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응급실 내원 손상환자는 남자(58.0%)10세 미만(19.7%) 환자가 많았고 추락낙상(33.3%)둔상(19.2%)운수사고(15.3%)로 주로 손상이 발생

◇ 전체 손상환자 중 15.3%가 입원하고, 1.2%가 사망했으며추락낙상(20.3% 입원, 1.4% 사망), 운수사고(24.5% 입원, 2.5% 사망)중독(37.2% 입원, 2.2% 사망) 손상 시 입원·사망률 증가


□ 질병관리청(정은경 청장)은 12월 9일 「2021년도 응급실손상환자심층조사 결과보고회」를 개최하고 응급실 기반의 손상조사감시사업의 2020년 주요 결과를 발표하였다.


 ○ 질병관리청은 2006년부터 응급실 기반의 손상조사감시체계로 응급실 손상환자심층조사를 도입하여, 23개 병원의 응급실에 내원한 손상환자를 대상으로 손상 내용, 원인 등을 심층 조사*하고 있다.


    * 운수사고, 자살․추락․낙상․중독, 머리․척추손상, 취학 전 어린이 손상 등 4개의 심층 분과 운영 중, 붙임 참조


   - 응급실은 손상의 부위, 내용, 중증도 면에서 다양한 손상 환자를 관찰할 수 있으며, 진료기록과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손상 발생 시 상황을 자세히 조사하고 있다.


□ 응급실손상환자심층조사를 통해 2020년 수집된 자료는 206,887명으로, 조사 수행 기관 수를 23개로 확대한 2015년 이후 가장 낮았다.


 ○ 2015년부터 2019년까지 응급실 방문 손상환자 수는 27~30만여 명 범위를 유지하였으나 2020년에 감소하여 2019년의 75% 수준으로 조사되었다. 



<응급실손상환자심층조사 연도별 자료 수집 현황 그림 1 붙임 참고>



<2020년 응급실 내원 손상환자 성별, 연령별 분포 그림 2 붙임 참고>



 ○ 2020년 응급실 방문 손상환자는 남자가 58.0%로 여자(42.0%)보다 많았고, 연령별로는 0~9세가 19.7%로 가장 많았다. 


 ○ 2020년 응급실 방문 손상환자 중 입원한 환자는 31,554명, 사망한 환자는 2,534명으로, 2019년에 비해 입원환자(36,058명)는 12% 감소했고, 사망환자(2,630명)는 4% 감소하였다.


[표 1. 응급실 내원 손상환자의 기전별 입원 및 사망률, 2019, 2020년]

undefined

손상기전

2019

2020

손상

환자수

()

입원율

사망률

손상

환자수

()

입원율

사망률

입원자수

()

분율

(%)

사망자수

()

분율

(%)

입원자수

()

분율

(%)

사망자수

()

분율

(%)

전체

277,372

(100.0%)*

36,084

13.0

2,630

0.9

206,887

(100.0%)

31,554

15.3

2,534

1.2

운수사고

42,706

(15.4%)

9,337

21.9

871

2.0

31,628

(15.3%)

7,738

24.5

803

2.5

추락 및 낙상

92,037

(33.2%)

15,795

17.2

976

1.1

68,904

(33.3%)

13,979

20.3

975

1.4

둔상

59,013

(21.3%)

2,912

4.9

96

0.2

39,801

(19.2%)

2,430

6.1

84

0.2

관통상

30,582

(11.0%)

1,807

5.9

45

0.1

24,923

(12.0%)

1,685

6.8

50

0.2

중독

9,193

(3.3%)

3,140

34.2

212

2.3

8,293

(4.0%)

3,089

37.2

181

2.2

기타

43,841

(15.8%)

3,093

7.1

430

1.0

33,338

(16.2%)

2,633

7.9

441

1.3


* 자료원: 응급실손상환자심층조사

* 괄호 안의 숫자는 전체 손상환자수에 대한 각 기전별 환자수의 분율


□ 응급실에 내원한 손상환자는 추락 및 낙상 환자가 33.3%로 가장 많았고, 둔상(부딪힘)이 19.2%, 운수사고가 15.3%으로 그 다음 순이었다.


 ○ 연령별로, 0~9세, 40세 이상에서는 추락 및 낙상이 가장 많았고, 특히 70세 이상은 62.9%가 추락 및 낙상으로 응급실에 방문했다.



