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국토교통부(장관 강호인)는 2015년말 전국 건축 인허가 면적은 전년보다 38.1% 증가한 1억 9,065만 2천㎡, 동수는 12.3% 증가한 26만 5,651동이라고 밝혔다.

착공 면적은 38.3% 증가한 1억 5,374만 3천㎡, 동수는 13.8% 증가한 22만 6,652동이며, 준공 면적은 7.3% 감소한 1억 2,148만 1천㎡, 동수는 2.2% 증가한 20만 3,394동이다.

‘15년도 4분기만을 살펴보면 면적기준으로 전년 동기 대비 건축 허가(44.7%), 착공(43.4%)은 증가하였고 준공(-2.6%)은 감소하였다.

‘15년 건축 허가, 착공 및 준공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년대비 주거용 건축물의 건축 허가(47.9%), 착공(50.3%) 및 준공(0.5%) 면적이 모두 증가하였다.

주거유형별로 허가면적은 아파트(58.1%), 다세대주택(49.8%), 단독주택(20.5%), 다가구주택(11.9%) 모두에서 증가했다.

둘째, 전년대비 상업용 건축물의 건축 허가(44.5%), 착공(48.9%) 및 준공(13.3%) 면적이 증가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건축 허가의 경우 제1종근린생활시설(28.8%), 제2종근린생활시설(19.5%), 업무시설(81.1%), 판매시설(7.2%) 모두에서 증가했다.

셋째, 30층 이상 고층건축물의 허가면적(83.9%)이 증가했다.

지역별로 보면, 수도권은 경기도(168.3%), 지방은 전라북도(384.5%) 및 경상북도(163.7%)의 허가면적 증가가 두드러졌다.

넷째, 전년 동기 대비 아파트의 허가(58.1%) 및 착공(64.7%) 면적이 수도권(허가 96.9%, 착공 172.0%)을 중심으로 증가하였다.

지역별로 보면 수도권의 경우 인천광역시(255.3%), 경기도(106.2%), 지방의 경우 부산광역시(201.3%), 전라북도(158.7%), 충청북도(151.7%)의 허가면적 증가가 두드려졌다.

주요 건축물(아파트)의 허가사항을 보면, 수도권은 인천시 서구 가정지구 시티프라디움 아파트(19동, 186천㎡), 파주시 운정지구 힐스테이트아파트(25동, 407천㎡) 등이며, 지방은 부산시 서구 이진베이시티(5동, 309천㎡), 전북 전주시 서신동 감나무골 주택재개발정비사업(28동, 204천㎡) 등이다.

그 외, 규모별, 소유주체별 변동 및 멸실 현황을 살펴보면 규모별 건축 허가는 연면적 100㎡(30.3평) 미만 건축물이 전체의 44.8%인 11만 9,027동, 100~200㎡ 건축물이 4만 7,803동(18.0%), 300~500㎡ 건축물이 3만 5,633동(13.4%) 순이고, 착공은 100㎡ 미만 건축물이 전체의 44.8%인 10만 1,553동, 100~200㎡ 건축물이 3만 8,933동(17.2%), 300~500㎡ 건축물이 3만 2,169동(14.2%) 순이며, 준공은 100㎡ 미만 건축물이 전체의 40.7%인 8만 2,803동, 100~200㎡ 건축물이 3만 7,797동(18.6%), 300~500㎡ 건축물이 3만 1,590동(15.5%) 순이다.

소유주체별로 보면, 건축 허가 면적은 개인이 전체의 26.8%인 5,101만 8천㎡, 법인이 9,557만 1천㎡(50.1%), 공공이 1,246만 8천㎡(6.5%)이고, 착공 면적은 개인이 전체의 27.8%인 4,269만 6천㎡, 법인이 9,005만 3천㎡(58.6%), 공공이 752만 7천㎡(4.9%)이며, 준공 면적은 개인이 전체의 32.0%인 3,888만 4천㎡, 법인이 5,843만 3천㎡(48.1%), 공공이 1,024만 4천㎡(8.4%)이다.

멸실현황을 용도별로 보면 주거용, 상업용, 공업용, 문교사회용이 각각 645만 7천㎡(52,367동), 345만㎡(11,373동), 112만 6천㎡(1,582동), 45만 4천㎡(746동) 멸실되었다.

주거용은 단독주택이 주거용 전체의 62.4%인 403만 1천㎡(45,096동), 아파트가 66만 9천㎡(271동), 다세대주택이 39만 3천㎡(1,654동)이며, 상업용은 제2종근린생활시설이 상업용 전체의 39.7%인 137만㎡(5,298동), 제1종근린생활시설이 124만 2천㎡(4,651동), 업무시설이 20만 3천㎡(118동) 멸실되었다.

※ 통계자료에 대한 세부자료는 건축행정시스템(http://www.eais.go.kr) 및 국토교통부 홈페이지 (http://www.molit.go.kr)를 통해 조회할 수 있으며, 통계자료의 작성기준은 2015.12.31일 백업자료입니다.

< 참고자료> '15년 건축 허가, 착공, 준공 통계(별첨)
 

[국토교통부 2016-03-09]

 

※ 상기에 제시된 허가, 착공 및 준공 통계는 인허가 취소 등의 반영 여부에 따라 기존 보도 자료와는 차이가 발생할 수 있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251 2023년 1월 소비자물가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2.07 13
2250 유명 가전몰 위장사이트, 석달간 소비자 피해액만 7,500만원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2.07 13
2249 1월 22일부터 우회전 신호등이 있으면, ‘녹색화살표’ 신호에만 우회전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1.18 13
2248 프라이팬의 핵심 성능인 코팅 내구성, 제품 간 차이 있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1.17 13
2247 “5인 이상 사업장까지 채용절차법 적용 확대해야” 구직 청년 권익보호 강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1.17 13
2246 가뭄 극복을 위해 ‘먹는 물’을 기부해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1.16 13
2245 [금융꿀팁 200선] 연금수령시 알아두어야 할 사항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1.16 13
2244 시민안전보험 ‘사회재난 사망 특약’ 신설로 사회안전망 강화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1.05 13
2243 물품형 모바일 상품권, 절반 이상이 유효기간 3개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1.05 13
2242 피부 내 주입은 의약품.의료기기만 가능해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1.05 13
2241 코팅 프라이팬에 대해 알아보아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1.05 13
2240 코엔자임Q10 등 원료 9종의 섭취 시 주의사항 추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12.29 13
2239 기초생활보장제도 재산기준이 완화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12.29 13
2238 11월 주택 통계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12.30 13
2237 자동차보험 경상환자 대책 시행(’23.1.1.)에 맞춰, 보상 프로세스를 재정비하였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12.28 13
Board Pagination Prev 1 ... 769 770 771 772 773 774 775 776 777 778 ... 924 Next
/ 9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