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이 자료는 즉시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펜션 복층·계단에서 추락사고 주의

- 일부 업체 안전관리 소홀, 편법 운영시설도 있어 -

 

가족 단위 휴양객이 독립된 공간에 머물 수 있는 복층 구조의 펜션이 인기를 끌고 있으나 펜션 이용 중 추락하거나 미끄러져 다치는 사례가 있어 소비자들의 주의가 요구된다.

한국소비자원(원장 한견표)에 따르면, 최근 4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접수된 펜션 관련 위해사례는 총 140건으로, 이 중 절반을 넘는 77(55.0%)넘어짐·미끄러짐또는 추락사고로 분석됐다.

발생장소는 실내의 경우 복층·계단이, 실외의 경우에는 수영장이 가장 많았다. 특히, 위해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복층·계단 관련 사례(29) 중에서는 만 10세 이하 어린이가 차지하는 사고 비율이 62.1%(18)에 달했다.

복층 잇는 계단의 단높이 높고, 단너비 좁아 낙상 우려

한국소비자원이 수도권 및 강원 지역 펜션 30곳을 조사한 결과, 25(83.3%)의 복층과 연결된 계단이 조사기준*보다 단높이가 높거나 단너비가 좁아 경사가 가파르고 발을 딛기 어려워 낙상의 위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펜션 객실 내 설치되는 계단 및 난간에 적용되는 별도 법적 기준이 없어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건축 관련 유사기준 중 가장 완화된 것을 조사기준으로 설정(계단 단높이 20cm 이하, 단너비 24cm 이상 / 난간높이 90cm 이상, 간살간격 10cm 이하)

또한, 복층과 계단에서의 추락을 막는 난간 시설이 적정하게 설치된 펜션도 없었다. 복층이나 계단 난간을 아예 설치하지 않거나(9, 30.0%) 난간을 설치하였어도 조사기준보다 높이가 낮거나 간살 간격이 넓어(21, 70.0%) 영유아나 어린이 등이 난간 너머나 간살 사이로 추락할 우려가 있었다.

계단 

화재 대비 소홀하고, 미운영 수영장 접근차단 조치 미흡

펜션의 경우 영업신고 유형별로 농어촌민박은 농어촌정비법 시행규칙, 숙박업은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에 따라 객실마다 소화기 및 화재감지기를 설치해야 한다. 그러나 조사대상 펜션 30곳 중 8(26.7%)이 객실에 소화기 또는 화재감지기를 설치하지 않았다.

바비큐시설에 대해서는 국민안전처 중앙소방본부에서 소화기 비치를 권고하고 있으나, 8(26.7%)이 소화기를 비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물놀이철이 지나 운영하지 않는 수영장 주변에 펜스 등 접근차단을 위한 안전 조치를 하지 않은 업체도 23(76.7%)에 달했다.

바비큐시설의 소화기 비치나 수영장의 접근차단 조치는 법적 의무사항이 아님.

수영장 

일부 업체 편법적 영업신고로 안전 취약 우려

한편, 펜션은 건물의 연면적이 230미만인 경우 농어촌민박사업으로, 연면적 230이상이면 숙박업으로 신고한 후 영업할 수 있다. 그러나 농어촌민박사업으로 신고한 펜션 27곳 중 9곳은 연면적 기준(230)을 초과하였음에도 여러 명의 명의로 건물을 분할한 후 숙박업에 요구되는 안전시설기준보다 규제가 적은 농어촌민박사업으로 신고·운영해 안전에 취약할 우려가 있었다.

   ※ 농어촌민박사업은 소방시설로 객실에 수동식 소화기와 단독경보형감지기만 설치하면 되나, 숙박업은 규모·용도·수용인원에 따라 소화설비, 경보설비, 피난설비 등을 설치해야 하고, 모든 객실마다 방염조치를 해야 함.

한국소비자원은 이번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펜션을 이용하는 소비자의 안전 확보를 위해 실내 계단 설치기준 마련 및 농어촌민박사업에 대한 관리·감독 강화 등을 관계 부처에 건의할 예정이다.

 

[한국소비자원 2016-02-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090 동절기 코로나19 추가접종 사전예약 27일부터 진행 중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9.29 14
2089 2022 고령자 통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9.29 19
2088 간편한 한 끼 식사인 밀키트, 영양성분 정보 제공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9.29 14
2087 기차표 예매·휴양림 예약 등 디지털서비스 개방 본격 추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9.29 17
2086 2022년 주민등록 사실조사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9.29 21
2085 공항 신분확인, 금융기관에서 등록한 바이오정보로 스마트하게!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9.29 20
2084 요양병원·요양시설 등 접촉 대면면회 허용(10.4~) 및 입국 후 1일차 PCR검사 의무 중단(10.1~)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9.30 13
2083 건강한 식생활 실천의 첫걸음, 나의 영양지수 알아보기!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9.30 11
2082 국립공원에서 야생동물과 거리를 두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9.30 9
2081 청년·신혼부부 버팀목 전세대출 한도가 확대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10.04 11
2080 LED전구, 광효율·플리커·수명성능 등의 품질에 차이 있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10.04 9
2079 10월 4일부터 주민등록번호 유출로 인한 변경신청 온라인으로 가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10.04 12
2078 가을 성수기 임산물 채취 등 국립공원 불법행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10.04 16
2077 2022년 9월 소비자물가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10.05 12
2076 주정차위반과태료 등 세외수입 24시간 채팅로봇으로 상담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10.06 10
Board Pagination Prev 1 ... 782 783 784 785 786 787 788 789 790 791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