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응급실 내원 손상환자는 남자(58.0%)10세 미만(19.7%) 환자가 많았고 추락낙상(33.3%)둔상(19.2%)운수사고(15.3%)로 주로 손상이 발생

◇ 전체 손상환자 중 15.3%가 입원하고, 1.2%가 사망했으며추락낙상(20.3% 입원, 1.4% 사망), 운수사고(24.5% 입원, 2.5% 사망)중독(37.2% 입원, 2.2% 사망) 손상 시 입원·사망률 증가


□ 질병관리청(정은경 청장)은 12월 9일 「2021년도 응급실손상환자심층조사 결과보고회」를 개최하고 응급실 기반의 손상조사감시사업의 2020년 주요 결과를 발표하였다.


 ○ 질병관리청은 2006년부터 응급실 기반의 손상조사감시체계로 응급실 손상환자심층조사를 도입하여, 23개 병원의 응급실에 내원한 손상환자를 대상으로 손상 내용, 원인 등을 심층 조사*하고 있다.


    * 운수사고, 자살․추락․낙상․중독, 머리․척추손상, 취학 전 어린이 손상 등 4개의 심층 분과 운영 중, 붙임 참조


   - 응급실은 손상의 부위, 내용, 중증도 면에서 다양한 손상 환자를 관찰할 수 있으며, 진료기록과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손상 발생 시 상황을 자세히 조사하고 있다.


□ 응급실손상환자심층조사를 통해 2020년 수집된 자료는 206,887명으로, 조사 수행 기관 수를 23개로 확대한 2015년 이후 가장 낮았다.


 ○ 2015년부터 2019년까지 응급실 방문 손상환자 수는 27~30만여 명 범위를 유지하였으나 2020년에 감소하여 2019년의 75% 수준으로 조사되었다. 



<응급실손상환자심층조사 연도별 자료 수집 현황 그림 1 붙임 참고>



<2020년 응급실 내원 손상환자 성별, 연령별 분포 그림 2 붙임 참고>



 ○ 2020년 응급실 방문 손상환자는 남자가 58.0%로 여자(42.0%)보다 많았고, 연령별로는 0~9세가 19.7%로 가장 많았다. 


 ○ 2020년 응급실 방문 손상환자 중 입원한 환자는 31,554명, 사망한 환자는 2,534명으로, 2019년에 비해 입원환자(36,058명)는 12% 감소했고, 사망환자(2,630명)는 4% 감소하였다.


[표 1. 응급실 내원 손상환자의 기전별 입원 및 사망률, 2019, 2020년]

undefined

손상기전

2019

2020

손상

환자수

()

입원율

사망률

손상

환자수

()

입원율

사망률

입원자수

()

분율

(%)

사망자수

()

분율

(%)

입원자수

()

분율

(%)

사망자수

()

분율

(%)

전체

277,372

(100.0%)*

36,084

13.0

2,630

0.9

206,887

(100.0%)

31,554

15.3

2,534

1.2

운수사고

42,706

(15.4%)

9,337

21.9

871

2.0

31,628

(15.3%)

7,738

24.5

803

2.5

추락 및 낙상

92,037

(33.2%)

15,795

17.2

976

1.1

68,904

(33.3%)

13,979

20.3

975

1.4

둔상

59,013

(21.3%)

2,912

4.9

96

0.2

39,801

(19.2%)

2,430

6.1

84

0.2

관통상

30,582

(11.0%)

1,807

5.9

45

0.1

24,923

(12.0%)

1,685

6.8

50

0.2

중독

9,193

(3.3%)

3,140

34.2

212

2.3

8,293

(4.0%)

3,089

37.2

181

2.2

기타

43,841

(15.8%)

3,093

7.1

430

1.0

33,338

(16.2%)

2,633

7.9

441

1.3


* 자료원: 응급실손상환자심층조사

* 괄호 안의 숫자는 전체 손상환자수에 대한 각 기전별 환자수의 분율


□ 응급실에 내원한 손상환자는 추락 및 낙상 환자가 33.3%로 가장 많았고, 둔상(부딪힘)이 19.2%, 운수사고가 15.3%으로 그 다음 순이었다.


 ○ 연령별로, 0~9세, 40세 이상에서는 추락 및 낙상이 가장 많았고, 특히 70세 이상은 62.9%가 추락 및 낙상으로 응급실에 방문했다.



<2020년 응급실 내원 손상환자 현황 그림 3 붙임 참고>



 ○ 2019년 결과와 비교할 때, 전체 손상환자 중 운수사고, 추락 및 낙상이 차지하는 분율은 거의 차이가 없었고, 둔상 환자는 2019년 21.3%에서, 2020년 19.2%로 감소하였다.


