 가능
○ 아울러, ‘14.5월 수출 중단 이전 홍콩 정부가 기 등록한 국내 수출 작업장 40개소* 모두가 수출이 가능하며, 기존에 양측 정부 간 합의된 검역증명서 서식도 그대로 활용키로 협의하였다.
*홍콩 수출 작업장(총 40개소): 가금육 38개소(도축장 21, 가공장 17), 계란 2개소
□ 농식품부는 앞으로 우리 가금제품이 홍콩으로 안정적으로 계속 수출될 수 있도록 AI 재발 방지 및 수출 검역 관리 지원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 특히, 농식품부는 수출 업계 등과 협력하여 홍콩 현지 홍보·판촉 등 수출 지원을 위한 노력도 적극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농림축산식품부 2016-03-1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262 신나는 여름방학, 토양·지하수 어린이 여름캠프와 함께해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7.04 13
2261 퇴직연금제도에 사전지정운용제도(디폴트옵션)가 도입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7.05 9
2260 "장애인고용촉진 및 직업재활법 시행령" 개정안 국무회의 심의.의결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7.05 27
2259 부패신고자 보호·보상 강화한 ‘부패방지권익위법’ 5일부터 본격 시행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7.05 15
2258 6일 강원 조양강 가로지르는 정선3교 전면 개통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7.05 10
2257 2022학년도 2학기 학자금 대출금리 1.7%로 동결!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7.05 9
2256 코로나19 주간 발생 15주만에 증가(전주대비 21.2%↑)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7.05 16
2255 2022년 6월 소비자물가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7.05 10
2254 중고거래 플랫폼, 온라인 및 개인 판매 불가 품목 다수 유통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7.05 17
2253 주민등록증 전국 어디서나 신규 발급 가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7.05 7
2252 민원실은 더 안전하게, 민원인 권익보호는 더 두텁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7.05 9
2251 안전일기장과 함께 안전한 여름방학 보내자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7.05 11
2250 ‘전년도 소득으로 건강보험료 산정․부과’ 국민에게 적극 안내해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7.06 12
2249 현대·기아·포드·아우디·벤츠 등 시정조치(리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7.06 13
2248 이용자 고지는 명확하게, 해지·환불은 간편하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7.06 14
Board Pagination Prev 1 ... 765 766 767 768 769 770 771 772 773 774 ... 920 Next
/ 9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