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이 자료는 즉시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 위해 CCM 인증 수수료 대폭 경감

- 정부 규제개혁 방안 반영, 중소기업 부담 최소화 -

 

공정거래위원회(위원장 정재찬)한국소비자원(원장 한견표)중소기업에 대한 소비자중심경영(CCM : Consumer Centered Management) 인증 평가수수료를 올해부터 종전의 10% 수준으로 대폭 인하한다.

(종전) 신규평가 200만원, 재평가 150만원 (2016) 신규평가 20만원, 재평가 15만원

소비자중심경영(CCM) 인증제도는 기업의 소비자 지향적 경영문화 확산과 소비자권익 증진 노력을 통한 기업의 경쟁력 강화 및 소비자 후생증대에 기여를 목적으로 기업이 수행하는 모든 활동이 소비자 중심으로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있는지 한국소비자원이 평가하고 공정거래위원회가 인증하는 제도, 현재 161개 기업(대기업 99, 중소기업 62)이 인증을 받았다.

이번 조치로 중소기업의 인증비용 부담이 크게 줄어들게 되고 대기업과의 동반성장을 통한 상생협력 실현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는 중소기업 성장 걸림돌을 제거해 중견기업 성장 기회를 제공하는 정부의 국정과제 중소기업 성장 희망사다리 구축과 지난해 제4차 규제개혁장관회의에서 확정된 인증제도 혁신방안의 인증 개선방향을 적극 반영한 것이다.

CCM 인증을 받은 기업은 소비자중심경영 운영체계 도입을 통해 경쟁력 강화는 물론, 기업 및 제품 인지도 향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특히, 제품 품질이 우수한데도 막연한 소비자의 부정적 인식으로 어려움을 겪는 중소기업에게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1 

또한, CCM 인증이 널리 보급·확산되면 소비자가 안심하고 선택할 수 있는 제품이 늘고 소비자문제 발생시 신속하고 합리적인 해결이 가능할 뿐 아니라 분쟁해결, 시정조치에 소요되는 불필요한 사회적 비용이 절감돼 궁극적으로는 소비자중심의 선순환 시장이 조성될 전망이다.

향후에도 공정거래위원회와 한국소비자원은 CCM 인증 중소기업의 소비자 지향적인 경영시스템을 지원하고 ·중소기업 멘토링, 우수상품 전시회 및 판로 지원 등을 통하여 중소기업의 경쟁력 및 기업소비자 상생문화를 확산할 계획이다.

한편 CCM 신규인증을 원하는 기업은 한국소비자원에서 실시하는 의무 교육을 이수하고 평가절차를 밟으면 된다. 금년도 의무교육은 3회 실시되며, 33~4, 510~11, 75~6일로 예정되어 있다. 인증 절차 등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한국소비자원 홈페이지(www.kca.go.kr)를 참조하면 된다(기업협력팀, 02-3460-3100)

 

[한국소비자원 2016-03-0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150 Trek Bicycle 안장기둥 교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2.11 100
2149 THC 기준 초과한 수입 대마씨유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4.08 14
2148 THC 기준 초과한 수입 대마씨유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7.15 11
2147 SRT 승차권 예매, 자동차 검사 예약민간앱으로 이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6.26 18
2146 SPA 의류 브랜드, 직접 평가해 주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10 125
2145 SOS! 불법사금융 피해, 1332(내선번호 3번)로 신고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5.31 18
2144 SOS! 불법사금융 피해, 1332(→3번)로 적극 신고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5.25 10
2143 SNS 활용 전자상거래 피해, 3년만에 7배 증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2.05 113
2142 SNS 플랫폼 거래, 소액 피해 많고 판매자 정보 확인 어려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1.18 20
2141 SNS 쇼핑몰에서 구입한 의류·신발 소비자피해 주의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4.19 62
2140 SNS 부당광고 모니터링 및 실태조사 결과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2.03 51
2139 SNS 마켓, 환불 거부·기간 축소 등 청약철회 방해행위 많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8.08 14
2138 SNS 내정보 지키는 소소하지만 확실한 행동!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9.17 45
2137 SNS 기반 쇼핑몰 폐업·연락두절 등으로 인한 상품미배송 피해 많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9.11 13
2136 SNS 광고를 통한 유명 브랜드 사칭 해외직구 쇼핑몰 피해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6.02 57
Board Pagination Prev 1 ... 778 779 780 781 782 783 784 785 786 787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