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소비자 피해가 자주 일어나는 해외 인터넷 쇼핑몰이 공개된다. 공연장, 어린이집 등 다중이용시설과 피

부미용, 레저 등 서비스 분야에 대한 안전 실태조사 결과도 소비자들에게 제공한다.

 

공정거래위원회는 3차 소비자정책 기본계획(이하 제3차 기본계획)’의 시행계획을 확정 · 발표했다.

 

소비자정책 기본계획은 3년 단위의 중기적 계획으로, 소비자 시책에 참여하는 모든 중앙행정기관, 17

광역자치단체, 한국소비자원 · 소비자단체 등의 정책 과제가 포함되어 있다.

 

이번에 수립된 제3차 기본계획은 정보제공 강화, 시장 안전망 확충, 피해구제 활성화 등을 통해 소비자

가 시장의 주인으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도록 역량을 강화하는 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특히 소비자가 함께 만드는 더 나은이란 목표를 두고 창조경제 시대에 걸맞는 소비자 역량 지원 강화

안심하고 신뢰할 수 있는 시장 환경의 확대 소비자 정책의 글로컬(Global+Local) 민관 협력체계 구축

3가지 핵심 전략, 24가지 세부과제를 마련했다.

 

<소비자 정보제공 활성화 · 빅데이터 활용 촉진>

 

신상품, 이동통신 · 금융 · 여행 등 서비스 분야의 소비자 비교정보 제공을 활성화하고, 관련 시장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공정위, 소비자원)할 계획이다.

 

교복 학교 주관 구매 방식강화(교육부), 국내외 스포츠 용품의 성능, 가격 · 품질 비교 등의 컨슈머리포

트 발간(문화부), 농촌관광 등급평가 확대 실시(농식품부) 등 교육 · 문화 · 관광서비스의 소비자 정보 제

공 체계를 개선할 계획이다.

 

이 밖에도 소비자원에 접수된 상담정보, 위해정보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등 소비자 관련 빅데이터

생산 · 활용도 지원할 계획이다.

 

<맞춤형 소비자 교육 · 복지 지원 확대>

 

생애주기별 소비자문제에 따른 교육콘텐츠를 개발 · 보급하고, 대상별 소비자교육을 활성화(소비자원)

할 예정이다.

 

문화 · 여행 · 스포츠 관람 등 3개 분야 이용권을 통합한 문화누리카드를 도입(문화부) 하고, 스마트컨

슈머에 제공 중인 가격정보 이외에 공공요금, 의료비, 학원비 등을 추가로 제공(공정위, 소비자원)할 계

획이다.

 

<시장의 소비자 안전망 강화 및 안전 소비문화 확산>

 

다중이용시설 · 서비스 분야에 대한 안전 실태조사를 실시하여 소비자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안전기준

제정 등 제도 개선을 추진(공정위, 소비자원)할 계획이다.

 

아울러 농축산 식품에 대한 안전성 검사 강화(농식품부), 정부부처와 전문가소비자단체 등이 참여하는

위해소통민관협의회운영(식약처), 화장품 제조판매업체 등의 표시광고 모니터링 등 감시도 지속적

으로 실시(식약처)할 계획이다.

 

한국소비자원의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과 여타 국가기관의 위해정보시스템을 연계하여 위해정보

공유를 활성화(공정위, 소비자원)하고, 리콜알리미서비스에 대한 홍보를 강화하여 리콜 시정율을 제고

(국토부)할 계획이다.

 

어린이 · 청소년의 안전의식을 함양하고 유사 시 위기 대처능력을 키우기 위해 학교 안전교육을 강화(

육부)할 계획이다.

 

<소비자 피해구제의 접근성 · 전문성 향상>

 

전자상거래, 방문판매 · 다단계판매 분야의 정보 신뢰성을 강화(공정위)하고, 선수금 보전에 대한 관리 ·

감독 강화, 상조업체 간 불법적인 고객 빼오기 등 불법 행위에 대한 대응을 강화하여 건전한 상조시장 질

서를 확립(공정위)할 예정이다.

 

또한 정당한 이유 없이 개인정보 수집 방법 및 절차보다 어렵게 하지 못하도록 개선(행자부) 할 계획이

.

 

소비자 피해구제 종합지원시스템구축, 해외 구매 시 주의할 사항과 해외 구매 관련 사이트에 소비자

만족도 등의 정보도 함께 제공(공정위, 소비자원)할 계획이다.

 

<소비자 정책의 글로컬 민관협력체계 구축>

 

소비자정책위원회 산하 전문위원회를 통해 안전 · 교육분야 합동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종합대책을 마련

하는 등 유기적인 협업 체계를 구축하고, 제도 개선을 추진(공정위)할 계획이다.

 

소비자권익증진기금 설립을 통해 소비자단체의 소비자 역량 강화 사업을 위한 안정적인 재원을 확보(

정위)할 계획이다.

 

이 밖에도 지역의 특성에 맞는 소비자 행정을 추진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 지역별로 유관기관이 참

여하는 지역소비자권익증진협의회를 구성(공정위)할 계획이다.

 

이번에 수립한 기본계획의 추진이 완료되는 3년 후에는 소비자가 만드는 더 나은 시장이라는 비전이

현실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공정거래위원회 2015-01-08]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151 사업장 보험료 체납 사실, 근로자에게 모바일로도 알린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5.29 55
7150 자동차리스 소비자 권익보호 강화 추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5.29 58
7149 중고차 성능점검 책임보험 시행…중고차 매매 신뢰도 향상 기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5.29 14
7148 다소비 간편식품, 유통업태 간 최대 49.1% 가격 차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5.29 39
7147 황색포도상구균 검출 '빵류' 제품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5.29 113
7146 전자레인지로 음식 데울 때는 전용 용기에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5.29 15
7145 여름철 음료류 과잉섭취, 비만과 만성질환의 원인이 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5.29 46
7144 장기점포 계약갱신 가이드라인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5.29 33
7143 중소기업·소상공인 ‘맞춤형 정책자금’ 상담·신청 가능한 온·오프라인 통합창구 마련돼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5.29 39
7142 지난해 우리나라 국토 면적 여의도 5배 만큼 넓어져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5.28 37
7141 결핵퇴치를 위한 범정부‘결핵 예방관리 강화대책’추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5.28 56
7140 미용시술·성형수술 선납진료비 환급 불만 많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5.28 53
7139 내가 구입한 홍어, 국내산 참홍어인지 확인할 수 있어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5.28 18
7138 소방시설 불법행위, 누구든지 신고 가능해진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5.28 32
7137 소상공인 부담 완화 위해 지방공공기관 결제수단 확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5.27 50
Board Pagination Prev 1 ... 441 442 443 444 445 446 447 448 449 450 ... 922 Next
/ 922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