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흡연 기간이 길수록 심뇌혈관질환폐암 발생 위해가 증가

○ 20대는 심뇌혈관질환30대 이상에서는 폐암 발생 위해가 급격히 증가

○ 폐암 발생 위해는 60대 이후가 20대보다 60배 이상 높음

◇ 흡연기간이 짧을수록 암에 걸릴 위해가 낮아지므로 하루라도 빨리 금연!


□ 질병관리청(청장 정은경)은 ’21년 흡연 기인 질병 발생 위해도 모델 개발에 따른 우리나라 흡연자의 폐암, 심뇌혈관질환 발생 위해 분석 결과를 발표하였다.


 ○ 이번 연구*는 한국인의 흡연 습성과 흡연 노출 생체지표** 측정 결과를 통한 위해 평가 모델을 구축하여 흡연자의 폐암, 심뇌혈관 질환 발생과의 상관성 분석을 실시한 자료이다. 


   * (연구용역) 생체지표 및 흡연습성 기반의 흡연 위해성 평가 연구(’19-’21, 연세대학교)


   ** 흡연노출 생체지표 중 니코틴대사물질인 코티닌, OH-코티닌사용(용어설명 붙임 참조)


 ○ 분석 결과, 흡연기간이 상대적으로 짧은 20대에서는 심뇌혈관 질환의 발생 위해가 더 크게 나타나며, 30대 이상부터는 폐암 발생 위해가 급격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그림 1, 2),



<그림 1. 소변 중 흡연 노출 생체지표 농도 기반 흡연자의 연령군에 따른 질병 발생 위해도 비교 붙임 참고>



   - 특히, 흡연 누적량이 많은 60대 이후에는 폐암 발생률(68%)이 20대(1%)에 비해 60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그림 2).


    * 폐암 발생 확률, 20대 흡연자 100명 중 1명, 60대 이상 흡연자 100명 중 68명



<그림 2. 흡연자의 연령군에 따른 폐암 발생 위해도 비교 붙임 참고>



<그림 3. 흡연자의 연령군에 따른 심뇌혈관질환 발생 위해도 비교 붙임 참고>



 ○ 또한, 흡연 습성을 반영한 흡연 기간에 따른 발암 위험률 비교 결과, 흡연 기간이 짧을수록 암에 걸릴 위험이 낮아지므로 하루라도 빨리 금연하는 것이 좋다(그림 4).



<그림 4. 한국인의 흡연습성을 반영한 흡연 기간별 발암 위험률 붙임 참고>



 ※ 동 연구결과는 정책연구관리시스템(www.prism.go.kr)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내려받기도 가능함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질병관리청 2022-02-14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940 금융감독원 사칭, 유령 팝업창 주의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21 139
4939 금융감독원 '금융상품 한눈에'에서 금융상품을 보다 쉽고 빠르게 비교.검색해보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1.11 7
4938 금융감독 디지털 전환(DT)의 일환으로 「모바일 전자등기우편 시스템」을 구축하여 금년 12월부터 서비스 제공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8.07 19
4937 금융 민원-분쟁처리 개혁방안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17 77
4936 금융 관련 불공정약관 시정요청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1.21 43
4935 금연하면 우대금리 주는“금연적금”출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2.18 39
4934 금연치료에 대한 부담을 확 낮춰 드리겠습니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07 77
4933 금연지도원 충원 쉬워진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3.10 8
4932 금연보조제는 허가받은 '의약외품'을 사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2.11 10
4931 금연보조제, 정확히 알고 금연에 성공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5.28 19
4930 금연구역 내 흡연행위 집중 단속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9.16 15
4929 금연교육·금연치료 받으면 흡연 과태료 감면받는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5.26 37
4928 금연교육·금연지원서비스 받으면 흡연 과태료 감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4.02 19
4927 금연, 절주, 걷기 3가지 건강생활 모두 실천하는 성인 증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5.18 100
4926 금연! 다양한 국가금연지원서비스로 도와드려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2.20 27
Board Pagination Prev 1 ... 592 593 594 595 596 597 598 599 600 601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