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최근 뎅기열 신고 증가에 따른 감염 주의 당부
- 2016년 해외유입 뎅기열 신고건수가 2015년 동기간 대비 260% 증가 -
- 뎅기열 발생국가 여행 시 예방수칙을 반드시 준수하고, 의심 증상 발생 시 즉시 의사 진료 권고 -


□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기석)는 최근 뎅기열 유입환자 신고가 지속 증가함에 따라, 태국, 말레이시아, 싱가폴 등 동남아시아를 포함한 뎅기열 발생국가*를 여행하는 우리국민 대상으로 뎅기열 감염 예방주의를 당부하였다.
    * 뎅기열 발생 국가는 [붙임3. 해외 뎅기열 발생 동향] 참고

 ○ 뎅기열 주로 적도를 기준으로 열대 및 아열대 지역 국가에서 풍토적으로 발생하나, 최근 엘니뇨(El Nino) 현상으로 인해 태국, 말레이시아, 필리핀 등 동남아시아 지역 발생 급증
     * 자세한 해외 발생현황은 [붙임3. 해외 뎅기열 발생 동향] 참고

  - 이로 인해 국내 뎅기열 유입환자도 증가 발생* 중이며, 실제 유입 환자의 대부분이 동남아시아 지역 방문 후 감염된 것으로 추정
     * 2016.2월 현재 69명 신고. 전년동기간(2015.2월 19명) 대비 약 260% 증가. 모두 해외 유입 건으로 국내 자체 발생 없음


□ 이와 관련하여 질병관리본부는 뎅기열의 국내 유입 및 토착화 방지를 위해 다음과 같은 관리대책을 시행중이며

 ○ 국내 발생유행 예측을 위한 해외 뎅기열 발생 동향 모니터링 및 국내 유입환자 대상 감시 및 역학조사 수행
 ○ 국내 서식하는 모기 및 병원체 바이러스 연구 및 모니터링
 ○ 모기방제 가이드라인 제공 및 교육 등 모기 방제 활동 강화
 ○ 질병관리본부 해외여행질병정보센터(http://travelinfo.cdc.fo.kr)을 통해 뎅기열 발생국가 및 예방수칙 등에 대해 지속 홍보·안내

□ 우리 국민들에게도 안전한 해외여행을 위해서는 뎅기열 발생국가 여행 시 반드시 모기장 및 모기 기피제 사용 등 감염 예방수칙을 준수하고, 뎅기열 의심 증상(발열, 두통, 오한 등) 발생 시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진료 받을 것을 다시 한 번 당부하였다.


  < 뎅기열 발생국가 여행시, 감염 예방 수칙 >

-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모기 퇴치 제품(모기장, 모기 기피제 등) 사용
- 외출시 가능한 밝은 색의 긴팔 및 긴바지를 착용
- 방충망 및 냉방시설이 설치되어 숙소에 머물고 살충제를 사용
- 뎅기열 의심증상(발열, 두통, 오한 등) 발생 시, 즉시 의료기관 방문하여 최근 여행력을 알리고 적절한 진료받을 것을 권고

 

[보건복지부 2016-02-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1885 9월 세계 식량가격지수, 상승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0.10 66
11884 9월 재산세 납부, 인터넷과 ATM 기기에서 편리하게 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9.14 58
11883 9월 재산세, 모바일로 편리하게 납부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9.16 23
11882 9월 재산세, 편리한 납부방법 알려드립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9.23 7
11881 9월 주택 통계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10.31 9
11880 9월 중 全 지방공기업, 임금피크제 도입계획 확정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02 97
11879 9월 첫째 주, 스마트시티와 함께하는 색다른 한 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8.30 45
11878 9월까지 전국 교통사고 사망자 전년 대비 8.5% 감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0.08 75
11877 9월말 전국 미분양 60,700호, 전월대비 3.0% (1,862호) 감소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0.31 62
11876 9월부터 대형병원의 일반병상 늘어난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6.10 123
11875 9월부터 민영주택에도 생애최초 특별공급제도가 신설되고, 생애최초 요건을 갖춘 신혼부부의 경우 소득요건이 완화 되는 등 실수요자의 내집 마련 기회가 확대되도록 청약제도가 개선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7.28 11
11874 9월부터 선택진료제도 개선 2단계 추진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6.04 73
11873 9월부터 양성자치료, 초음파 등 보험 적용 확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8.24 172
11872 9월부터 장기요양 중증치매수급자에게 24시간 방문요양 제공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4.27 192
11871 9월부터 전립선 초음파 검사비 부담 1/3로 떨어진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8.12 23
Board Pagination Prev 1 ...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