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공동주택 등 사유지 주차갈등 해법 관련 국민권익위원회의 국민생각함 설문조사에서 응답자 중 98% 사유지 불법주차 단속이 필요하다.”라고 응답했다.

 

국민권익위원회(위원장 전현희, 이하 국민권익위)는 지난달 18일부터 이번 달 3일까지 국민 정책참여 플랫폼인 국민생각함에서 공동주택 등 사유지 주차갈등 해법 관련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공개했다.

 

 국민신문고에 접수된 불법 주정차 민원건수는 지난 2016년 처음 100만 건을 넘어선 이후 2020년 한 해 동안 314만 건에 이르렀다.

 

특히 어린이보호구역 등 주정차 금지구역이 해마다 증가하면서 단속을 피하려는 차량들이 사유지 공동주택 주차장이나 주택가 이면도로, 골목길 등을 점령하면서 주차갈등이 증폭됐다.

최근 4년간 사유지 주차갈등 민원은 7 6천여 건으로 대다수 국민은 날마다 주차난에 지쳐가고 심한 경우 차량파손·폭행 등으로까지 번지고 있다.

 

 국민권익위는 국민들이 지속적으로 사유지 주차갈등 문제를 호소해 왔으나 그간 만족할 만한 조치가 없었던 만큼 이번 사유지 불법주차 개선방안 마련에 국민이 직접 참여할 수 있도록 했다.

 

설문조사 결과,  2,025명이 설문에 응답했는데 사유지 불법주차 행정력 집행근거 필요성에 대해서는 아파트, 연립다세대주택 등 공동주택 주차장에서의 불법주차 단속근거 필요하다라는 의견이 98.0%로 가장 많았다.

 

이어 상가건물 입구 등의 불법주차 단속근거 필요하다 93.5% 노면표시 없는 이면도로 등에서의 불법주차불법적치물 단속근거 필요하다 91.5%로 나타났다.

 

주차난 해소를 위한 근본적 대책방안에 대해서는 지역주민이 지방자치단체의 장에게 인근 공공시설물 및 민간건축물 부설주차장 개방지정을 요청할 수 있는 근거가 필요하다라는 의견이 94.7% 가장 많았다.

 

이어공동주택 신규공급 시 주거면적 외 선택사항으로 주차장면적 별도 공급이 필요하다 94.5% 공동주택 법정주차대수를 전용면적기준과 상관없이 세대당 1대 이상으로 강화할 필요가 있다 92.6% ”‘차고지증명제 가구당 2대 이상 신규차량 구매 시 부터 도입하되, 세입자 등 서민 생계용 차량구매 시에는 지방자치단체의 장에게 개방형 차고지 등을 지정요청할 수 있는 근거가 필요하다 91.9%로 나타났다.

 

 국민권익위 전현희 위원장은 최근 사유지 내 주차갈등 관련 민원이 급증하고 있는 만큼 이번 설문조사의 국민 의견이 정책이나 제도개선에 반영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 국민권익위원회 2022-02-16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206 연금저축계좌를 통해 수수료가 낮고 장기투자에 적합한 ETF 투자가 가능해집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1.20 44
6205 선불식 할부계약의 해약환급금 산정기준 고시개정안 행정예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1.23 44
6204 자동차 부품업체 등의 자동차 대물배상 보험금 편취 혐의 대거 적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2.07 44
6203 담배처럼 피우는 비타민 흡입제,‘청소년 유해물건’ 지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2.07 44
6202 우리나라 20~30대 고위험 음주와 폭탄주 즐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2.21 44
6201 소비자분쟁해결기준 개정안 행정예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1.03 44
6200 “출퇴근재해, 산재인정 첫 사례 나왔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1.10 44
6199 제2 여객터미널 수속·보안검색 빨라진다…스마트 첨단기기 도입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1.15 44
6198 수입와인, 선택다양성 확대되었으나 가격 만족도 낮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2.19 44
6197 생활과 밀접한 주민등록 인감 제도혁신으로 더 나은 주민의 삶을 만들어갑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3.06 44
6196 공영주차장 68곳 조성에 651억 투입…주차난 해소 총력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3.08 44
6195 식품 알레르기 유발물질 표시제도 개선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3.15 44
6194 어린이 정서 저해 ‘담배모양 사탕’ 유통.판매업체 적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3.16 44
6193 식약처, 자궁근종환자 치료에 사용하는‘울리프리스탈’제제 복용 시 간기능 검사 실시 조치 안전성 서한 배포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3.23 44
6192 병원마다 제각각, 2018년 비급여 진료비용 공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4.02 44
Board Pagination Prev 1 ... 504 505 506 507 508 509 510 511 512 513 ... 922 Next
/ 922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