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이동필, 이하 농식품부)는 농작업 중 발생하는 안전사고로부터 농업인의 신체나 재산에 대한 손해를 보상하기 위한 농업인안전재해보험 상품을 판매한다고 밝혔다.
‘농업인안전보험’은 보장수준(사망시 유족급여)을 지난해 1억원에서 1억 천만 원으로 인상하여 NH농협생명과 LIG손해보험에서 1월 2일부터 판매 중이며, 만 15세~84세 농업인이면 누구나 가입이 가능하다.
아울러, ‘농기계종합보험’도 대물사고에 대한 보장한도를 확대(‘14: 2천만 원→ ’15: 2510천만원)하여 NH농협손해보험에서 2월 1일부터 판매할 계획이며, 대상 농기계를 소유·관리하는 만 19세 이상의 농업인 또는 농업법인을 가입대상으로 한다.
정부에서는 보험에 가입하는 농업인에게 보험료의 50%를 예산에서 지원하고 있으며, 특히 농업인안전보험의 경우 지자체와 지역농협에서 약 35%를 추가 지원하고 있어 가입농가는 사실상 보험료의 15% 수준만 부담하면 된다.
농식품부에 따르면 지난해 농업인안전보험의 경우, 농림업경제활동인구의 절반 이상인 778천 명(가입률: 55.2%)의 농업인이 가입하였고, 치료급여금입원금여금 등으로 442억 원의 보험금을 지급하여 농가의 경영불안요인을 경감시킨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부터 사업지역을 전국으로 확대한 농작업근로자보장보험의 경우에는 가입 건수가 5,674건으로 전년 대비 183% 증가하여 많은 농업인에게 혜택을 제공하였다.
특히, 지난해 「농어업인의 안전보험 및 안전재해예방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여 농업인의 사회 안전망 사각지대를 해소하는 한편, 안전재해로부터 농업인들이 실효적으로 보호받을 수 있도록 확실한 법적근거를 마련하였다.
이에 따라 내년에는 새로이 보험가입 대상에 농작업 근로자를 포함하고, 현행 보장급여에 직업재활급여금간병급여금을 포함한 상품을 개발하여 판매할 계획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농촌인구의 고령화, 농기계 사용 증가 등에 따라 농업분야 안전재해 발생률이 산업 전체의 재해율보다 높게 나타나고 있으므로 이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라고 덧붙였다.
* 농업분야 재해율(‘13): 1.30%(산업전체 재해율 0.59% 대비 2배 이상)
아울러, “농업인들이 농작업 중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에 대비하면서 안정적으로 영농에 종사할 수 있도록 농업인안전재해보험에 적극 가입해 줄 것”을 요청하였다.

[농림축산식품부 2015-01-1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315 시중 유통계란 검사항목 확대 적용 수거․검사 결과 등 (2차)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1.14 47
8314 시중 유통계란 검사항목 확대 적용 수거.검사 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1.08 33
8313 시중 유통·판매 중인 물티슈 관리 강화 필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9.09 74
8312 시중 유통 형광등제품 화재·감전 우려 많아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19 80
8311 시중 유통 형광등제품 화재·감전 우려 많아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20 112
8310 시중 유통 햄버거, 용혈성요독증후군 유발하는 장출혈성 대장균은 검출 안 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8.11 52
8309 시중 유통 크릴오일 12개 제품 부적합, 전량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6.12 6
8308 시중 유통 컬러콘택트렌즈 일부 제품 기준 부적합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1.18 61
8307 시중 유통 중인 베이킹파우더ㆍ당면 제품 등의 알루미늄 함량 높아 섭취 주의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2.18 153
8306 시중 유통 중인 백수오 제품 상당수가 가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4.23 160
8305 시중 유통 일부 일산화탄소경보기 성능 미흡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4.16 99
8304 시중 유통 이유식 제품 관리 강화 필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20 89
8303 시중 유통 식품용 기구 및 용기.포장 중 비스페놀류 안전한 수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4.02 47
8302 시중 유통 빵류, 당류 저감화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7.31 35
8301 시중 유통 된장.고추장.간장 등 보존료 사용 안전한 수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2.24 19
Board Pagination Prev 1 ... 367 368 369 370 371 372 373 374 375 376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