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15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갑작스러운 추위에 노출 시 저체온증 등 한랭질환이 발생하기 쉬워 고령층의 경우 실외활동을 자제하고 보온 유지 등 특히 주의해야

◇ 올해는 예년보다 덜 춥지만한랭질환자 지속 발생 중으로 주의 필요


□ 질병관리청(청장 정은경)은 이번 주(2.15~2.18) 동안 기온이 큰 폭으로 떨어지고 바람도 강하게 불면서 체감온도는 더 낮을 것이라는 기상청의 전망에 따라 한랭질환에 각별한 주의를 당부하였다. 


   * 한랭질환은 추위가 직접 원인이 되어 인체에 피해를 줄 수 있는 질환으로 저체온증, 동상, 동창이 대표적임


 ○ 2021-2022절기(’21.12.1.~’22.2.13.) 질병관리청 「한랭질환 응급실감시체계」로 신고된 한랭질환자는 총 267명(사망 9명)으로 전년 동기간(410명, 사망 6명) 대비하여 34.9% 감소하였지만, 감시 기간(’21.12.1.~’22.2.13.) 중 1일 평균 환자수는 3.6명으로 지속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신고된 환자의 특성을 살펴보면 남자(191명, 71.5%), 65세 이상(121명, 45.3%)이 많았고, 한랭질환 종류는 저체온증(205명, 76.8%), 발생 시간은 06-09시(38명, 21.3%), 발생 장소는 실외(216명, 80.9%)에서 높게 나타났다. 특히 저체온증 환자 중 22.4%는 응급실 내원 시 음주 상태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 (한랭질환 신고현황) 질병관리청(www.kdca.go.kr)→정책정보→건강위해→기후변화→한파 


□ 어르신과 어린이는 일반 성인보다 체온 유지에 취약하여 한파 시에는 실외활동을 자제하고 보온에 신경 써야 하며, 난방이 적절하지 않은 실내에서 지내는 경우 한랭질환 발생에 특히 주의해야 한다.


 ○ 만성질환자(심뇌혈관, 당뇨병, 고혈압 등)는 급격한 온도 변화에 혈압이 급격히 상승하는 등 증상이 악화되어 위험할 수 있으므로 한파 시 갑작스러운 추위 노출과 무리한 신체활동을 피해야 한다. 


 ○ 또한, 술을 마시면 신체에 열이 올랐다가 체온이 급격히 떨어지고 추위를 인지하지 못해 위험할 수 있으므로 한파 시에는 과음을 피하고 절주해야 한다.


□ 질병관리청 정은경 청장은 “갑작스러운 추위에 신체 적응력이 떨어지면서 한랭질환에 특히 취약할 수 있어 한파 시에는 실외활동을 자제하고 보온에 대한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고 당부하며, 한파 대비 건강수칙을 잘 지켜줄 것”을 거듭 강조하였다. 



< 한파 대비 건강수칙 


 생활 습관

가벼운 실내운동적절한 수분섭취와 고른 영양분을 가진 식사를 합니다.

▶ 실내 환경

실내는 적정온도를 유지하고 건조해지지 않도록 합니다.

 외출 전

날씨정보(체감온도 등)를 확인하고 추운 날씨에는 가급적 야외활동을 줄입니다.

▶ 외출 시

내복이나 얇은 옷을 겹쳐 입고장갑·목도리·모자·마스크로 따뜻하게 입습니다.




 한파 관련 특히 주의가 필요한 경우 


 어르신과 어린이

일반 성인에 비해 체온을 유지하는 기능이 약하므로 한파 시 실외활동을 자제하고 평상시와 외출 시에 보온에 신경쓰세요.

 만성질환자(심뇌혈관질환당뇨병고혈압 등)

급격한 온도 변화에 혈압이 상승하고 증상이 악화되어 위험할 수 있으므로 추위에 갑자기 노출되지 않게 주의하고

 무리한 신체활동을 피하세요.

 음주

술을 마시면 신체에 열이 올랐다가 체온이 급격히 떨어지지만 추위를 인지하지 못하여 위험할 수 있으므로 한파에는

 과음을 피하고 절주하세요.

 낙상(노인영유아퇴행성관절염과 같은 만성질환자)

빙판길경사지거나 불규칙한 지면계단을 피해 가급적 평지나 승강기를 이용하고장갑을 착용하여 주머니에서 

  손을 빼고 활동합니다.




[ 질병관리청 2022-02-15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239 살모넬라균감염증 환자 신고 증가, 예방 수칙 준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0 2021.08.12
2238 중고생 노리는 불법 스팸문자 전송 아르바이트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4 2021.08.12
2237 유사투자자문서비스 소비자피해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2 2021.08.11
2236 폭염 지속에 따른 온열질환 발생 증가세, 건강수칙 준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4 2021.08.09
2235 식약처, 살모넬라 식중독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4 2021.08.09
2234 재난지원금 및 소상공인 정책자금 등 정부의 자금지원을 빙자한 대출사기 문자 소비자경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9 2021.08.06
2233 ALL MART (LGMART24)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4 2021.08.06
2232 아나필락시스 쇼크 보장보험 관련 소비자 유의사항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7 2021.08.03
2231 짜장·비빔라면, 포화지방과 나트륨 높아 과잉섭취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8 2021.08.03
2230 차량용 블랙박스 보조배터리 2개 제품 리콜명령(8/2 조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8 2021.08.02
2229 2021.2분기 자본시장 불공정거래 주요 제재 사례 및 투자자 유의사항을 알려드립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1 2021.08.02
2228 아플라톡신 기준 초과한 한식된장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7 2021.08.02
2227 합성수지제로 코팅된 일부 아령에서 유해물질 검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7 2021.07.29
2226 무등록 제조한 기타농산가공품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7 2021.07.29
2225 납 기준 초과한 수입 건강기능식품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0 2021.07.29
2224 2030 대상 취업 미끼 비대면 대출 사기,“소비자경보”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8 2021.07.29
2223 전지함 고정이 미흡해 삽입된 단추형 전지로 인한 질식 위험 있는 어린이 손목시계 판매차단(2)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7 2021.07.28
2222 제품 캔 내부 페인트 섭취 가능성 있는 ADRIA 소스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6 2021.07.28
2221 안전 표시사항이 미흡한 pepi 말 관리용품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2 2021.07.28
2220 다른 색상의 제품이 혼입된 hoyu 뷰틴 오렌지색 염모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2 2021.07.28
Board Pagination Prev 1 ...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