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20년 육아휴직자 수(시작일 기준)는 전년 대비 3.7% 증가한 16만 9,345명

  ○ ‘20년 만 8세 또는 초등학교 2학년 이하의 자녀를 대상으로 육아휴직을 시작한 사람은
        전년 대비 3.7%(6,089명) 증가한 16만 9,345명으로 10년 전인 ‘10년과 비교하면 약 2.3배 수준임

  ○ ‘20년 육아휴직자 16만 9,345명 중 부(父)가 22.7%인 3만 8,511명, 모(母)가 77.3%인 13만 834명으로
       ‘10년 대비 부(父)는 19.6배, 모(母)는 1.8배 수준으로 증가함


□ ‘20년 출생아 부모의 육아휴직사용률은 24.2%

  ○ ‘20년 출생아 부모의 육아휴직사용률은 전년 대비 1.2%p 증가한 24.2%로
        10년 전인 ‘10년(11.9%) 대비 약 2.0배 수준임

  ○ ‘20년 출생아 부(父)의 육아휴직 사용률은 전년 대비 0.5%p 증가한 3.4%로,
       ‘10년 전인 ’10년(0.2%) 대비 17배 수준이며,
       모(母)의 육아휴직 사용률은 전년 대비 1.1%p 증가한 63.9%로, ‘10년(40.5%) 대비 약 1.6배 수준임

  ○ 종사 산업별로는 ‘20년 출생아 부(父), 모(母) 모두 공공행정 분야에서의 육아휴직 사용률이
        각각 6.9%, 78.7%로 가장 높음

    - 차 순위는 부(父)의 경우는 사업시설·지원업(5.4%), 운수업(4.8%) 등의 순이며,
       모(母)의 경우는 사업시설·지원업(72.5%), 금융·보험업(72.4%) 등의 순임


□ 1자녀 부모 육아휴직자의 74.4%는 자녀가 만 0세 때, 10.3%는 만 6세 때 육아휴직을 하며,
     육아휴직 분할 사용은 전체의 18.5%임

  ○ 1자녀 부모*를 대상으로 전 기간(만 0세~만 8세) 육아휴직 행태를 분석하면,
       이들의 74.4%가 자녀가 만 0세 때 육아휴직을 하고, 10.3%는 만 6세 때 육아휴직을 함
        * ‘11∼‘20년까지 ‘11년 출생아만 있는 부모 중 육아휴직을 한 번이라도 한 부모

  ○ 1자녀 부모 중 부(父)의 경우는 자녀가 만 7세(17.6%) 때 육아휴직을 가장 많이 하고,
       다음은 자녀가 만 8세(15.8%), 만 0세(15.1%) 때 육아휴직을 많이 함

  ○ 1자녀 부모 중 모(母)의 경우는 자녀가 만 0세(81.3%) 때 육아휴직을 가장 많이 하고,
       다음은 자녀가 만 6세(10.2%), 만 7세(5.5%) 때 육아휴직을 많이 함

  ○ ‘11년 출생아 1자녀 부모의 육아휴직 분할 사용 현황을 살펴보면,
        미분할 사용(1회 휴직)이 전체의 81.5%, 1회 분할 사용이 16.0%, 2회 이상 분할 사용이 2.5%임


□ ‘20년 출산일 기준 취업상태인 母는 44.0%로 출산 360일 전보다 10.1%p 감소

  ○ ‘20년 출산모의 44.0%는 출산일 기준 직업을 갖고 있으며
       출산 360일 전보다 직업을 보유한 비중이 10.1%p 감소함



[ 통계청 2021-12-21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1078 식기세척기 세제의 세척성능 및 경제성, 제품별로 차이 있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2.07 43
11077 상조 소비자 피해보상 절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2.07 44
11076 친환경 제품 광고 모니터링 결과, 절반이 환경성 인증마크 사용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2.04 41
11075 2022년 1월 소비자물가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2.04 49
11074 2021년 4분기 다단계판매업자 주요정보 변경사항 공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2.04 39
11073 SNS 부당광고 모니터링 및 실태조사 결과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2.03 51
11072 2021년 4/4분기 소비자 위해정보 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2.03 46
11071 코로나19 자가검사키트 정확한 사용방법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2.03 46
11070 가사·간병 방문지원사업 대상 중위소득 70%까지 확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2.03 43
11069 전화 등 통신수단을 이용해 편리하게 보험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보험업법」, 2월 18일 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2.03 45
11068 건축물 분양제도, 수요자 중심으로 개선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2.03 33
11067 교차로 적색 신호에는 '반드시 정지 후 우회전'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2.03 37
11066 노로바이러스 감염증 발생 증가, 설 연휴 예방수칙 준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1.28 54
11065 설 연휴에도 가정폭력‧청소년 상담 서비스 24시간 운영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1.28 40
11064 안전하고 건강하게 설 연휴 보내는 방법Ⅰ(식품편)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1.28 45
Board Pagination Prev 1 ...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186 ... 920 Next
/ 9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