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15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갑작스러운 추위에 노출 시 저체온증 등 한랭질환이 발생하기 쉬워 고령층의 경우 실외활동을 자제하고 보온 유지 등 특히 주의해야

◇ 올해는 예년보다 덜 춥지만한랭질환자 지속 발생 중으로 주의 필요


□ 질병관리청(청장 정은경)은 이번 주(2.15~2.18) 동안 기온이 큰 폭으로 떨어지고 바람도 강하게 불면서 체감온도는 더 낮을 것이라는 기상청의 전망에 따라 한랭질환에 각별한 주의를 당부하였다. 


   * 한랭질환은 추위가 직접 원인이 되어 인체에 피해를 줄 수 있는 질환으로 저체온증, 동상, 동창이 대표적임


 ○ 2021-2022절기(’21.12.1.~’22.2.13.) 질병관리청 「한랭질환 응급실감시체계」로 신고된 한랭질환자는 총 267명(사망 9명)으로 전년 동기간(410명, 사망 6명) 대비하여 34.9% 감소하였지만, 감시 기간(’21.12.1.~’22.2.13.) 중 1일 평균 환자수는 3.6명으로 지속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신고된 환자의 특성을 살펴보면 남자(191명, 71.5%), 65세 이상(121명, 45.3%)이 많았고, 한랭질환 종류는 저체온증(205명, 76.8%), 발생 시간은 06-09시(38명, 21.3%), 발생 장소는 실외(216명, 80.9%)에서 높게 나타났다. 특히 저체온증 환자 중 22.4%는 응급실 내원 시 음주 상태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 (한랭질환 신고현황) 질병관리청(www.kdca.go.kr)→정책정보→건강위해→기후변화→한파 


□ 어르신과 어린이는 일반 성인보다 체온 유지에 취약하여 한파 시에는 실외활동을 자제하고 보온에 신경 써야 하며, 난방이 적절하지 않은 실내에서 지내는 경우 한랭질환 발생에 특히 주의해야 한다.


 ○ 만성질환자(심뇌혈관, 당뇨병, 고혈압 등)는 급격한 온도 변화에 혈압이 급격히 상승하는 등 증상이 악화되어 위험할 수 있으므로 한파 시 갑작스러운 추위 노출과 무리한 신체활동을 피해야 한다. 


 ○ 또한, 술을 마시면 신체에 열이 올랐다가 체온이 급격히 떨어지고 추위를 인지하지 못해 위험할 수 있으므로 한파 시에는 과음을 피하고 절주해야 한다.


□ 질병관리청 정은경 청장은 “갑작스러운 추위에 신체 적응력이 떨어지면서 한랭질환에 특히 취약할 수 있어 한파 시에는 실외활동을 자제하고 보온에 대한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고 당부하며, 한파 대비 건강수칙을 잘 지켜줄 것”을 거듭 강조하였다. 



< 한파 대비 건강수칙 


 생활 습관

가벼운 실내운동적절한 수분섭취와 고른 영양분을 가진 식사를 합니다.

▶ 실내 환경

실내는 적정온도를 유지하고 건조해지지 않도록 합니다.

 외출 전

날씨정보(체감온도 등)를 확인하고 추운 날씨에는 가급적 야외활동을 줄입니다.

▶ 외출 시

내복이나 얇은 옷을 겹쳐 입고장갑·목도리·모자·마스크로 따뜻하게 입습니다.




 한파 관련 특히 주의가 필요한 경우 


 어르신과 어린이

일반 성인에 비해 체온을 유지하는 기능이 약하므로 한파 시 실외활동을 자제하고 평상시와 외출 시에 보온에 신경쓰세요.

 만성질환자(심뇌혈관질환당뇨병고혈압 등)

급격한 온도 변화에 혈압이 상승하고 증상이 악화되어 위험할 수 있으므로 추위에 갑자기 노출되지 않게 주의하고

 무리한 신체활동을 피하세요.

 음주

술을 마시면 신체에 열이 올랐다가 체온이 급격히 떨어지지만 추위를 인지하지 못하여 위험할 수 있으므로 한파에는

 과음을 피하고 절주하세요.

 낙상(노인영유아퇴행성관절염과 같은 만성질환자)

빙판길경사지거나 불규칙한 지면계단을 피해 가급적 평지나 승강기를 이용하고장갑을 착용하여 주머니에서 

  손을 빼고 활동합니다.




[ 질병관리청 2022-02-15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573 제품 일부 탈락으로 질식 위험 있는 Disney 토이스토리 인형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3 2020.11.23
3572 제품 사용 중 감전 위험있는 Bituxx 팬히터 판매 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0 2023.04.10
3571 제품 불량으로 파열 위험 있는 다이빙 호흡기 판매 중단 조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0 2022.05.04
3570 제품 구조상 흡입력으로 인해 질식 위험 있는 버섯 모양 치발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2 2022.12.09
3569 제품 구조상 기도 막아 질식 위험 있는 버섯 모양 영유아 치발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7 2022.10.18
3568 제품 결함으로 감전 위험 있는 Yadu 공기청정기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5 2020.10.05
3567 제품 결함으로 감전 위험 있는 Liitokala 건전지 충전기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1 2020.10.05
3566 제품 결함으로 감전 위험 있는 Depilatory Roll on Wax Heater전기 제모기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5 2020.10.05
3565 제품 개폐 시 화상 위험 있는 PowerXL 와플메이커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1 2023.09.07
3564 제주지역 항공여객운송서비스 관련 소비자 불만 급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9 2017.09.27
3563 제주지역 항공여객운송서비스 관련 소비자 불만 급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88 2017.10.20
3562 제주 한달살기 숙박 소비자피해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93 2018.12.26
3561 제조일자 변조한 수입 냉동가오리날개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3 2019.04.26
3560 제조결함으로 인한 화재 우려로 리콜된 Kemey 헤어드라이어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9 2023.07.12
3559 제조결함 및 누출 등으로 인해 변질 우려가 있는 Wang 떡볶이 떡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7 2024.01.04
3558 제조 품질이 불량한 CAO MM 배터리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0 2024.04.03
3557 제조 불량으로 부품 손상 가능성 있는 ASUS 메인보드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9 2022.04.04
3556 제조 결함으로 화재나 감전 위험 있는 Diago 전원공급장치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4 2018.05.17
3555 제조 결함으로 화재 위험 있는 Vornado 히터 판매 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2 2023.05.25
3554 제이엠몰 / JM MALL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8 2023.05.23
Board Pagination Prev 1 ...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