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정부는 2022.2.15. 종합부동산세법 시행령을 개정하여 투기 목적 아닌 주택에 대한 보유세 부담 완화를 

   위해 주택 유형별종합부동산세 제도보완하였습니다.

 

주택 유형

종 전

개 정

상속주택

종부세 중과세율 적용 여부 판정 시

소유 지분율 20%, 공시가격 3억원 이하 주택은 주택 수에서 제외

상속개시일로부터 2년 또는
3* 주택 수에서 제외

 

* 수도권·특별자치시(·면지역 제외), 광역시(군지역 제외) 지역

사회적기업
사회적협동조합
종중
보유주택

법인 종부세율(3%, 6%) 적용

일반 누진세율 등*이 적용되는
법인에 추가

 

* 기본공제 6억원, 누진세율(0.6~3.0%, 1.2~6.0%), 세부담상한 적용

어린이집용 주택

종부세 과세

합산배제(비과세) 주택에 추가

·도 등록문화재

주택건설사업자 등 멸실 예정주택

 

상속받은 주택의 경우에는 세율 적용시 주택 수 계산에서 제외하도록 하여 종부세 부담급격히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였습니다.

 

- 종전에는 피상속인 사망으로 부득이하게 주택추가 보유하게 된 경우 지분율20% 이하이고 공시가격3억원 

  이하인 경우에 대해서만 주택 수 계산에서 제외하였습니다.

 

- 그러나 이번 시행령 개정을 통해 지역에 따라 상속 후 2~3* 동안에는 모든 상속주택주택 수 계산에서 제외하도록

  하여 갑작스러운 상속으로 인해 다주택자가 되어 종부세 부담급등하는 사례가 발생하지 않도록 개선하였습니다.

 

* 수도권·특별자치시(·면 제외), 광역시(군 제외) 지역 : 상속개시일로부터 3 기타 지역 : 상속개시일로부터 2

 

다만 상속 후 2~3경과하였음에도 상속주택매각하지 않고 계속 보유하고 있는 경우에는 과세원칙에 따라

  상속주택을 주택 수 계산포함하여 종부세를 부과합니다.

 

 

< 사 례 >

 

 

 

1세대 1주택자(공시가격 10억원, 조정대상지역)1주택(공시가격 6억원, 조정대상지역)‘21.3.1일 상속받은 경우 가정 세부담 상한 미반영

 

구 분

기존
주택

(억원)

상속 주택

종 전

개 정

지분율

(%)

가 액

(억원)

상속 전

상속 후

주택 수*

()

종부세

(만원)

주택 수

()

종부세

(만원)

주택 수

()

종부세

(만원)

공동상속

10

30

1.8

1

-

2

825

1

341

(484)

단독상속

100

6

1

-

2

1,833

1

849

(984)

* ‘23.3.1(수도권 등 외 지역의 경우 ’24.3.1)까지 주택 수에서 제외, 그 후 주택 수에 포함(중과세율 적용)

 

사회적 기업, 사회적 협동조합 종중의 경우 법인으로서 주택을 보유하고 있더라도 투기목적이라고 보기 어려운

   점을 감안하여, 법인에게 적용되는 높은 세율*이 아닌 개인과 동일한 일반 세율**을 적용받을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 단일 최고세율(3%, 6%), 기본공제액 및 세부담상한 적용 배제

** 누진세율(0.6~3.0%, 1.2~6.0%), 기본공제액 6억원, 세부담상한(150%, 300%) 적용

 

- 종전에는 법인격남용부동산 투기방지하기 위해 법인에 대해 높은 세율로 종부세를 과세하였습니다.

 

- 그러나 이번 시행령 개정을 통해 사회적 기업 사회적 협동조합이 그 구성원 또는 취약계층에 대한 주거지원을 

  목적으로 주택보유하는 경우나,

 

종중이 주택을 보유하고 있는 경우에 대해서는 투기 목적으로 보기 어려운 점을 감안하여 법인에 대한 높은 세율이 

  아닌 일반 누진세율 적용받을 수 있도록 하여 세부담완화하였습니다.

 

 

< 사 례 >

 

 

 

여러 가구가 모여 거주하는 사회적 협동조합 A는 가구별로 1채씩 주택을 보유했으면 부담하지 않았을 

   종부세를 기본공제 없이 6% 세율로 과세되는 상황에 놓여 있었음

 

- 앞으로는 구성원의 주택 공동 사용, 취약계층에 대한 주거지원을 정관 또는 규약 설립목적으로 

  명시하고 목적에 맞게 주택보유하는 경우에는 일반 세율 적용할 수 있어 세부담완화

 

그 밖에도 어린이집용 주택, ·도 등록문화재 주택건설사업자 등의 멸실 예정 주택의 경우 보육지원 강화

    문화유산 보호 및 주택공급 활성화 등 정책적 필요성 등을 고려하여 종부세를 비과세(합산배제)하였습니다.

 

 

< 사 례 >

 

 

 

지방에 소재한 B서원C유형문화재로 등록되어 있으나 종전 규정에 따르면 국가등록문화재

  한정하여 합산배제되므로 종부세 비과세 혜택받지 못하였음

 

- 금번 시행령 개정에 따라 비과세(합산배제) 대상을 ·도 등록문화재확대하여 B서원과 같이 

   보존가치가 있는 지방 문화재 주택에도 종부세 비과세 혜택이 부여됨

 

이번 시행령 개정을 통해 2022년 고지분*부터 상속주택 등 보유자에 대한 종부세 부담상당 폭 경감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 과세기준일(6.1.) 현재 주택·토지 보유분에 대해 11월말 국세청 고지, 12.1.~12.15. 납부

 

또한 1세대 1주택 실수요자보유세 부담 완화를 위해 3월 중 구체적 보완방안발표할 계획입니다.



[ 기획재정부 2022-02-22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477 1세 미만 의료비 경감, 신고포상금 확대 등 의료급여제도의 보장성과 지속가능성 제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2.18 32
6476 2019 여행주간, 미리 국내여행 계획 세우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2.18 20
6475 휴대폰 할부계약의 청약철회 시 유의사항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2.18 143
6474 화물차 고속도로 통행료 심야할인 1년 연장…할인율 확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2.18 58
6473 지방공기업 경영평가 체계 개선, 이제 한 눈에 쉽게 본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2.17 24
6472 공공앱 771개 중 139개 없앤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2.17 15
6471 2018년 11월 소비자상담 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2.17 15
6470 2018년 일 ˙가정 양립지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2.17 29
6469 금융꿀팁 200선 - 연말연시, 연금자산 이렇게 챙겨보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2.17 22
6468 설 명절전 불공정하도급 신고센터 운영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2.17 22
6467 인터넷쇼핑몰의 판촉비용 부담전가 행위 위법성 심사지침 제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2.17 18
6466 국토부, 다임러·만 트럭 3,074대 리콜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2.17 22
6465 국민연금, 기금의 재정안정성 확보 위해 적극적으로 투자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2.14 25
6464 91개 기업 소비자중심경영(CCM) 인증 획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2.14 14
6463 한국의 사회동향 2018 보도자료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2.14 24
Board Pagination Prev 1 ... 484 485 486 487 488 489 490 491 492 493 ... 920 Next
/ 9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