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20년 주요 결과만성질환은 증가하고 신체활동 실천은 감소 경향

현재흡연율(남자, 19세이상) ’11년 47.3% → ’19년 35.7% → ’20년 34.0%

월간폭음률(19세이상’11년 39.0% → ’19년 38.7% → ’20년 38.4%

유산소 신체활동 실천율(19세이상) ’14년 58.3% → ’19년 47.8% → ’20년 45.6%

비만 유병률(19세이상’11년 31.4% → ’19년 33.8% → ’20년 38.3%

당뇨병 유병률(19세이상’11년 9.3% → ’19년 9.5% → ’20년 10.7%

고콜레스테롤혈증 유병률(19세이상) ’11년 11.4% → ’19년 18.1% → ’20년 19.7%

◇ 남자 3, 40대 건강행태와 만성질환이 악화되어 이에 관한 원인 분석과 조사감시 필요


□ 질병관리청(청장 정은경)은 12월 16일(목) 「국민건강영양조사 제8기 2차년도(2020) 결과발표회」를 개최하여 우리 국민의 주요 만성질환 유병 및 건강행태에 관한 2020년 통계를 발표한다고 밝혔다.


 ○ 국민건강영양조사*는 건강증진법 제16조에 근거하여 우리 국민의 건강과 영양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하고 있으며, 조사 결과는 국가 건강정책 수립 및 평가를 위한 근거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undefined

흡연음주영양만성질환 등 250여 개 보건지표를 산출하는 대표적인 건강통계조사로 1998년에 도입하여 매년 만 1세 이상 약 1만 명을 대상으로 실시(붙임참조)


undefined

만성질환


□ 성인(19세 이상) 비만 유병률은 남녀 모두 증가, 고콜레스테롤혈증, 고혈압, 당뇨병 유병률은 남자에서 증가, 여자는 큰 변화가 없었다.



<만성질환 유병률 추이(19세 이상) 그림 붙임 참고>



 ○ 비만 유병률은 ’20년 남자 48.0%로 ’19년 대비(41.8%) 큰 폭으로 증가하였고, 여자는 소폭 증가하였다.


   - 남자는 모든 연령에서 큰 폭으로 증가하여 조사 이래 가장 높으며, 3,40대 절반 이상이 비만(58.2%, 50.7%)이었다.


 ○ 고혈압 유병률은 남자 28.6%, 여자 16.8%이며, 남자 4, 50대(31.5%, 45.4%)는 조사 이래 가장 높았다.


 ○ 당뇨병 유병률은 남자 13.0%, 여자 8.2%로 ’19년 대비 남자는 소폭 증가, 여자는 큰 변화가 없었다.


 ○ 고콜레스테롤혈증 유병률은 남자 20.2%, 여자 18.8%이며, 남자는 ’05년 이후 지속 증가하였고, 여자는 ’19년 대비 큰 변화가 없었다.


   - 남자는 모든 연령에서 ’19년 대비 증가하였고, 특히 40대(20.4%→28.2%)에서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 고혈압, 당뇨병, 고콜레스레롤혈증의 인지율, 치료율은 남녀 모두 개선되었으나, 여전히 3, 40대는 50% 미만으로 낮은 수준이었다. 


   - 고혈압, 당뇨병의 조절률(치료자기준)은 남녀 모두 소폭 감소하였다.



<만성질환 관리지표 추이(19세 이상) 그림 붙임 참고>



undefined

건강행태


□ 흡연 지표는 지속 개선되고 있으나, 신체활동은 감소하였다.


 ○ 성인 남자 현재흡연율(궐련 기준)은 꾸준히 감소하여 ’20년 34.0%로 최저치를 나타냈다.


   - 담배종류별 현재사용률의 경우 액상형 전자담배는 큰 변화 없으나, 궐련형 전자담배는 남자(8.4%)에서 ’19년 대비 1.9%p 감소하였다.


   - 담배제품을 하나라도 사용한 담배제품 현재사용률은 ’20년 남자 38.7%, 여자 7.5%로 나타났다. 


   - 간접흡연 노출률은 직장·가정·공공장소 실내 모두 감소하였다.



<주요 건강행태 추이(19세 이상) 그림 붙임 참고>



 ○ 월간음주율은 지속적으로 정체 상태를 보였지만 ’20년 58.9%로 ’19년(60.8%) 대비 소폭 감소하였다.


   - 월간폭음률은 38.4%로 큰 변화 없으나 남자 4,50대와 여자 30대는 증가하였다.


 ○ 걷기실천율은 ’20년 39.2%로 ’19년(43.5%) 대비 감소하였고, 유산소 신체활동 실천율(45.6%)도 지속 감소하여 조사 이래 가장 낮았다.