 ○ 전체 손상환자 중 15.3%가 입원하였고, 1.2%가 사망하였으나, 중독 환자는 입원율이 37.2%, 사망률이 2.2%로 전체 입원 및 사망률보다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고, 운수사고(입원 24.5%, 사망 2.5%), 추락 및 낙상(입원 20.3%, 사망 1.4%)도 높은 편이었다.


□ 자해‧자살로 응급실에 내원한 환자는 10,272명이었으며 폭력‧타살 손상환자는 9,266명으로, 전체 손상환자 중 각각 5.0%, 4.5%를 차지하였다.


 ○ 최근 5년간의 결과에서, 응급실 내원 손상환자 중 자해·자살 환자 분율은 증가 경향을 보이고 있고 폭력·타살은 4.5% 내외를 유지하고 있다.


 ○ 자해·자살 환자 중 56.9%는 이전 시도 경험이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1회(11.2%) 또는 2회 이상(19.7%)의 경험이 있는 환자도 많았다.


[표 2. 응급실 내원 손상환자 중 의도적 손상환자 분율, 2015~2020년]   (단위: 건)

undefined

구분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전체

271,072

283,422

294,408

284,014

277,372

206,887

자해·자살

6,619

7,354

8,077

9,477

10,226

10,272

(2.4%)

(2.6%)

(2.7%)

(3.3%)

(3.7%)

(5.0%)

폭력·타살

12,051

12,233

12,692

12,167

12,314

9,266

(4.4%)

(4.3%)

(4.3%)

(4.3%)

(4.4%)

(4.5%)


* 자료원: 응급실손상환자심층조사

* 괄호 안의 숫자는 전체 손상환자수에 대한 자해·자살 및 폭력·타살 환자 분율

* 의도적 손상은 해를 가한 주체가 자신일 경우 자해·자살, 타인일 경우 폭력·타살로 구분


□ 질병관리청 정은경 청장은 “2020년에 시작된 코로나19 유행으로 사회 활동, 의료기관 운영 등에 여러 가지 변화가 있었고 손상환자 발생 및 응급의료기관 이용에도 영향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라고 하면서, 


 ○ “이번 결과보고회가 2020년에 발생한 손상 환자의 특성과 응급의료대응 역량 강화 방안을 토의하고 감염병 위기 속에서도 손상으로부터 안전한 사회를 구현하기 위한 전략 마련의 기회가 되기를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 응급실손상환자심층조사에 대한 상세한 통계는 2022년 1월에 발간할 「2020 손상 유형 및 원인 통계」를 통해 제공할 계획이며,


 ○ 관련 통계집 및 응급실손상환자심층조사로부터 생산한 손상예방을 위한 안전수칙 등은 국가손상정보포털 (http://www.kdca.go.kr/injury)에서 내려받을 수 있다.



[ 질병관리청 2021-12-09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1405 ‘집콕’ 길어지자 온라인 문화 활동 2배 늘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6.08 9
11404 ‘차량용 소화기 설치 의무’모든 차량으로 확대 추진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1.01 27
11403 ‘차명계좌 통한 탈세 근절’ 국민 의견 듣는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30 103
11402 ‘창덕궁 후원’ 자유롭게 관람하고, 입장 인원 확대한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8.30 24
11401 ‘찾아가고 싶은 섬’으로 여행하고, 선물도 받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6.25 3
11400 ‘찾아가는 전세피해상담소’ 원주시·춘천시에서 2주간(7.31.~8.11.) 확대 운영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7.31 20
11399 ‘찾아가는 종자 민원상담서비스’ 실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6.11 78
11398 ‘채용 신체검사’ 대신 ‘국가건강검진 결과’ 활용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3.03 49
11397 ‘청년내일저축계좌’, 저소득 청년의 든든한 출발을 도와드립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4.27 13
11396 ‘청년주택 드림 청약통장’, 출시 3개월 만에 가입자 100만명 돌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5.20 18
11395 ‘청렴포털’ 통해 온라인으로 공공기관에 부패·공익신고 가능해져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3.04 20
11394 ‘청소년증’으로 도서 할인 받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0.05 14
11393 ‘최고임금제 지원금’은 대상년도가 끝난 후 3년 이내에 신청하면 지급받을 수 있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25 8
11392 ‘추석 성수품 수송’ 화물 차량 도심통행 제한 일시 완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9.14 64
11391 ‘축산분야 항생제 사용 및 내성’ 조사 결과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0.22 42
Board Pagination Prev 1 ...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