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겨울철 가스보일러 전기 난방기구 사고에 주의하세요!

- 주기적 점검, 올바른 사용으로 사고 예방 -

행정안전부(장관 전해철) 12 접어들며 추운 날씨로 인해 난방 수요 증가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철저한 점검 통한 가스보일러 전기 난방기구(난로․장판) 사고 예방에 각별한 주의를 요청하였다.

최근 5(16 ~ 20, 합계) 발생한 가스보일러 사고는 26건이며, 이로 인해 55 인명피해*(사망 20, 부상 35) 발생하였다.

    * 인명피해 55명 중 일산화탄소 중독 54, 기타 1

최근 5(16~20)간 가스보일러 사고 현황

<가스보일러 사고 현황>

<원인별 사고 현황>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1a4cbf3e.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89pixel, 세로 267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1a4c0002.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90pixel, 세로 280pixel

               [출처한국가스안전공사(가스사고연감)]

  원인별 자세히 살펴보면, 시설미비* 인한 사고가 20(77%)으로 가장 많았고, 그다음은 기타** 4(15%), 제품노후(고장) 2(8%)이다.

    * 배기통 연결부 이탈 및 급·배기통 설치기준 미준수 등

   ** 원인미상(2), 인테리어로 배기불량(1), 증축공사에 의한 배기통 실내노출(1)

 

 또한, 12에는 온도 유지 위한 전기 난방기구(난로․장판) 사용 늘어나며 화재 위험도 높아진다.

  최근 5(16~20) 동안 화재 208,691 발생하였으며,  전기난로 전기장판으로 인한 화재 2,447(1.2%) 차지하였다.

   - 특히, 날씨가 추워지는 11월부터 전기 난방기구 화재 건수 증가하기 시작하여 겨울철(11~2) 동안 1,688(69%) 발생하였다.

   

최근 5(16~20, 합계) 동안 화재 발생 현황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58a8599a.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32pixel, 세로 318pixel

[출처소방청, 국가화재정보시스템]

  같은 기간(16~20) 동안 전기 난방기구 화재 인해 307(사망 41, 부상 266) 인명피해 발생하였으며, 특히 작년 경우 인명피해 크게 늘어 각별한 주의 필요하다.

 

최근 5(16~20, 합계) 동안 화재로 인한 인명피해 발생 현황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49380001.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80pixel, 세로 289pixel

[출처소방청, 화재통계연감]

 

 가스보일러 전기 난방기구 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 수칙은 아래와 같다.

  가스보일러 가동 에는 배기통이 빠져있거나 찌그러진  없는지 확인하고, 배기통 내부에 이물질이 쌓여 막혔거나 구멍이   없는지 점검한다.

  가스보일러를 작동했을 , 과열이나 소음, 진동,  등이 평소와 다를 경우에는 전원을 끄고, 반드시 전문가 점검 받은 사용한다.

  전기난로 등을 사용 때는 화재 예방 위해 불을 놓은 자리를 비우지 않도록 주의하고, 난로 주변 불이 붙기 쉬운 가연물을 가까이 두지 않아야 한다.

   - 또한, 높은 온도 오랜 시간 사용하지 않도록 하고, 자리 비우거나 사용 에는 반드시 전원을 끈다.

  전기장판처럼 바닥에 펴서 쓰는 제품 접히거나 무거운 물체 눌리지 않게 사용 보관하도록 한다.

고광완 행안부 예방안전정책관은 “각 가정에서는 가스보일러 가동  점검은 물론이고 보일러에 이상이 없는지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보조 난방기 사용 때는 과열 방지하기 위해 단독 콘센트 사용하는  각별한 주의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붙임

 

 가스보일러․전기 난방기구 예방수칙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가스보일러 예방수칙.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900pixel, 세로 900pixel

[출처한국가스안전공사]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2c24b7c5.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83pixel, 세로 639pixel

[출처소방청, ‘겨울철 난방용품 안전매뉴얼’]



[행정안전부 2021-12-22]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996 2021년 11월 온라인쇼핑 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1.05 34
10995 영아기 첫만남꾸러미(영아기 집중투자) 온라인 신청 개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1.05 31
10994 국민권익위, “근로시간 4시간인 근로자 일 끝나면 휴게 없이 바로 퇴근해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1.05 29
10993 2022학년도 1학기 학자금 대출, 1월 5일부터 신청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1.05 31
10992 장애아동수당, 중증 2만 원, 경증 1만 원 인상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1.03 35
10991 2021년 12월 및 연간 소비자물가동향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1.03 38
10990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조치 1.16(일)까지 2주 연장, 청소년 접종증명?음성확인제 시행일 내년 3월 1일로 연기, 거리두기 연장에 따른 소상공인 손실보상 선지급 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1.03 34
10989 안전ㆍ보건 조치의무 위반해 중대재해 일으킨 사업주, 처벌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1.03 19
10988 불법다단계 소비자피해주의보 발령 및 특별신고기간 운영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1.03 37
10987 2021년 12월 및 연간 소비자물가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2.31 47
10986 보호자 안전수칙 준수로 어린이 중독사고 예방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2.31 36
10985 비대면 서비스 확대로 고속도로 이용이 더욱 편리해집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2.31 37
10984 편의점 서비스 만족도, GS25·이마트24·CU가 상대적으로 높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2.30 37
10983 ‘내년 노인 단독가구 소득인정액 월 180만 원 이하면 기초연금 받는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2.30 34
10982 국민의 권익을 두텁게 보호하기 위해「자동차보험 표준약관」을 개선하였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2.30 34
Board Pagination Prev 1 ...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 924 Next
/ 9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