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흡연 기간이 길수록 심뇌혈관질환폐암 발생 위해가 증가

○ 20대는 심뇌혈관질환30대 이상에서는 폐암 발생 위해가 급격히 증가

○ 폐암 발생 위해는 60대 이후가 20대보다 60배 이상 높음

◇ 흡연기간이 짧을수록 암에 걸릴 위해가 낮아지므로 하루라도 빨리 금연!


□ 질병관리청(청장 정은경)은 ’21년 흡연 기인 질병 발생 위해도 모델 개발에 따른 우리나라 흡연자의 폐암, 심뇌혈관질환 발생 위해 분석 결과를 발표하였다.


 ○ 이번 연구*는 한국인의 흡연 습성과 흡연 노출 생체지표** 측정 결과를 통한 위해 평가 모델을 구축하여 흡연자의 폐암, 심뇌혈관 질환 발생과의 상관성 분석을 실시한 자료이다. 


   * (연구용역) 생체지표 및 흡연습성 기반의 흡연 위해성 평가 연구(’19-’21, 연세대학교)


   ** 흡연노출 생체지표 중 니코틴대사물질인 코티닌, OH-코티닌사용(용어설명 붙임 참조)


 ○ 분석 결과, 흡연기간이 상대적으로 짧은 20대에서는 심뇌혈관 질환의 발생 위해가 더 크게 나타나며, 30대 이상부터는 폐암 발생 위해가 급격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그림 1, 2),



<그림 1. 소변 중 흡연 노출 생체지표 농도 기반 흡연자의 연령군에 따른 질병 발생 위해도 비교 붙임 참고>



   - 특히, 흡연 누적량이 많은 60대 이후에는 폐암 발생률(68%)이 20대(1%)에 비해 60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그림 2).


    * 폐암 발생 확률, 20대 흡연자 100명 중 1명, 60대 이상 흡연자 100명 중 68명



<그림 2. 흡연자의 연령군에 따른 폐암 발생 위해도 비교 붙임 참고>



<그림 3. 흡연자의 연령군에 따른 심뇌혈관질환 발생 위해도 비교 붙임 참고>



 ○ 또한, 흡연 습성을 반영한 흡연 기간에 따른 발암 위험률 비교 결과, 흡연 기간이 짧을수록 암에 걸릴 위험이 낮아지므로 하루라도 빨리 금연하는 것이 좋다(그림 4).



<그림 4. 한국인의 흡연습성을 반영한 흡연 기간별 발암 위험률 붙임 참고>



 ※ 동 연구결과는 정책연구관리시스템(www.prism.go.kr)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내려받기도 가능함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질병관리청 2022-02-14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955 해외 직구 레이저제모기, 의료기기로 검증된 제품 없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7.09 17
4954 7월 부가가치세 신고는 세무서 방문 없이 홈택스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7.09 17
4953 식약처, 비말차단용 마스크 전수 조사 결과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7.09 33
4952 온라인 부동산광고 자율규약 개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7.10 12
4951 2020년 6월, 전월 대비 ‘선풍기’, ‘아파트’ 소비자상담 증가율 높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7.10 43
4950 베트남 디프테리아 유행에 따른 예방접종 등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7.10 11
4949 가습기살균제 피해 11명 추가 인정…총 930명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7.10 13
4948 일용직 건설근로자도 은행에서 "전세자금대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7.13 16
4947 소비자의 70%가 용도·체중에 맞지 않는 구명복을 구입해 사고위험 높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7.14 18
4946 지역경제 회복을 지원하기 위해 지방계약제도가 이렇게 달라졌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7.14 22
4945 알짜기업 채용정보, 워크넷에서 한눈에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7.15 60
4944 2019년도 다단계판매업자 주요정보 공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7.15 14
4943 THC 기준 초과한 수입 대마씨유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7.15 11
4942 인체에 사용할 수 없는 살균소독제를 손소독제 등으로 거짓.과장 광고한 업체 130곳 적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7.15 11
4941 2020년 6월 고용동향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7.15 12
Board Pagination Prev 1 ... 591 592 593 594 595 596 597 598 599 600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