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현재 만 12세 대상에서 만 1317(0408년생여성 청소년과 만 1826(9503년생저소득층여성으로 국가지원 확대

   *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상 기초생활보장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 사람유두종바이러스 감염증 예방접종 지원 확대로 자궁경부암 및 구인두암항문-생식기암 등 예방효과 기대


□ 질병관리청(청장 정은경)은 현재 건강여성 첫걸음클리닉 사업의 일환으로 시행하고 있는 사람유두종바이러스 감염증 예방접종(이하 HPV 예방접종) 지원 대상자를 3월 14일부터 확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 현재 HPV 예방접종 국가지원 대상자는 만 12세 대상으로 2009.1.1. ~ 2010.12.31. 출생한 여성 청소년이다. 


 ○ ’22년 3월 14일부터는 만 13~17세(2004.1.1.~2008.12.31.) 여성 청소년* 29만 명과 만 18~26세(1995.1.1.~2003.12.31.) 저소득층** 여성 10만 명에게 국가지원 대상을 확대한다.


     * 지원 대상은 출생연도 기준   

     ** 접종 당일 기초생활보장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여성


   - (연령 확대) HPV 예방접종 백신은 식약처 허가 연령 범위*가 넓기 때문에 기존 지원 연령인 만 12세보다 대상 연령을 확대할 것에 대한 요청이 꾸준히 있었고, 이를 수용하여 확대하게 되었다.


     * 허가연령은 HPV 4가 백신은 만 9∼26세, HPV 2가 백신은 만 9∼25세 


   - (저소득층) HPV 백신은 타 백신에 비해 고가*이므로 저소득층의 백신 접근성을 높일 수 있도록 저소득층 여성에게 지원을 확대하였다.


    * 자궁경부암백신 비급여 평균 접종비 HPV 4가 167,551원, HPV 9가 204,497원(심평원, ’21.9.28.)


 ○ 저소득층 여성의 경우, 접종 당일 보장 급여 자격이 있는 대상에 한해 예방접종 지원이 가능하며, 기초생활보장수급자와 차상위계층 자격 확인 서류를 보건소와 지정의료기관*에 제시하면 접종받을 수 있다.


    * 지정의료기관 확인: 예방접종도우미 누리집(https://nip.kdca.go.kr) 또는 이동통신 앱


□ HPV 예방접종은 접종 연령과 백신의 종류에 따라 접종해야 할 횟수와 접종 간격이 상이하므로, 새롭게 HPV 백신을 접종하는 경우 접종 전 의사의 예진 후 본인의 연령에 맞게 접종을 시행하여야 한다. 


<HPV 예방접종 실시기준>


undefined

백신의 종류

첫 접종 나이

접종 횟수

접종 일정

최소 접종 간격

12

23

HPV2, HPV4

만 9-14*

2

0, 6-12개월

5개월

-

HPV2

만 15-25

3

0, 1, 6개월

4

12**

HPV4

만 15-26

3

0, 2, 6개월


  * 1차 접종을 만 9-14세에 시작한 경우, 2차 접종이 지연(만 15세 이상)되었다 하더라도 총 2회 접종으로 완료

   ** 1차와 3차 간의 최소 접종 간격은 5개월임


□ HPV 예방접종 시, 자궁경부암․구인두암․항문-생식기암으로 진행 가능한 HPV의 감염을 효과적으로 예방 가능* 하나,


 ○ 이미 HPV에 감염된 후 예방접종을 한 경우에는 바이러스가 소실되지 못하고 치료가 어려울 수 있어 감염되기 전에 접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 미국 CDC에 따르면 2006년 HPV 백신 도입 10년 후, HPV 감염증이 14-19세 여성 청소년에서 86%, 20대 초반 여성에서 71% 감소하였다. 


□ 세계 보건기구 백신 안전성 자문위원회(Global Advisory Committee on Vaccine Safety, GACVS)에서는 HPV 백신의 안전성을 정기적으로 평가하고 있으며 HPV 백신을 매우 안전한 백신으로 평가*하였다. 


    * HPV 국가예방접종 프로그램 가이드(Guide to introducing HPV vaccine into national immunization programmes), WHO, 2016


 ○ 접종 후, 접종 부위의 통증 및 부기, 발적 등이 나타날 수 있으나 이러한 국소 이상반응은 대부분 수일 내에 자연소실 되며, 


 ○ 청소년에서 접종 후, 실신하는 사례가 드물게 보고되나 이는 다른 접종 시에도 나타나는 심인성 증상으로서 접종 후 20~30분간 충분히 앉아있거나 누워있게 하는 등의 조치로 예방할 수 있다.


 ○ 국내 2016년 6월 HPV 백신이 국가 예방접종으로 도입된 이후 약 214만 건 접종 후 176건(0.0082%)의 이상반응이 신고되었고, 


   - 그중 가장 많이 신고된 이상반응은 접종 후 심인성 반응으로서 일시적인 실신 및 실신 전 어지러움 등이 68건 보고되었다. 


   - 그 밖에 나머지 이상반응은 접종 후 알레르기 및 피부 이상반응, 국소반응, 발열, 두통 등이 보고되었으나 안전성이 우려되는 중증 이상 반응 신고 건은 없었다.


□ 질병관리청 정은경 청장은 “2019년 3,273명이 자궁경부암으로 진단을 받았고, 898명이 같은 질환으로 사망(통계청 사망원인 통계)하였다”라고 밝히며,


 ○ “안전하고 암 예방이 가능한 HPV 예방접종을 통해 더 많은 여성(청소년)들의 건강이 증진될 수 있도록 HPV 예방접종을 받으실 것”을 당부하였다. 



[ 질병관리청 2022-03-10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1370 코로나19 대응, 임산부.초등 자녀돌봄 근로자 재택근무 지원받기 쉬워진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8.28 14
11369 식사대용 컵밥, 열량은 낮고 나트륨 함량은 높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9.02 14
11368 코로나19 시대, 슬기로운 구강 관리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9.04 14
11367 국민건강영양조사 20년 통계를 한눈에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9.08 14
11366 '파라핀 욕조' 온라인 광고 점검결과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9.08 14
11365 국민권익위, ‘119 출동 잦은 안전사고 빈발지점’ 대책수립하고 제도개선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9.09 14
11364 식약처, 의약외품 '휴대용 공기' 허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9.14 14
11363 유튜브에서「불법사금융 그만!」채널을 검색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9.22 14
11362 청년특별구직지원금 신청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9.23 14
11361 「고령친화산업진흥법 시행령」 개정안 입법예고 (9.25~11.4)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9.25 14
11360 성폭력피해자에 대한 불이익조치 금지 의무 강화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9.25 14
11359 인플루엔자 백신 정부 조달물량 유통조사 진행 경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9.25 14
11358 자동차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휴대용 취급설명서 제공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9.25 14
11357 무신고 수입산 고무장갑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9.25 14
11356 온라인플랫폼 공정화법 제정안 입법예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9.28 14
Board Pagination Prev 1 ...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 923 Next
/ 923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