   - 특히 20대에서 신체활동 실천율 감소 폭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주요 건강행태 추이(19세 이상) 그림 붙임 참고>



 ○ 스트레스인지율은 ’20년 31.5%로 ’19년(30.8%) 대비 큰 변화가 없었지만, 우울장애 유병률은 지속 감소추세를 보이다가 ’20년 5.7%로 소폭 증가하였다.


   - 남자보다 여자가, 연령별로는 남자 30대, 여자 20대가 정신건강이 가장 악화되었다. 


undefined

식생활과 영양


□ 과일류 섭취 감소, 음료류 섭취 증가 추세는 지속되고 있다.


 ○ 대부분의 식품군 섭취량은 ’19년 대비 큰 변화가 없으나 과일류 섭취량은 ‘20년 121g으로 ’19년(135g) 대비 감소하였다. 



 ○ 반면 음료류 섭취는 지속 증가하고 있으며, 2,30대에서 섭취량이 가장 높았다. 



<식품군별 섭취량 추이(1세 이상) 그림 붙임 참고>



□ 지방 섭취 증가와 탄수화물 섭취 감소도 지속되었다.


 ○ 지방의 에너지 섭취 분율은 ‘20년 남자 24.6%, 여자 24.2%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 지방 과잉섭취분율도 ‘19년 대비 3.5%p 증가하였고, 2,30대의 경우 30% 이상이 지방을 과잉섭취하고 있었다.


   - 반면 탄수화물의 에너지 섭취 분율은 감소하여 ’20년 남자 59.4%, 여자 60.8%이었다. 


 ○ 아침식사 결식률은 ‘20년 34.6%로 ‘19년 대비 3.3%p 증가하였으며, 에너지 섭취량도 감소하였다.



<에너지 섭취량 및 급원별 섭취 분율 추이(1세 이상) 그림 붙임 참고>



undefined

코로나19 유행시기의 건강수준 변화


□ 코로나19 유행시기인 ’20년 결과를 ’19년과 비교 시, 만성질환, 정신건강은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 비만 및 만성질환 유병률은 남자에게서 두드러지게 증가하였는데, 비만은 3,40대, 고콜레스테롤혈증은 40대, 고혈압, 당뇨병은 4, 50대에서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 비만, 당뇨병 유병률의 소득수준 격차는 남녀 모두 ’20년에 더 커졌다.


 ○ 우울장애 유병률은 남녀 모두 ’20년에 더욱 악화되었고, 특히 남자는 ’18년 대비 2배 정도 증가(2.5%→4.8%)하였으며, 3,40대에서 증가 폭이 컸다.


□ 건강행태 중 흡연지표는 ’19년 대비 개선되었으나, 신체활동 실천율은 악화되었다.


 ○ 남자 현재흡연율은 ’19년 대비 1.7%p 감소하였지만, 40대는 증가하였다.


 ○ 남자 월간음주율은 ’19년 대비 3.2%p 감소하였으나, 고위험음주율은 3.0%p 증가하였고, 특히 3,40대에서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 남자 유산소 신체활동 실천율은 ’19년 대비 4.3%p 감소하였고, 2~40대에서 감소 폭이 크게 나타났으며, 소득수준이 낮은 집단에서 감소 경향이 뚜렷하여 격차는 더 심해졌다.


