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겨울철 가스보일러 전기 난방기구 사고에 주의하세요!

- 주기적 점검, 올바른 사용으로 사고 예방 -

행정안전부(장관 전해철) 12 접어들며 추운 날씨로 인해 난방 수요 증가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철저한 점검 통한 가스보일러 전기 난방기구(난로․장판) 사고 예방에 각별한 주의를 요청하였다.

최근 5(16 ~ 20, 합계) 발생한 가스보일러 사고는 26건이며, 이로 인해 55 인명피해*(사망 20, 부상 35) 발생하였다.

    * 인명피해 55명 중 일산화탄소 중독 54, 기타 1

최근 5(16~20)간 가스보일러 사고 현황

<가스보일러 사고 현황>

<원인별 사고 현황>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1a4cbf3e.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89pixel, 세로 267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1a4c0002.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90pixel, 세로 280pixel

               [출처한국가스안전공사(가스사고연감)]

  원인별 자세히 살펴보면, 시설미비* 인한 사고가 20(77%)으로 가장 많았고, 그다음은 기타** 4(15%), 제품노후(고장) 2(8%)이다.

    * 배기통 연결부 이탈 및 급·배기통 설치기준 미준수 등

   ** 원인미상(2), 인테리어로 배기불량(1), 증축공사에 의한 배기통 실내노출(1)

 

 또한, 12에는 온도 유지 위한 전기 난방기구(난로․장판) 사용 늘어나며 화재 위험도 높아진다.

  최근 5(16~20) 동안 화재 208,691 발생하였으며,  전기난로 전기장판으로 인한 화재 2,447(1.2%) 차지하였다.

   - 특히, 날씨가 추워지는 11월부터 전기 난방기구 화재 건수 증가하기 시작하여 겨울철(11~2) 동안 1,688(69%) 발생하였다.

   

최근 5(16~20, 합계) 동안 화재 발생 현황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58a8599a.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32pixel, 세로 318pixel

[출처소방청, 국가화재정보시스템]

  같은 기간(16~20) 동안 전기 난방기구 화재 인해 307(사망 41, 부상 266) 인명피해 발생하였으며, 특히 작년 경우 인명피해 크게 늘어 각별한 주의 필요하다.

 

최근 5(16~20, 합계) 동안 화재로 인한 인명피해 발생 현황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49380001.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80pixel, 세로 289pixel

[출처소방청, 화재통계연감]

 

 가스보일러 전기 난방기구 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 수칙은 아래와 같다.

  가스보일러 가동 에는 배기통이 빠져있거나 찌그러진  없는지 확인하고, 배기통 내부에 이물질이 쌓여 막혔거나 구멍이   없는지 점검한다.

  가스보일러를 작동했을 , 과열이나 소음, 진동,  등이 평소와 다를 경우에는 전원을 끄고, 반드시 전문가 점검 받은 사용한다.

  전기난로 등을 사용 때는 화재 예방 위해 불을 놓은 자리를 비우지 않도록 주의하고, 난로 주변 불이 붙기 쉬운 가연물을 가까이 두지 않아야 한다.

   - 또한, 높은 온도 오랜 시간 사용하지 않도록 하고, 자리 비우거나 사용 에는 반드시 전원을 끈다.

  전기장판처럼 바닥에 펴서 쓰는 제품 접히거나 무거운 물체 눌리지 않게 사용 보관하도록 한다.

고광완 행안부 예방안전정책관은 “각 가정에서는 가스보일러 가동  점검은 물론이고 보일러에 이상이 없는지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보조 난방기 사용 때는 과열 방지하기 위해 단독 콘센트 사용하는  각별한 주의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붙임

 

 가스보일러․전기 난방기구 예방수칙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가스보일러 예방수칙.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900pixel, 세로 900pixel

[출처한국가스안전공사]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2c24b7c5.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83pixel, 세로 639pixel

[출처소방청, ‘겨울철 난방용품 안전매뉴얼’]



[행정안전부 2021-12-22]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319 탄생의 순간부터 생애주기별 맞춤형 복지가 시작됩니다”4종의 텔레비전 시리즈 광고 방영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22 76
10318 『일과성 대뇌 허혈성 발작』, 70대 이상 환자수 증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17 76
10317 앞으로 공간정보이용이 쉬워진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17 76
10316 보고 느끼고 체험하는‘찾아가는 양조장’8개소 신규 선정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16 76
10315 『급성 신우신염』, 여름철 여성이 더 주의를 기울여야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13 76
10314 올해 상반기 주택매매거래량은 61.1만건으로 2006년 이후 최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10 76
10313 연말이면 지방재정을 한 번에 볼 수 있게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08 76
10312 뜨거운 여름『알레르기성 접촉피부염』조심하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06 76
10311 11개 해외구매대행 사업자의 전자상거래법 위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06 76
10310 자동차 전용도로 교량 구간에 대피 공간 설치해야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02 76
10309 “종이계약서는 옛말”…온라인·모바일로 부동산계약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6.25 76
10308 인터넷으로 제안하면 도로정책으로 "뚝딱!"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6.18 76
10307 농후발효유 비교정보 생산 결과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6.03 76
10306 ‘흡연’…폐 기능 저하, 손 발 괴사 부를 수 있어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5.26 76
10305 콘도회원권 판매업자의 방문판매법 위반행위에 대한 건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5.21 76
Board Pagination Prev 1 ... 233 234 235 236 237 238 239 240 241 242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