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20년 한국 궐련 흡연자는 국제표준에 비해 더 자주더 많이더 빠르게” 흡입하여 한 개비당 총 담배 연기흡입량이 3배 이상 많음

* (흡입횟수) 1320.4, (1회 흡입량) 3573.0 mL, (흡입속도) 17.548.2 mL/

◇ ’20년 한국 궐련 흡연자의 흡연행태는 ’16년에 비해 한 개비당 총 담배 연기흡입량 48% 증가

◇ 궐련 흡연자의 흡연시간 및 횟수는 설문조사 응답보다 실제 흡연 시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남

설문/실험결과 : 1개비당 (흡연시간) 133/37, (흡입횟수) 15.6/20.4


□ 질병관리청(청장 정은경)은 ’20년 한국인 궐련 담배 흡연 습성 및 행태를 조사한 결과*, 한국 궐련 흡연자는 한 개비당 총 담배 연기흡입량이 국제표준**에 비해 3배 이상(455→1,441 mL) 많다고 밝혔다.


   * (연구용역) 생체지표 및 흡연습성 기반의 흡연 위해성 평가 연구(’19-’21, 연세대학교)


  ** 담뱃갑에 표기되는 타르, 니코틴 함량을 측정하는 국제 표준 담배시험조건  : ISO 3308(흡연 장비를 사용한 일상적 담배 분석-정의, 표준 조건)


 ○ 또한 한 개비당 흡입 횟수가 1.6배 이상, 1회 흡입량은 2.1배 이상 많고, 흡입속도는 2.8배 이상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붙임 1, 붙임 3).


   * (흡입횟수) 13→20.4회, (1회 흡입량) 35→73.0 mL, (흡입속도) 17.5→48.2 mL/초


 ○ 2016년 실시한 연구*와 비교한 결과, 한 개비당 총 흡입 횟수(16→20회, 28%↑), 1회 평균 흡입량(61→73 mL, 20%↑) 및 1회 평균 흡입속도(40→48 mL/초, 19%↑)가 증가하여 한 개비당 총 담배 연기흡입량(970→1,441 mL)이 48% 증가하였다(붙임 3).


   * (연구용역) 한국인 흡연자의 흡연 습성(topography) 연구(’15-’16, 순천향대학교)


□ 또한, 흡연행태 설문조사를 통해 흡연자의 실제 흡연 습성과 비교·분석한 결과, 니코틴 의존도와 실제 흡연 개비 및 횟수가 양의 상관성을 나타내었고(그림 1),



<그림 1. 흡연행태 설문 조사(니코틴 의존도) 및 흡연습성 측정 장비 결과 상관성 분석 붙임 참고>



※ 니코틴 의존도 설문문항(Fagerstrom test for nicotine dependence)을 활용하여 조사, 1∼2점: 저 의존도, 3∼4점: 저 중 의존도, 5∼7점: 중 의존도, 8점 이상: 고 의존도


 ○ 60-69세 흡연자는 20-39세 흡연자에 비해 한 개비당 총 흡연 시간이 평균 46초 길고, 일일 총 흡입 횟수가 56회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그림 2).


   * 흡연 습성과 성별, 거주지역, 흡연 상황(기상 후, 식사 후, 취침 전, 음주 중), 흡연 시간대(아침, 대낮, 저녁, 한밤중) 사이의 유의적 차이는 없었음



<그림 2. 연령대에 따른 흡연습성 차이 붙임 참고>



 ○ 한편, 흡연자들의 실제 측정된 개비당 평균 흡입 횟수(약 20회)와 흡연 시간(약 2분 이상)이 설문 응답보다 높게 나타나 흡연자가 인지하는 것보다 실제 흡연 시 더 오랜 시간 담배에 노출되고 있음을 의미한다(그림 3).


   * 설문/실험결과 : 1개비당 평균 (흡연시간) 1분33초/3분7초, (흡입횟수) 15.6회/20.4회



<그림 3. 흡연행태 설문 조사 및 흡연습성 측정 장비 결과 비교 붙임 참고>



□ 질병관리청 정은경 청장은 “우리나라 궐련 흡연자의 습성 파악 결과, 담배 유해물질에 더 많이 노출되는 경향이 있어, 질병 발생 등 흡연 폐해를 높일 우려가 있다”고 밝히며,


 ○ “주기적으로 한국인 흡연 습성 측정을 통해 행태변화 및 건강 영향 여부를 지속 파악할 예정이다.”라고 덧붙였다.




[ 질병관리청 2022-02-08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935 정부, 7월 가뭄 예·경보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7.10 39
6934 산모패드, 의약외품으로 지정.관리 추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7.08 39
6933 8월부터 뇌혈관질환 관련 14개 항목 건강보험 기준 확대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6.12 39
6932 다소비 간편식품, 유통업태 간 최대 49.1% 가격 차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5.29 39
6931 중소기업·소상공인 ‘맞춤형 정책자금’ 상담·신청 가능한 온·오프라인 통합창구 마련돼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5.29 39
6930 2019년 4월 ‘공연관람‘, ‘숙박시설‘ 소비자불만 증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5.13 39
6929 현대드림라이프상조(주), 클로버상조(주)의 할부거래법 위반행위 제재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19 39
6928 기초연금, 저소득 어르신께 4월부터 월 최대 30만 원 지급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1.02 39
6927 공항 귀빈실 ‘특혜사용’ 사라진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2.19 39
6926 2019년부터 국가암검진 6종(폐암 추가)으로 확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2.19 39
6925 미혼모·부와 자녀 건강관리 지원을 위한 법적 근거 마련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2.03 39
6924 응급실, 중환자실 관련 기준비급여 건강 보험 적용 확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1.22 39
6923 전자정부가 준수해야 할 인공지능 윤리기준 마련한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1.13 39
6922 커피.생과일주스 전문점 일제 위생 점검 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9.27 39
6921 다소비 가공식품 2018년 8월 가격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9.14 39
Board Pagination Prev 1 ... 459 460 461 462 463 464 465 466 467 468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