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수입과자 최근 10년간 수입동향 및 구매 시 주의사항 안내 -

□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김승희)는 과자류 수입이 매년 증가하고 최근 해외직구를 통해 과자류를 구매하는 소비자들이 증가함에 따라 수입과자 구입 시 주의사항을 안내한다고 밝혔다.
※ 과자류: 과자(비스킷, 스낵과자 등), 캔디, 빙과류, 껌, 초콜릿류로 집계
○ 식약처에 정식 수입신고 되어 검사를 거친 과자류는 국내 기준과 규격을 만족하여 안전성이 확보된 제품으로 한글표시사항이 부착되어 있다.
- 1년 이내 통관된 제품이라면 식품안전정보포털(http://www.foodsafetykorea. go.kr> 안전한 식생활> 수입식품> 수입식품확인)에서 정식 통관여부 확인이 가능하다.
- 해외로부터 소비자가 직접 구매하거나 구매 대행 또는 배송 대행의 형태로 국내에 반입된 과자류 제품은 자가 소비 목적인만큼 국내에 유통·판매를 할 수 없으며 수입과자점 등에서 한글표시사항이 없는 식품이 판매될 경우 국번없이 1399로 신고하여야 한다.
○ 소비자들이 인터넷을 통해 해외 사이버몰 등으로부터 과자류를 직접 구매하는 경우는 국내 기준·규격과 다르고 한글표시사항도 미부착되어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 또한 사용이 금지된 성분이 함유된 위해식품이 있을 수 있으니 식품안전정보포털(www.foodsafetykorea.go.kr) 내의 ‘해외직구 주의 정보방’을 이용하여 위해식품 여부를 확인하고 구입하는 것이 좋다.

□ 국내에 정식 수입신고된 과자류는 10년 전보다 수입량은 2배 증가하고 수입국도 ’05년 51개국에서 ’15년 65개국으로 확대되었다.
○ 전체 과자류 수입량은 ’05년 6만6천톤에서 ’15년 12만1천톤으로 2배 증가하고, 수입 금액은 ’05년 2억1천2백만달러에서 ’15년 6억3천4백만달러로 3배 증가하였다.
- 특히 ’10년 이후 과자류 수입량이 연평균 15.7%로 급격히 증가 추세를 보였으며, 수입과자 전문점이 급증하기 시작한 ’13년 이후 과자류 수입량은 더욱 증가하였다.
※ 과자류 수입량: (’13년) 9만2천톤 → (’14년) 11만8천톤 → (’15년) 12만1천톤

< 국가별 수입동향 >
○ 과자류 수입 상위 3개국은 수입량 기준으로 ’05년에는 중국, 미국, 필리핀, ’15년에는 미국, 중국, 독일 순이었다.
- 금액 기준으로 ’05년에는 미국, 중국, 일본, ’15년에는 미국, 중국, 독일 순이었다.
○ 수입량이 급격히 증가한 국가는 독일,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등으로 10년 전에 비해 각각 14배, 9배, 4배 증가하였다.
- 수입 금액이 급격히 증가한 국가는 말레이시아, 독일, 대만 등으로 10년 전에 비해 각각 24배, 17배, 7배 증가하였다.
- 동남아국가로부터 과자류 수입이 증가한 것은 프링글스, 탐탐, 춥파춥스 등 다국적기업의 과자제품들이 미국, 호주, 유럽 등지에서 생산되다 점차 동남아시아로 제조공장이 옮겨진 것이 주요인인 것으로 풀이된다.
○ 또한 ASEAN, EU, 미국은 FTA 체결 이후 ’15년 대비 수입량은 각각 3.2배, 3.1배, 1.1배, 수입 금액은 각각 4.9배, 2.7배, 1.2배 증가하였다.
※ FTA 발효일자: [ASEAN] ’09.6., [EU] ’11.7., [미국] ’12.3.

< 품목별 수입동향 >
○ 품목별 수입량 기준으로 ’15년에는 과자가 39.5%로 가장 많이 수입되었으며 초콜릿류(31.4%), 캔디류(28.0%), 빙과류(0.7%), 껌(0.3%) 순이었다.
- ’05년에는 과자(43.4%), 초콜릿류(32.8%), 캔디류(21.2%), 껌(2.4%), 빙과류(0.2%) 순이었다.
○ 비스킷, 스낵과자 등 과자는 ’05년 2만9천톤(8천1백만달러) 수입되던 것이 ’15년 4만8천톤(2억1천6백만달러)으로 늘었다.
- 주요 수입국은 ’05년에는 중국(35%), 미국(23%), 필리핀(19%), ’15년에는 미국(19%), 중국(14%), 말레이시아(13%) 순이었다.
○ 초콜릿류는 ’05년 2만2천톤(8천5백만달러) 수입되던 것이 ’15년 3만8천톤(2억4천9백만달러)으로 증가하였다.
- 주요 수입국은 ’05년에는 미국(31%), 중국(28%), 호주(8%), ’15년에는 미국(17%), 중국(15%), 벨기에(10%) 순이었다.
○ 캔디류는 ’05년 1만4천톤(4천1백만달러) 수입되던 것이 ’15년 3만4천톤(1억6천2백만달러)으로 늘었다.
- 주요 수입국은 ‘05년에는 중국(28%), 대만(14%), 스페인(11%), ’15년에는 독일(24%), 미국(14%), 중국(13%) 순이었다.
○ 빙과류과 껌은 각각 ‘05년에는 129톤(26만9천달러), 1,565톤(387만9천달러), ’15년에는 905톤(434만1천달러), 351톤(259만4천달러) 수입되었다.

□ 식약처는 매년 수입이 증가하고 어린이들이 즐겨먹는 기호식품인 수입과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하여 통관단계 검사를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 정밀검사(실험실 검사) 비율: [과자] (’05)22.6% (’15)33.2%
[전체식품] (’05)18.6%, (’15)21.9%
○ 또한 식품을 구매 대행하는 업체들은 ‘15년 11월부터 수입신고 하도록 하고, ’16년 2월부터는 수입식품등 인터넷 구매 대행업으로 영업등록하게 하여 구매대행으로 국내에 반입되는 식품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 2016-02-22]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105 지상·지하 등 모든 공간을 아우르는 주소 부여체계 마련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7.09 26
2104 지속되는 감기 증상…“혹시 폐렴”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20 55
2103 지속되는 한파에 홀로사는 어르신 보호 더욱 강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1.22 92
2102 지에스건설(주)의 불공정하도급거래행위에 대한 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8.02 57
2101 지엠·기아·포르쉐 자발적 시정조치(리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1.29 11
2100 지엠·포르쉐 등 자발적 시정조치(리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4.26 9
2099 지역 간 손상 발생 차이 7배 이상, 지역중심의 맞춤형 예방관리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6.14 54
2098 지역 맞춤형 건강정책 수립을 위한 「2019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시작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8.09 22
2097 지역 맞춤형 사회서비스 확대 시행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6.30 11
2096 지역 청년 여러분, 공공기관 합격 노하우 배워가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3.20 83
2095 지역 특성에 알맞는 사회서비스가 확대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2.15 38
2094 지역가입자 606만 세대(80%), 월 평균 4.6만원(50%) 인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23 52
2093 지역가입자 성·연령 보험료 없어지고, 자동차 보험료 절반 이상 줄어든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7.18 60
2092 지역가입자 약 333만 세대의 건강보험료가 평균 월 2만 5천 원 인하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2.07 15
2091 지역경제 활성화 위해 공유재산 임차인 사용료 감경 절차 완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3.24 27
Board Pagination Prev 1 ... 781 782 783 784 785 786 787 788 789 790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