undefined

<성별연령별 만성질환 유병률 및 건강행태(%, 19세이상)>

성ㆍ연령

만성질환

건강행태

남자

여자

19-29

30-39

40-49

50-59

60-69

70+

19-29

30-39

40-49

50-59

60-69

70+

비만

유병률

’19

37.3

46.4

45.0

43.4

39.9

30.4

16.5

21.6

25.8

29.6

34.9

37.0

’20

41.5

58.2

50.7

48.1

44.0

31.9

22.8

22.7

26.8

32.4

38.4

37.8

‘20-’19차이

4.2

11.8

5.7

4.7

4.1

1.5

6.3

1.1

1.0

2.8

3.5

0.8

고혈압

유병률

’19

6.4

15.1

26.5

35.7

52.3

59.5

3.9*

3.4

11.1

28.8

50.7

72.4

’20

7.4

17.7

31.5

45.4

50.5

59.3

1.1**

4.4

9.6

26.4

45.9

69.6

‘20-’19차이

1.0

2.6

5.0

9.7

-1.8

-0.2

-2.8

1.0

-1.5

-2.4

-4.8

-2.8

당뇨병

유병률

’19

1.1**

3.1*

11.5

18.9

27.2

30.0

2.5*

2.3*

4.7

9.7

21.4

31.6

’20

0.6**

5.9

14.1

23.8

28.8

28.7

0.8**

2.7*

3.7*

14.3

21.6

33.5

‘20-’19차이

-0.5

2.8

2.6

4.9

1.6

-1.3

-1.7

0.4

-1.0

4.6

0.2

1.9

고콜레스테롤혈증

유병률

’19

3.3*

12.5

20.4

26.0

32.2

25.0

4.5*

7.2

12.3

36.4

52.5

42.2

’20

5.3

12.7

28.2

27.2

35.4

32.4

5.0

8.2

13.8

31.7

48.0

46.0

‘20-’19차이

2.0

0.2

7.8

1.2

3.2

7.4

0.5

1.0

1.5

-4.7

-4.5

3.8

우울장애

유병률

’18

2.8*

2.4*

2.5*

2.2*

2.2*

2.7*

9.0

5.5

4.2

4.8

6.5

6.7

’20

5.6

6.5

5.5

1.9*

3.1*

2.4*

11.3

7.2

4.2*

3.0*

5.4

7.5

‘20-’18차이

2.8

4.1

3.0

-0.3

0.9

-0.3

2.3

1.7

0.0

-1.8

-1.1

0.8

현재

흡연율

’19

37.8

39.2

37.9

36.7

30.1

17.0

10.2

7.2

6.5

4.2

4.4*

2.5

’20

32.0

35.8

41.5

36.5

27.3

15.0

10.9

8.8

5.7

2.0*

4.3*

1.7*

‘20-’19차이

-5.8

-3.4

3.6

-0.2

-2.8

-2.0

0.7

1.6

-0.8

-2.2

-0.1

-0.8

고위험

음주율

’19

13.1

19.0

23.2

24.0

17.7

10.5

9.0

8.1

7.2

4.0

3.5*

0.8*

’20

14.3

23.3

30.1

24.3

21.2

7.9

8.3

9.1

7.3

3.5

1.0*

0.3**

‘20-’19차이

1.2

4.3

6.9

0.3

3.5

-2.6

-0.7

1.0

0.1

-0.5

-2.5

-0.5

유산소

신체활동 실천율

’19

68.4

58.5

47.8

40.9

44.4

32.9

55.1

39.0

42.9

41.9

34.5

28.6

’20

61.8

49.0

44.0

40.3

44.4

38.8

53.5

45.1

41.7

39.5

36.8

22.3

‘20-’19차이

-6.6

-9.5

-3.8

-0.6

0.0

5.9

-1.6

6.1

-1.2

-2.4

2.3

-6.3

변동계수(coefficient of variation) 25-50%, ** 50%이상


undefined

<소득수준별 만성질환 유병률 및 건강행태(표준화%, 19세이상)>

성ㆍ소득수준

만성질환

건강행태

남자

여자

중하

중상

차이

(-)

중하

중상

차이

(-)

비만

유병률

’19

42.5

40.2

42.8

43.5

39.1

3.4

28.7

25.9

24.3

21.8

23.7

5.0

’20

50.2

46.9

50.0

48.4

44.6

5.6

29.9

32.3

28.6

27.0

21.1

8.8

당뇨병

유병률

’19

11.5

12.5

11.0

10.2

10.6

0.9

9.7

8.2

7.3

7.2

7.3

2.4

’20

17.3

13.6

11.9

11.7

10.6

6.7

11.8

9.0

9.2

6.0

5.8

6.0

유산소

신체활동 실천율

’19

48.6

51.2

50.8

58.1

54.3

-5.7

40.4

41.7

43.3

43.3

43.8

-3.4

’20

44.3

47.0

47.9

48.2

53.9

-9.6

38.8

43.2

43.9

45.5

43.3

-4.5

□ 식품 및 영양소 섭취량의 변화는 크게 없었으나, 결식률, 외식률 등 식습관이나 섭취하는 음식 종류에는 변화가 있었다.


 ○ 아침식사 결식률은 ’19년 대비 3.3%p 증가하였고, 점심(8.0%→10.5%), 저녁(5.5%→6.4%)식사 결식률도 다소 증가하였다.


 ○ 하루 1회 이상 외식률은 단체급식, 음식업소 음식 섭취의 감소로 ’19년 대비 5.3%p 감소하였다. 


 ○ 단체급식, 음식업소 음식을 섭취한 분율은 감소한 반면, 가정식을 섭취한 분율은 다소 증가하였다. 


  - 단체급식을 1회 이상 섭취한 분율은 크게 감소(19.4%→11.2%)하였다.


  - 가정에서 포장, 배달 음식과 라면, 밀키트 등 편의식품 등을 섭취한 분율은 증가하였다.


