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원장 이재욱, 이하 농관원) 소속의 시험연구소는 2015년도에 278개 업체에서 생산하는 770개 인증제품에 대한 과학적인 성분분석을 실시하였다.
우수인증식품 682점(전통식품 591점, KS식품 91점) 중 674점(98.8%)은 적합하였고 전통식품에서 녹차, 고춧가루 등 4점(0.6%)과 KS식품인 양념소스, 식육패티, 돈육커틀릿 등 4점(0.6%)에서 부적합이 있었다. 품질인증 술은 88점을 분석하여 모두 적합인 것으로 나타났다.
농관원 시험연구소는 2011년부터 전문적 분석기술과 최신 분석장비를 기반으로 우수인증식품과 품질인증 술 성분의 적합 여부를 분석해 오고 있다.
2015년 한 해 동안 우수인증식품 중 전통식품은 국내 농산물을 주원료로 하여 생산하고 있는데 물량비율 김치류 42.1%, 장류 27.9%, 두부 3.8% 순으로, KS식품은 장류 17.5%, 김치류 17.5%, 소·돼지고기 10.9% 순으로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성분은 산도, pH, 조단백질, 벤조피렌, 병원성미생물(대장균, 대장균군, 세균수), 리놀렌산, 진세노사이드 등이다.
품질인증 술은 이화학적 품질 기준에 따른 분석을 실시하며 지난해 분석 결과 탁주 57.9%, 살균탁주 18.1%로 전통주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농관원 시험연구소는 시중 유통품의 성분분석 이외에도 우수인증식품 및 품질인증 술의 기능성 성분 발굴 및 효율적인 분석법 연구를 지속적으로 추진해 오고 있다.
우수인증식품과 품질인증 술의 사후관리 대상품목과 성분이 해마다 새롭게 추가되며 다양화 되고 있어 신속한 분석을 위한 다성분 동시분석법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 전통식품 : 인증대상 77품목 69성분 - ‘15년 인증상황 : 51품목 55성분
KS식품 : 인증대상 165품목 183성분 - ‘15년 인증상황 : 34품목 49성분
2015년 김치의 식품첨가물(타르색소, 보존료, 인공감미료) 동시분석법 개발, 홍삼가공품(홍삼농축액, 홍삼정, 분말홍삼차, 홍삼추출액, 홍삼고, 홍삼환)의 잔류농약 동시분석법 개발 및 김치의 기능성성분인 글루코시놀레이트의 분석방법을 확립하였다.
이재욱 농관원장은 앞으로도 국가인증 우수식품의 안전성과 품질 고급화를 위한 철저한 성분분석과 과학적인 첨단 분석방법의 개발을 통해 소비자의 먹거리 불안감 해소와 만족도 향상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농림축산식품부 2016-03-09]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292 강원 화천, 원주지역 주민 '생활 속 고충' 상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7.02 13
2291 안전신문고, 생활안전 위협요인을 신고해 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5.07 13
2290 자격증 발급과 확인, 이제 ‘정부24’에서도 할 수 있어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4.29 13
2289 4.25일, 아동 231만 명이 보편지급 아동수당 받는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4.25 13
2288 2018년 유사수신 혐의업체 특징 및 소비자 유의사항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4.25 13
2287 국세청 납세자보호위원회, 재심의를 통해 납세자 권리 적극 구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4.25 13
2286 공금의 결제수단 확대로 소상공인 수수료 부담 완화된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4.18 13
2285 보호종료아동 2,800여 명에게 자립수당 첫 지급(4.19)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4.18 13
2284 학교폭력 및 성폭력 피해학생 보호 강화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4.17 13
2283 2018년 인터넷상 불법 금융광고 적발현황 및 소비자 유의사항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4.09 13
2282 봄나들이 철 다중이용시설 일제 점검 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4.05 13
2281 7월부터 국민연금 기준소득월액 하한액 31만 원 상한액 486만 원으로 상향 조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4.02 13
2280 저소득 중증장애인 장애인연금 기초급여액 4월부터 30만 원으로 오른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4.01 13
2279 정부, ‘생활 속 반칙과 특권’ 근절을 위한 9개 중점과제 이행점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28 13
2278 국민이 직접 생활 속 반칙 찾아 개선 의견 제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25 13
Board Pagination Prev 1 ... 763 764 765 766 767 768 769 770 771 772 ... 920 Next
/ 9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