<2020년 응급실 내원 손상환자 현황 그림 3 붙임 참고>



 ○ 2019년 결과와 비교할 때, 전체 손상환자 중 운수사고, 추락 및 낙상이 차지하는 분율은 거의 차이가 없었고, 둔상 환자는 2019년 21.3%에서, 2020년 19.2%로 감소하였다.


 ○ 전체 손상환자 중 15.3%가 입원하였고, 1.2%가 사망하였으나, 중독 환자는 입원율이 37.2%, 사망률이 2.2%로 전체 입원 및 사망률보다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고, 운수사고(입원 24.5%, 사망 2.5%), 추락 및 낙상(입원 20.3%, 사망 1.4%)도 높은 편이었다.


□ 자해‧자살로 응급실에 내원한 환자는 10,272명이었으며 폭력‧타살 손상환자는 9,266명으로, 전체 손상환자 중 각각 5.0%, 4.5%를 차지하였다.


 ○ 최근 5년간의 결과에서, 응급실 내원 손상환자 중 자해·자살 환자 분율은 증가 경향을 보이고 있고 폭력·타살은 4.5% 내외를 유지하고 있다.


 ○ 자해·자살 환자 중 56.9%는 이전 시도 경험이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1회(11.2%) 또는 2회 이상(19.7%)의 경험이 있는 환자도 많았다.


[표 2. 응급실 내원 손상환자 중 의도적 손상환자 분율, 2015~2020년]   (단위: 건)

undefined

구분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전체

271,072

283,422

294,408

284,014

277,372

206,887

자해·자살

6,619

7,354

8,077

9,477

10,226

10,272

(2.4%)

(2.6%)

(2.7%)

(3.3%)

(3.7%)

(5.0%)

폭력·타살

12,051

12,233

12,692

12,167

12,314

9,266

(4.4%)

(4.3%)

(4.3%)

(4.3%)

(4.4%)

(4.5%)


* 자료원: 응급실손상환자심층조사

* 괄호 안의 숫자는 전체 손상환자수에 대한 자해·자살 및 폭력·타살 환자 분율

* 의도적 손상은 해를 가한 주체가 자신일 경우 자해·자살, 타인일 경우 폭력·타살로 구분


□ 질병관리청 정은경 청장은 “2020년에 시작된 코로나19 유행으로 사회 활동, 의료기관 운영 등에 여러 가지 변화가 있었고 손상환자 발생 및 응급의료기관 이용에도 영향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라고 하면서, 


 ○ “이번 결과보고회가 2020년에 발생한 손상 환자의 특성과 응급의료대응 역량 강화 방안을 토의하고 감염병 위기 속에서도 손상으로부터 안전한 사회를 구현하기 위한 전략 마련의 기회가 되기를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 응급실손상환자심층조사에 대한 상세한 통계는 2022년 1월에 발간할 「2020 손상 유형 및 원인 통계」를 통해 제공할 계획이며,


 ○ 관련 통계집 및 응급실손상환자심층조사로부터 생산한 손상예방을 위한 안전수칙 등은 국가손상정보포털 (http://www.kdca.go.kr/injury)에서 내려받을 수 있다.



[ 질병관리청 2021-12-09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1405 개인정보를 제공받으면 3개월 내 출처 고지해야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5.13 110
11404 새마을금고 민원 말로만 신청해도 OK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5.13 151
11403 행정정보공동이용으로 수도요금 감면 서비스가 빨라진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5.13 125
11402 검은색 이물질 발생 참치캔 제품 잠정 유통.판매 금지 조치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5.13 102
11401 연금저축을 중도해지 하면 손해가 큽니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5.16 346
11400 '16.4월 주택매매거래량은 전국 8.6만 건으로 전년동월 대비 28.4% 감소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5.16 149
11399 슈퍼곡물, 너 누구니?!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5.16 84
11398 카드사의 불합리한 영업관행 개선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5.17 86
11397 화재 우려 있는 파티접시, 자발적 회수 및 환급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5.17 162
11396 예식장 등 뷔페 음식점 및 패스트푸드점 점검 결과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5.17 122
11395 미등록 대부업체의 부당한 연대보증 요구에 주의하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5.18 133
11394 볼보그룹코리아(주), 스카니아코리아(주) 덤프트럭 227대(3개 모델) 시정조치(리콜) 실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5.18 128
11393 금연, 절주, 걷기 3가지 건강생활 모두 실천하는 성인 증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5.18 100
11392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HIV) 초기감염 확인진단체계 도입1년, 진단소요일 단축에 큰 효과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5.18 97
11391 2016년산 국산 두류(콩·팥·녹두) 수매확대 추진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5.18 122
Board Pagination Prev 1 ...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