  <음식종류별 하루 1회 이상 섭취자 분율(%, 1세 이상)>


undefined

구분

전체

남자

여자

’19

’20

’19

’20

’19

’20

음식종류별 섭취자 분율

가정식

78.7

79.5

75.6

76.2

81.9

82.9

음식업소 음식

56.0

52.8

60.5

57.0

51.4

48.5

단체급식

19.4

11.2

22.0

12.8

16.7

9.6

편의식품

52.6

53.1

54.5

55.5

50.6

50.7

가정에서 배달포장편의식품 등 섭취자 분율

음식업소(배달포장 등)

15.4

18.7

14.6

18.6

16.1

18.9

편의식품(라면밀키트편이가공식품 등)

35.0

38.5

32.2

37.3

37.8

39.7

아침식사점심식사저녁식사간식 중 한 번이라도 해당 음식을 섭취하면 섭취자로 분류


□ ’20년 주요 결과에 대해서는 코로나19 영향 등 관련 요인을 분석하여 추가 발표할 예정이며,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심층 분석하고자 한다.



undefined

조사 결과의 의의


□ 질병관리청 정은경 청장은 “2020년은 코로나19 유행 시기로 우리 국민의 건강수준에서도 변화가 나타났다”고 언급하며, 


 ○ “흡연관련 지표는 지속 개선 중이나, 신체활동은 악화되었으며 비만, 당뇨병 등 만성질환 유병률이 증가하였다.”고 밝혔다.


   - “특히 3,40대 남자의 비만 유병률이 급격히 증가하여 이에 대한 원인 파악과 지속적인 조사감시가 필요하다.”고 강조하였다.


 ○ 아울러 “국민건강영양조사는 앞으로도 고령화, 기후변화 등 신규 건강문제를 지속 발굴하여 주기적으로 조사할 계획이며,


   - 감염병 유행에 대비한 비대면 조사방법을 단계적으로 적용하는 등 변화하는 사회환경에 적합한 대응을 계속해 나갈 것이다.”고 밝혔다.


 ○ 이와 관련 “환경변화를 고려하여 가정 내 실내 공기 질 조사와 이를 연계한 환경유해물질 생체지표 조사(’20-’21년)를 수행하였으며, 결과는 2022년에 공표할 계획이다.”라고 밝히며,


 ○ “또한, 2022년부터 근감소증 조사를 추가 시행하고, 2024년부터는 골다공증, 신체기능척도 등 노인 대상 심층 조사를 계획하고 있다.”고 부연하였다.


□ 2020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에 대한 상세 보고서는 2022년 1월에 발간하며, 질병관리청 국민건강영양조사 누리집(http://knhanes.kdca.go.kr)에 원시자료와 함께 공개할 예정이다.


 ○ 또한 건강주제별 요약통계집인「국민건강통계플러스」를 지속 발간하여 국가건강조사의 정책·학술적 활용도를 높이고 건강정책 기획 및 평가를 위한 근거로 제공할 계획이다.



[ 보건복지부 2021-12-14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970 아우디, 토요타, 다임러, 야마하, 가와사키 결함시정(리콜) 실시[총 5개사 13,964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6.22 12
4969 7월부터 반사필름식 자동차번호판 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6.22 14
4968 공공 체육·휴양시설 과도한 위약금 합리적 개선해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6.22 7
4967 “숨어있는 4대 사회보험료 환급금을 돌려드립니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6.22 15
4966 유통기한 경과 원료 사용 맥주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6.22 7
4965 해외 인기 구매대행 제품 절반이 국내 안전기준에 부적합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6.22 8
4964 전국 내륙 올여름 최고 더위, 온열질환 예방위한 건강수칙 준수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6.22 6
4963 소비자분쟁조정위원회,“갑상선암에서 전이된 이차성암 관련 중요 약관을 설명하지 않았다면 ‘일반암 보험금’으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6.22 13
4962 1기분 자동차세, 편리하게 납부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6.22 7
4961 의료기관‧노인의료복지시설, 온천수를 이용한 치료 가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6.22 10
4960 여성 노린 강력범죄 “꼼짝마” …스마트도시 안전망 강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6.23 8
4959 ‘신체등급판정 이의신청’ 모든 병무관청에서 접수한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6.23 13
4958 식사지원과 영양관리를 동시에, 식사 영양관리서비스 시범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6.23 11
4957 비공개 SNS 활용 조직적 허위.과대광고 업체 점검 결과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6.23 10
4956 다소비 가공식품 2020년 5월 가격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6.23 11
Board Pagination Prev 1 ... 585 586 587 588 589 590 591 592 593 594 ... 921 Next
/ 921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